d라이브러리
"비준"(으)로 총 16건 검색되었습니다.
- 무역의 수학적 이유, 비교우위수학동아 l201208
- 자유무역협정, 마냥 좋지만은 않아지난해 12월 한미자유무역협정(FTA)이 국회에서 비준돼 지난 3월 15일자로 발효됐다. 우리나라는 미국뿐만 아니라 유럽연합(EU), 인도, 칠레 등과 이미 FTA를 체결했으며 캐나다, 멕시코 등등의 나라와 협상하고 있다. FTA는 비교우위론에 따라 더 많은 무역을 하기위해 ... ...
- 50 Years of NASA’s Achievement과학동아 l200810
- 지구 대기권과 우주 비행에 관련된 연구를 지원하는 ‘미국 항공 우주법’을 비준했다. 군부와 민간 중 어느 쪽이 우주에 대한 지배권을 갖는 게 옳은가에 대한 긴 논쟁을 거쳐 이 법안은 NASA라고 이름 붙여진 새로운 민간기구를 발족시켰다. NASA는 1958년 10월 1일 업무를 시작했다. NASA는 이전에 ... ...
- PART 2 나로우주센터서 자력으로 우리 위성 쏜다과학동아 l200801
- 한 수 배우고 있다”며 “사실 러시아 정부가 기술보호협정을 요구해 양국 국회에서 비준까지 해야 했다”고 말했다. 협정은 한국이 KSLV-Ⅰ과 관련된 기술을 제3국에 넘기지 않으며 미사일 같은 무기를 개발하는 용도로 전용하지도 않는다는 내용이다.그렇다면 소형위성 발사체 KSLV-Ⅰ 개발은 ... ...
- 이제 시간이 없다, 행동하라과학동아 l200608
- 선진국들은 침묵을 지킨다.세계적 환경생물학자 팀 플래너리가 아직까지 교토의정서를 비준하지 않는 미국과 호주 정부를 거침없이 비판하고 나섰다. ‘기후 창조자’는 ‘인류가 기후를 만들고, 기후가 지구의 미래를 바꾼다’는 주제로 기후 변화가 가져올 미래의 시나리오를 제시한다.저자는 ... ...
- 풍력, 제2의 벤처 바람 몰고 온다과학동아 l200502
- 충족되지 않아 계속 발효되지 못했었다.그런데 지난해 11월 러시아가 교토의정서를 비준하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당장 오는 2월 16일부터 교토의정서가 발효돼 온실가스 배출량 제제가 시작된다. 해당 국가나 기업은 허용량만큼만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다. 만약 허용량보다 많은 온실가스를 ... ...
- 한국 정말 핵무기 개발하려 했나?과학동아 l200410
- 핵물질로, 추출하거나 이동시 IAEA에 신고해야할 대상”이라고 말한다. 추가의정서 비준 전에도 신고했어야 했다는 얘기다. IAEA가 문제삼은 것이 바로 이것.하지만 워낙 양이 적다보니 과학자들이 신고할 생각을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김 심의관은 “농축우라늄 0.2g이라고 해봐야 깨알의 수십분의 1 ... ...
- CO₂ 감축 약속 교토의정서 사장될 위기과학동아 l200401
- 러시아는 여유있게 목표를 도달할 수 있다고 전망됐기 때문이다. 러시아가 교토의정서 비준 카드를 갖고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등에서 유리한 입장에 서려한다는 추측이 나오고 있다.이산화탄소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미국과 러시아가 참여하지 않고서는 교토의정서는 영원히 발효될 수가 없다. ... ...
- 유전자변형작물허용 요구하는 미국과학동아 l200308
- 미국은 세계무역기구에 유럽연합이 자국의 유전자변형작물을 수용하도록 권유할 것을 요청했다. 미국은 유전자 변형작물을 금지하는 것이 자국의 농부들에게 수조달러 이 ... 오는 9월 11일부터 국제협약으로서의 효력을 발휘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7월 현재 아직 비준하지 않고 있다 ... ...
- 최초의 핵실험에서 핵무기 금지협상까지과학동아 l200211
- 우주공간에 이어 지하공간까지 핵실험 금지 범위에 포함시켰다. 그러나 미 의회가 CTBT 비준을 거부하면서 실효성이 크게 약화됐다. 이 와중에 1995년 프랑스, 1998년 5월 인도와 파키스탄이 경쟁적으로 핵실험을 감행했으며, 미국과 러시아, 영국도 핵폭발이나 연쇄반응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임계량 ... ...
- 3. 이산화탄소 격리 기술의 허점과학동아 l200210
- 억제하자는 취지다. 하지만 세계적으로 이산화탄소 방출이 가장 많은 미국이 협약 비준을 거부하고 나서 세계의 비난 여론을 받고 있다. 최근 열린 요하네스버그 환경 회의에서는 미진하나마 재생 에너지 촉진 회담이 열리기도 했다.이렇듯 이산화탄소 문제가 국가간 협상의 문제로 주목받으면서,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