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각지대"(으)로 총 88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재난구조로봇 1등은 ‘나야 나’과학동아 l201709
- # ‘쿠쿠쿵’ 지진으로 5층 아파트가 주저앉았다. 무너진 잔해에서 재빨리 생존자를 찾아야 하는 상황. 무선 조종 로봇을 급히 투입했지 ... 핵연료의 위치를 파악하는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특히 일반 로봇이 접근하기 어려운 사각지대인, 격납용기 바닥 정 중앙을 샅샅이 살필 계획이다 ... ...
- Part 3. 얼마나 똑똑해질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20
- 몸체에 들어있는 2개의 초음파 센서가 뒤로 3m, 폭 1.2m 영역을 감지해서 눈에 보이지 않는 사각지대에 접근하는 물체를 감지한다. 이 정보를 핸들의 진동으로 알려줘서 충돌을 막는다.분실을 막는 센서와 칩!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와 스마트폰과 연결된 칩이 자전거의 충격이나 이동을 감지하면 ... ...
- [Knowledge] CCTV에 기록된 그 날의 진실과학동아 l201603
- 하지만 주말인데다 너무 이른 시간이라 목격자도 없고 용의자로 보이는 사람도 CCTV 사각지대로 사라져 행적을 추적하기가 어렵다.“이거 안돼, 이렇게 하다가는. 공개 수배로 돌리고, CCTV 자료 국과수에 넘겨.”[ 증거를 확보하다 I ] CCTV, 이거 너 맞지?7월 24일(수) - 사건발생 10일 째형사 공개수배로 ... ...
- ‘지옥의 실험실’ 피할 방법 있을까과학동아 l201512
- 행복하기 힘들 것 같다. 석사도, 과학도 포기하고 그만두려 한다.0대학원은 인권의 사각지대인가. 국가인권위원회가 전국 1209개 대학원의 학생 1906명을 조사해 11월 13일 발표한 ‘대학원생 연구환경에 대한 실태조사’에 따르면 교수로부터 폭언․욕설에 시달리거나(10%), 구타를 당하는(1.2%) 학생이 ... ...
- [생활] 백제의 흔적을 찾아 나선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10
- 백제의 보물이 가득한 웅진백제역사유적지구는 공주, 부여, 익산 세 도시에 걸쳐 있는 8개의 유적지를 말합니다. 공주의 공산성과 송산리 고분군, 부여의 관북리 유적, 부소산성, 능산리 고분군, 정림사지, 나성, 마지막으로 익산의 왕궁리 유적과 미륵사지가 여기에 속하지요. 오늘은 웅진시대의 공 ... ...
- 성곽 길 따라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07
- 성을 둘러싸고 2중, 3중의 방어망이 생기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따라서 이 방어망 속에는 사각지대가 없어요. 결국 화성은 적의 침입을 허용하지 않는 철옹성이었던 거예요! 설마 이번 데이트로 화성을 다 알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아니겠죠? 이곳의 생활상이나 궁중의식 같은 무형문화재도 살펴봐야 ... ...
- 새로운 수학교육에 대비하는 우리의 자세수학동아 l201505
- 수학 시간이 정말 달라질까요? 몇 년 전, 교육부는 ‘스토리텔링 수학’을 비장의 카드로 들고 나왔지만, 여전히 교실에선 진짜 스토리텔링을 찾아 ... 본격적으로 실시될 예정입니다. 교육부의 야심찬 계획인만큼 이번 계획으로 수학교육의 사각지대가 사라지는 행복한 상상을 해 봅니다 ... ...
- [수학뉴스]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 발표, 수학에 대한 흥미를 높일까?수학동아 l201504
- 못 하는 사람은 앞에서 끌어주고, 잘 하는 사람은 더 잘 할 수 있도록 해서 수학교육의 사각지대를 없애는 게 목표입니다.” _홍창섭(서울 경희고 수학교사, 제2차 수학교육 종합계획에 참여)그러나 새로 발표된 수학교육 종합계획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도 있다. 익명을 요구한 서울 시내 모 중학교 ... ...
- 너희들은 수학으로 포위됐다수학동아 l201407
- 꼭짓점을 가진 다각형을 분할하기 때문에, [n/3]명의 경비원이 있으면 전체 미술관을 사각지대 없이 감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때 [n/3]은 n/3보다 작거나 같은 최대의 정수를 말한다. “반장님, 이 꼭짓점에 계셨군요! 미술관 감시카메라 배치는 미술관 문제로 완료했습니다!”“수고했다! ... ...
-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 수학산책 제곱근과 전자, 그리고 클리퍼드수학동아 l201407
- 제곱근을 구하는 과정은 끊임없이 인류가 사용하는 수 체계의 확장을 이끌었다. 특히 19세기 수학자 윌리엄 킹던 클리퍼드는 시공간 기하 그 자체의 제곱근이 살고 있는 체계를 발견해, 물질의 미시적인 구조를 밝히는 데 기여했다. 이번 달에는 수 체계의 확장과 클리퍼드의 대수에 대해 공상해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