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슴뿔"(으)로 총 1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의 탄생과학동아 l201709
- 살던 아파트로 직접 찾아가서 문을 두드렸다. 프라이스는 다른 일들이 너무 바빠서 사슴뿔 논문에 손을 대지 못했다고 말했다(아무리 그래도 ‘네이처’에 논문을 낼 기회를 걷어 차다니!). 메이나드 스미스는 자신의 연구 성과를 설명하며 공동 연구를 제안했다. 프라이스는 기뻐했지만, 메이나드 ... ...
- [Origin] 유전자, 게임을 하다과학동아 l201708
- 이 설명이 마음에 들지 않았다. 보기엔 화려하지만, 형편없이 비효율적인 무기인 사슴뿔 같은 기관이 진화한 까닭을 개체 선택론으로 설명할 수는 없을까? 마침 프라이스에게는 이 문제를 풀 단서를 알려줄 사람이 있었다. 게임 이론을 진화생물학에 도입한 논문을 막 출간한 해밀턴이었다.전중환 ... ...
- [헷갈린 과학] 상아VS뿔어린이과학동아 l201612
- ‘Antler’라고 하며, 다른 뿔을 나타낼 땐 주로 ‘Horn’ 이라는 단어를 사용한답니다.사슴뿔은 두개골에서 나온 뼈가 머리 위쪽으로 자라면서 만들어져요. 바깥쪽엔 뼈가 성장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피부가 있지요. 그래서 뿔이 어느 정도 자라면 바깥쪽에 있던 피부는 떨어지고, 뿔은 더 이상 자라지 ... ...
- [Knowledge]파충류의 속사정 ➒ 익룡 中 ‘중생대 뷔페’가 만든 기기묘묘한 머리과학동아 l201601
- 가졌으며(90쪽 그림 가운데), 프테라노돈의 가까운 친척인 미국의 ‘닉토사우루스’는 사슴뿔을 연상시키는 Y자형의 가늘고 긴 벼슬을 가졌다(90쪽 그림 오른쪽 맨 아래). 이외에도 크고 괴상한 모양의 벼슬을 가진 익룡은 많았다.익룡은 왜 이렇게 거추장스러울 정도로 거대한 벼슬을 머리에 가지게 ... ...
- 사슴벌레 VS 장수풍뎅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13
- 상대적으로 마른 편이에요. 집게 모양으로 갈라진 수컷의 ‘큰턱’은 크고 튼튼하며 사슴뿔처럼 생겼지요. 사슴벌레의 종류에 따라 뿔의 모양이나 크기가 다르답니다. 수컷의 큰턱은 다른 수컷과 싸우거나 암컷에게 과시하기 위해 커졌다고 해요. 암컷도 큰턱이 있지만 짧지요. 장수풍뎅이와 ... ...
- 전문가 3인과 함께하는 뉴칼레도니아에서 보물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1210
- 조개다. 초록거북거북이는 산호가 자라는 모래지역에서 먹이를 찾고, 알을 낳는다. 사슴뿔산호잔잔한 바다에서 산다. 1년에 10cm이상 빽빽하게 자라 성장이 빠르고, 생물다양성이 높다. 탁자형산호파도가 있거나 수심이 깊은 곳에 산다. 빛을 많이 받기 위해 탁자 모양으로 넓게 자란다 ... ...
- 곤충계 싸움의 기술과학동아 l201002
- 턱(구기) 덕분이다. 암컷보다는 수컷의 턱이 더 크며, 잘리면 다시 원래대로 자라나는 사슴뿔과 달리 사슴벌레의 큰턱은 한번 잘리면 다시 자라지 않는다. 또 애벌레로 지내는 약 1년간 잘 먹고 자란 개체일수록 턱이 크다. 턱이 클수록 튀어나온 이빨도 뚜렷해 결국 사슴벌레마다 큰턱의 생김새가 ... ...
- 십장생 속 불로초, 영지버섯과학동아 l200808
- 품명으로 개발된 이 버섯은 갓을 발생시키지 않고 어린 대를 길게 생장시켜 사슴뿔처럼 다발로 발생시키는 것인데, 모양이 매우 신비로워 상당히 인기 있는 장식품이다.약효가 있는 버섯으로 유명한 불로초는 중국 전통약재 중 하나로 각종 성인병 방지, 체력 강화, 피로 회복 등 다양한 효과가 ... ...
- 인어공주가 살 것 같은 바다이야기과학동아 l200610
- 입에서 항문까지 하나의 관으로 뚫려 있다.산호는 모양이 매우 다양하다. 나뭇가지, 사슴뿔, 버섯, 선인장, 이끼, 주름치마, 탁자, 접시, 주름진 뇌, 부채, 솜사탕, 둥근 공…. 인어공주가 갖고 놀려면 이 정도는 돼야지.한국해양연구원은 ‘산호초의 천국’ 축(Chuuk)에 한·남태평양 해양연구센터를 ... ...
- 쓰나미도 잠재운 산호초의 힘과학동아 l200504
- 산호들은 수많은 폴립이 모여 군체를 이룬다. 산호초는 종에 따라 모양이 아주 다양하다. 사슴뿔이나 나뭇가지처럼, 버섯이나 탁자처럼, 뇌나 공처럼, 또는 부채처럼 자라는 산호들이 있다. 세계적으로 산호초를 만드는 산호는 약 500종이 알려져 있다.진화론의 창시자 찰스 다윈은 1842년 산호초를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