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서류철"(으)로 총 17건 검색되었습니다.
- 4. 사무실_공간 혁명은 사무실에서 시작된다과학동아 l200402
- 지적인 기능들을 환수해 물리적인 공간과 사물들에게 넘긴다. 자신의 존재 알리는 서류철물리적인 공간과 사물들을 지능화시키는 유비쿼터스 컴퓨팅은 공간에 지능을 펼침으로써 기존의 바보 공간(dumb space)을 지능 공간(smart space)으로 탈바꿈시켜준다. 그렇기 때문에 유비쿼터스 시대의 사무실은 ... ...
- 현대) 만국 공통언어로 부활과학동아 l199904
- 모양의 사무실 공간이 떠오른다. 주인공이 필요한 서류를 찾으려면 현실처럼 서랍과 서류철에 손을 대면 된다. 마치 고대의 동굴 벽화처럼 실물과 크기나 모양이 비슷한 아이콘들이다. 만일 이런 일이 실현된다면 수많은 컴퓨터 아이콘은 더이상 필요가 없어질 것이다.아이콘은 지구 밖 다른 외계 ... ...
- 교육용 공개 프로그램 세계수준 아직 낮아과학동아 l199609
- 사용할 수 있는 도구들이 있으며, 아래에 색을 선택하는 팔레트가 있다. 도구 중에서 서류철 아이콘은 밑그림을 선택하는데, 지우개 아이콘은 방금 한 칠작업을 취소하는데 사용한다. 그리고 숫자, 알파벳, 도형 아이콘은 각각 밑그림에서 칠할 영역을 선택하는 방법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알파벳 ... ...
- 2. 4대 제품성능 철저비료과학동아 l199505
- 고르고 필요한 부분을 편집한다고 생각해보자. 매킨토시는 하드디스크 표시그림(이것도 서류철 그림을 한 것이 있다)을 화살표로 두번 지적하고, 이로 인해 열리는 여러 폴더(디렉토리에 해당) 그림 중에서 원하는 폴더를 화살표로 두번 지적하고, 또 열리는 폴더와 문서 중 원하는 문서를 화살표로 ... ...
- 2. 컴퓨터도 성능보다 편리성 중시과학동아 l199503
- 인간공학에서는 은유적 표현(metaphor)이라고 부른다. 컴퓨터 파일의 저장체계(directory)를 서류철 모양으로 표현하는 것이 은유적 표현의 좋은 예다.이외에도 정보표시 방법에 대한 연구 영역은 무수히 많다. 가장 좋은 정보 표시방법은 당연히 사용자가 쉽고 빨리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형태다. ... ...
- 1. 사무 자동화 후유증-신종 직업병 속출과학동아 l199503
- 드물게는 이상출산까지도 일으킨다.사무 자동화의 발달로 모든 사무실에서 캐비닛과 서류철들이 없어지는 대신 워드프로세서나 개인용 컴퓨터 등이 등장했고 그 사용범위도 일반 사무 관리 부분을 넘어서서 제조, 판매 회사의 제품관리, 건축 회사의 설계, 항공 운송 회사의 운항 예약, 신문 잡지의 ... ...
- 한글 워드프로세서 어떤 것이 좋을까과학동아 l199304
- 그 이상이 될 수도 있다. 예컨대 문서파일을 편집화면으로 불러들이기 위해서는 서류철 혹은 파일메뉴를 열고 불러오기 열기를 선택해야 한다. 이럴 경우 일반적인 단축키는 알트키나 컨트롤키를 누른 상태에서 파일(file)의 F, 오픈(open)의 O를 누르는 순서로 작업을 진행한다. 즉 단축키가 'Alt(또는 ... ...
- 컴퓨터 명령을 간편하게 처리하려면과학동아 l199303
- 선택해서 저장해야 한다.예를 들어 아래아 한글로 배치파일을 작성했다면 반드시 '서류철' 메뉴에서 '새이름으로 저장'을 선택한 후, 저장방식 항목중에서 '아스키파일'을 택해 저장해야 한다. 에디터도 없고 워드프로세서도 익숙치 않을 때는 도스의 copy 명령을 이용해 배치파일을 작성한다. 다음은 ... ...
- 디스크와 파일의 중개인 디렉토리과학동아 l199302
- 혼란스러울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흔히 파일(file)이라 부르는 두꺼운 표지가 붙어 있는 서류철의 정확한 명칭은 폴더다.이를테면 동사무소에서는 개인별 주민등록카드를 폴더에 끼워서 캐비닛에 보관한다. 매킨토시 컴퓨터에서는 아예 디렉토리라는 말은 사용하지 않고 폴더라는 용어만을 ... ...
-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과학동아 l199211
- 서류철로 묶여 잔뜩 들어가 있는 서랍은 하드디스크다. 서랍속에 파일들을 철해 놓은 서류철은 디렉토리(directory)라고 한다. 그리고 자주 사용하는 서류봉투는 플로피디스크라고 보면 된다.이러한 비유를 통해 우리는 컴퓨터가 도대체 어떻게 일을 하는가를 명확히 알 수 있다. 몇가지만 더 추가해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