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로"(으)로 총 67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인도 산림연구소대학교과학동아 l201708
- 보면 이해가 쉽겠네요.이처럼 오랜 역사를 가진 FRI는 남아시아 최고의 산림연구소로 손꼽힙니다. 흔히 생각하는 산림의 생태, 환경 연구 외에도 곤충학, 목재, 유전학, 생물다양성 보존, 제지기술, 토지 개간 등 다양한 주제로 연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최근에 나온 연구 결과 중에 인상 깊은 것은 ... ...
- [Origin] 공룡 족보, 100년 만에 바뀔까과학동아 l201705
- 정의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공룡이 시작되기 직전 단계의 생명체들을 ‘다이노소로몰프’라 부른다. 이를 더 거슬러 올라가면 최초의 지배파충류를 일컫는 가상의 동물 ‘테코돈트’가 있지만 명확히 증명된 화석이 발견되지 않았다. 다만 대부분의 공룡학자들은, 공룡이 처음 진화돼 ... ...
- 최신 연구로 떠나는 미스터리 세계여행과학동아 l201705
- 위로 떠올랐고, 살짝 바람을 불자 움직일 수 있었죠.이후 존스홉킨스대 응용물리연구소로 자리를 옮긴 로렌츠 박사는, 60개가 넘는 돌에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부착한 뒤 이들의 움직임을 카메라로 촬영하는 데 성공했습니다. 2013년 12월부터 2014년 1월까지 GPS 신호를 토대로 움직이는 돌들을 ...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10
- 붉은 빛을 띠는 안토시아닌은 특별하다. 카로티노이드는 모든 식물이 가진 보조색소로 그 함량에 따라 노란 빛이 얼마나 진하게 보이냐가 결정되는 반면 안토시아닌은 가을이 되면 나무가 새롭게 만들어내는 색소다. 세포 내에 당이 많을수록 많이 합성된다. 때문에 햇빛이 많고 강수량이 많은 ... ...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과학동아 l201602
- 못했다.김 교수는 1월 말 새로운 도전을 시작한다. 캐나다 마니토바주의 법의관사무소로 1년간 연수를 떠난다.캐나다는 유럽과 더불어 수중과학수사 연구가 가장 활발한 나라다. 법의학자와 조류(녹조류 같은 원생생물)학자가 손을 잡고 익사체 내부의 플랑크톤을 분석해 논문을 쏟아내는 곳이기도 ... ...
- 달나라 옥토끼배 송편대첩어린이과학동아 l201518
- 송편의 재료로는 적당하지 않았거든요. 대신 우리 조상들은 다양한 재료를 송편에 소로 넣어 먹었어요.17세기에 나온 요리책인 ‘요록’에 ‘송병(松餠, 소나무떡)’이라는 떡이 기록돼 있는 것을 통해 송편은 그 이전부터 먹었다고 짐작할 수 있어요. 그 외에도 송편이 기록된 다른 책들을 보면 ... ...
- [Photo] 지구에서 체험하는 화성 라이프!과학동아 l201511
- 간다. 한 연구원이 험준한 바위 위에 올라 샘플을 채취하고 있다.2 채취한 샘플 연구연구소로 돌아온 대원들이 낮에 바위에서 채취한 샘플을 연구하고 있다. 이곳이 화성이라면 이 순간이 얼마나 설렐까.3 무인기 조종무인기를 날리기 위해 부지런히 컴퓨터를 조작하고 있다. 사람마저 가지 못하는 ... ...
- 조곤조곤 풀어보는 문화재의 수수께끼 ④ 조선 왕릉 연구의 기틀을 닦다과학동아 l201506
- 퍼져 있는 조선의 왕릉은 모두 42기나 됩니다(북한을 빼면 40기). 대개 지역의 명 소로 잘 가꿔져 있어 그 지역을 찾으면 한번씩 들르는 관광지지요. 그런데 놀랍게도 이렇게 친숙하고 연대도 가까운(조선은 현재와 가장 가까운 왕조입니다) 왕릉 들이 아주 최근까지 측량 등 체계적인 조사도 받지 못 ... ...
- 한여름 세균과의 전쟁 구린내 괴물 퇴치 대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415
- 있다?몸에서 나는 냄새로 성격까지도 알 수 있대. 폴란드 브로츠와프대학교 아니예츠카 소로코프스카 박사는 남녀 참가자 각각 30명에게 티셔츠를 3일 밤 계속 입게 했어. 이와 함께 참가자들의 성격도 테스트했지. 그리고 남녀 각각 100명에게 참가자들이 입었던 티셔츠의 냄새를 맡고 그 성격을 ... ...
- [life & tech] 우리 조상은 언제부터 흰 쌀밥을 먹게 됐을까과학동아 l201410
- 000년 전의 볍씨로 중국과 일본에서 발견된 가장 오래된 볍씨보다도 나이가 많다. 그러나 소로리 볍씨는 야생종과 재배종의 중간 형태인 순화종으로 사람이 직접 재배한 흔적이 없었다.한반도에서 최초로 재배된 벼는 ‘가와지 볍씨’다. 가와지 볍씨는 1991년 경기도 고양 신도시 개발 과정에서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