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소모임"(으)로 총 14건 검색되었습니다.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퍼즐, 수학이 되다! 커크먼의 여학생 문제수학동아 l201708
- 경기 횟수도 많고 이동 거리도 먼 미국 프로야구 메이저리그의 경기 일정은 수학자가 짜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완벽한 일정을 짤 때 ‘조합적 디자인’이라는 ... 전체 n명 중 어떤 3명을 보더라도 정확히 한 조에 그 3명이 소모임을 이루고 있도록 조와 소모임을 짤 수 있는지 알아봤습니다 ...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과학동아 l201412
- 자신만의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실습실을 24시간 개방하고, 소모임을 만들어 학생들을 적극 지원할 예정이다. 대기업들도 벌써부터 이 학과 학생들을 데려갈 준비를 하고 있다. LG와 삼성은 3, 4학년 학생을 선발해 최대 2000만 원에 이르는 장학금을 주고 우선 채용할 예정이다 ... ...
- [체험] 유신고등학교 수학동아리 MAX수학동아 l201310
- 마디동아리는 선후배가 최고의 보물입니다!MAX는 2002년부터 수학올림피아드를 준비하는 소모임으로 출발하여 이제는 학교뿐만이 아니라 지역사회도 인정하는 훌륭한 동아리로 성장했습니다. 이 모두가 선후배들의 수학에 대한 열정과 사랑에서 시작된 열매라고 생각하니 더욱 대견스럽습니다. 또한 ... ...
- “면접, 제출서류 읽고 오세요”과학동아 l201211
- 고교생활을 하면서 준비해야 할 것은 적극적이면서 자발적인 활동입니다. 동아리나 소모임 같은 자체 모임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세요. 단, 고등학생 수준에서 할 수 있는 것 위주로 하세요. 지나치게 전공에 얽매일 필요는 없습니다. 일관성도 중요하지만 고등학생은 진로를 찾는 과정이기 때문에 그 ... ...
- 서울시립대 마이크로로봇 연구회 ‘제틴’과학동아 l200811
- to infinite’의 줄임말로 ‘무(無)에서 유(有)를 창조한다’는 뜻이다. 1993년 제어계측학과 소모임으로 시작한 제틴은 1997년 대학 동아리로 확대되며 다양한 로봇을 만들기 시작했다. 회원들은 미로를 빠져나가는 마우스 로봇부터 지름 30cm 크기의 청소로봇, 화재나 테러 같이 위급한 상황에서 사람을 ... ...
- 사이버 혈연관계가 뜬다과학동아 l200407
- 이루는 끈끈한 그룹을 보여줄 수 있다. 이를 통해 일대일로만 알고 지내던 관계가 하나의 소모임으로 발전할 수 있어 그들 간 관계는 더욱 공고해질 수 있다.최근 커뮤니티 서비스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성으로는 서로 다른 커뮤니티 서비스 간 통합일 것이다. 예를 들어 싸이월드는 ... ...
- 재미 좇아 생명의 신비 밝히는 물리화학자 조민행과학동아 l200106
- 않았다. 고려대로 온 이듬해인 1997년부터 학부학생들을 위해 케미스코프(Chemiscope)란 소모임을 만들어 외국의 화학교육과 관련된 논문,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같은 과학 저널을 읽고 토론하는 기회를 가졌다. 학생들이 보다 다양한 기회를 발견하고 화학이란 학문을 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보여주고 ... ...
- 프로게이머 24시과학동아 l200003
- 사람들을 만나게 된다.이러한 사람들 중에 마음이 맞고 생각이 같은 사람들끼리 모여 소모임을 구성하게 되는데 이를 클랜(clen)이라고 한다.규모가 커지면 길드(guild)가 된다.이처럼 함께 게임을 하고 정보를 나누며,게임에 대한 지식도 공유하고,개인적인 이야기도 나눌 수 있는 상대를 만나면 ... ...
- 질량의 기원은 밝혀질까과학동아 l199811
- 재미있는 일이 많이 생긴다고 한다. 우선 여가시간을 활용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소모임이 만들어져 있다. 매주 발간되는 소식지에는 모임의 장소와 시간, 활동을 알리는 게시물이 빽빽하게 나와 있었다.프랑스 월드컵 때도 그랬다. 연구에만 몰두하고 스포츠에는 전혀 관심이 없을 것같은 ... ...
- 4. 좌담 창조적인 아이디어는 밤샘 토론에서 나온다과학동아 l199602
- 2천4백여명 정도니까 다른 학교에 비해 동아리가 많은 편이지요. KAIST는 학술을 위한 소모임이 몇 개 되지 않습니다. 공부를 하기 위해 일부러 모이는 경우는 없는 거죠. 그대신 공부 이외의 관심사가 같은 학생들이 모여 서로 좋아하는 일들을 하고자 동아리를 만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얼마 안되는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