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기체
가스
스팀
김
습기
물기
d라이브러리
"
수증기
"(으)로 총 700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화성에는 돌풍과 함께 눈이 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8
낮과 밤의 기온차가 커요. 그래서 낮에서 밤으로 바뀔 때 순간적으로 대기 속에 포함된
수증기
가 얼면서 구름이 만들어지는 거예요. 동시에 대기는 갑자기 차가워지며 지표면으로 내려오는 돌풍을 만들어요. 차가운 공기는 따뜻한 공기보다 무겁기 때문이지요. 이때 구름 속 얼음 결정이 최대 초속 1 ... ...
[쇼킹 사이언스] 하늘에 UFO가 떴다?! 렌즈구름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7
공기가 산악파를 따라 올라가면 부피가 팽창하며 ●이슬점까지 온도가 떨어져요. 이때
수증기
가 응결해서 렌즈구름이 만들어지지요. 공기가 산악파를 따라 내려오는 곳에서는 구름 속 물방울이 증발하기 때문에 구름이 만들어지지 않는답니다. ● 이슬점 : 공기가 냉각되어 응결이 시작되는 온도 ... ...
Part 1. [고리 1호기] 시작과 끝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6
핵분열이 일어나며 엄청난 열이 발생해요. 이 열로 물을 끓여서
수증기
가 만들어지면, 이
수증기
로 발전소의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한답니다. 고리 1호기는 1978년 부산광역시 기장군에 세워진 우리나라 최초의 원자력 발전소예요. 당시 화폐 가치로 무려 1560억 원이라는 어마어마한 건설비용이 ... ...
[스미스의 탐구생활 5화] 액체를 고체로 변신시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4
변하지요.
수증기
일 때 분자는 액체일 때보다 훨씬 멀리까지 움직일 수 있어요. 그래서
수증기
의 모양과 부피는 담는 용기에 따라 크게 바뀐답니다. 액체로 호박보석과 액체괴물을 만들어 보자!‘공룡시대 호박보석 만들기’와 ‘끈적이 액체괴물 만들기’는 모두 액체를 고체, 또는 고체와 비슷한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뭉게뭉게 구름을 만들어 날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2
학예회에서 연극 무대의 주인공인 히어로 역할을 맡은 섭섭박사님!“두 두두두 둥~!”악당을 물리치기 위해 나타나는 순간, 더 멋지게 등장해 친구들의 주목을 받고 싶었어요.섭섭박사님은 고민 끝에 무대에 구름을 만들어 띄우는 아이디어를 떠올렸답니다.무대 위에서 구름을 만들어 날릴 방법,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오육칠 박사의 연구실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1
흙이 채워져 있지요. 이 흙에 물을 부으면 흙 속의 물이 작은 항아리의 열을 흡수하면서
수증기
가 되어 바깥쪽 항아리의 작은 기공들을 통해 빠져 나온답니다. 그 결과, 작은 도자기의 온도가 바깥보다 20℃ 정도 낮아지지요.코카콜라에서는 지어 항아리에서 영감을 받은 ‘바이오 쿨러’를 제작해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모터 없이 움직이는 배를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8
있다. 양초로 음료수 캔이 달궈지면 그 안의 물이 끓어서
수증기
가 된다. 계속 가열하면
수증기
분자들은 더 활발하게 움직이고, 그 결과 기체의 부피가 커지게 된다. 부피가 커진 기체가 빨대를 통해 나오면서 물을 밀어내 결국 배가 앞으로 나아가게 된다.음료수 캔의 재료인 알루미늄은 열을 잘 ... ...
Part 2. 바닷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로 만들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6
방법은 바닷물을 끓여서 증발시키는 거예요. 그러면 염분은 남고 물은
수증기
가 돼요. 이
수증기
를 응축하면 담수, 즉 마실 수 있는 물이 되지요.사막이 많아 물이 부족한 중동 지역에서는 이 방법을 여러 번 반복하는 거대한 공장을 만들어 마실 물을 얻고 있어요. 하루 약 수천만~1억 t의 물을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
과학동아
l
201706
전하가 분리되는 원리였다. 번개 구름 안에는 수없이 많은 물 입자가 들어 있는데, 대개
수증기
나 얼음입자 형태다. 얼음입자들끼리 마찰을 일으키면서 양전하(+)와 음전하(-)가 생기고, 전하 간 무게 차이로 인해 구름의 위아래가 양전하와 음전하를 띠게 된다. 임계 전하 농도에 다다르면 순간적으로 ... ...
Part 3. 최고의 빵 만드는 ‘태양의 손’은 누구?
과학동아
l
201706
생이스트를 넣은 빵끼리도 단면의 모습이 달랐다. 반죽을 굽는 동안 칼로 그은 부분에서
수증기
가 더 빨리 더 많이 빠져나갔기 때문이다. 그래서 칼집이 난 부분의 안쪽에는 구멍이 크게 생긴다. 칼집을 하나만 내 커다란 구멍 한 개가 뻥 뚫려 있는 것보다는 나뭇가지 모양으로 칼집을 내 크고 작은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