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스피릿"(으)로 총 46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원주민 마을의 위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10
- 있는 기름을 걷어내면, 물과 기름을 분리할 수 있지요.하지만 2007년 태안에서 ‘허베이 스피릿 호’가 일으켰던 기름 유출 사고처럼, 바다에서 기름을 싣고 가던 배에 사고가 나면 어마어마한 양의 기름이 흘러나와요. 그래서 단순히 걷어내는 방법만으로는 기름을 모두 제거할 수 없기 때문에 ... ...
- Part 2. 착륙 실패는 낙하산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23
- 안타깝게도 스키아파렐리는 착륙에 실패한 것으로 밝혀졌어요. 이로써 엑소마스 2016 프로젝트는 절반의 성공으로 그치고 말았지요. 그런데 스키아파렐리는 왜 착륙에 실패한 것일까요?낙하산이 일찍 펴진 게 원인!스키아파렐리가 궤도에서 분리된 뒤 화성 표면으로 착륙할 때에는 낙하산과 *역추 ... ...
- Part 3. 엑소마스 2020, 성공할 수 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23
-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어요. 첫 번째 방법은 ‘에어백’이에요. 2004년 발사된 스피릿이 착륙에 성공한 방법이지요. 풍선처럼 부풀어오른 여러 개의 에어백은 탐사선 전체를 완전히 감싸요. 그리고 표면에 도착했을 때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지요. 그럼 탐사선이 안전하게 착륙할 수 있답니다 ... ...
- [Photo] 광물이야기 17 화려한 무지개 여신의 깊은 속내과학동아 l201607
- 물이 흘렀음을 증명하는 광물이기도 하다. 2004년 1월 4일 화성에 착륙한 화성탐사선 스피릿(MER-A)은 화성에 흐르는 물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조사했다. 그 결과 화성 구세프(Gusev) 분화구에서 약간의 침철석을 발견했다. 침철석은 지하수나 저온 열수용액(마그마가 식어서 광물들이 석출되고 남은 ... ...
- [Tech & Fun] 국제원자력기구 환경연구소과학동아 l201606
- 나옵니다.IAEA-EL은 또한 여러 가지 ‘표준물질’을 인증하는 곳입니다. 2007년 삼성-허베이스피릿호 기름유출사고나 2011년 후쿠시마원전사고처럼 바다에서 사고가 난 이후에는 그 지역의 오염이 얼마나 심각한지,시간에 따라 나아지는지 조사를 해야합니다. 이때 조사를 하는 연구실이 제대로 된 ... ...
- PART2. 탐사선, 위대한 여정의 시작과학동아 l201509
- 탐사선의 목적이 행성의 궤도에 진입해 행성을 ‘구경’하는 것이었다면, 이제는 스피릿이나 큐리오시티 같은 탐사 로봇을 직접 행성에 착륙시켜 샘플을 채취하고 실험하는 것까지 가능해졌다. 탐사선이 행성과학의 새로운 장을 연 것이다.탐사선은 이제 다음 임무를 준비하고 있다. 하나는 태양계 ... ...
- 화성에서 발견된 동물 다리뼈?어린이과학동아 l201418
- 지구로 보내기도 하지요.화성을 탐사하다니 대단하구나!제가 화성에 오기 전에 이미 ‘스피릿’이나 ‘오퍼튜니티’ 같은 탐사로봇들이 왔어요. 하지만 저는 기존 화성 탐사로봇들과는 달리, 태양광이 아닌 핵에너지로 움직이지요! 저는 17개나 되는 카메라로 화성 곳곳을 촬영하고 2.1m나 되는 ... ...
- 큐리오시티, 화성에서 물을 찾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20
- 엄청난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요. 1976년 바이킹호를 시작으로 패스파인더, 스피릿과 오퍼튜니티, 피닉스 같은 선배 탐사선이 차례로 화성을 방문해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 왔답니다.전 NASA에서 25억 달러를 들여 만든 최첨단 화성탐사선으로 주요 목표는 화성이 생물체가 살 수 있는 환경인지를 ... ...
- PART 4. 구글 in Science과학동아 l201304
- 어떤 과정으로 연결되나요.지구와 화성은 이미 인터넷을 쓰고 있습니다. 탐사로봇 스피릿과 오퍼튜니티, 큐리오시티, 그리고 2개의 화성 궤도선에 행성 간 인터넷, 즉 번들 프로토콜 기능이 들어 있기 때문입니다. 아직 시험기술 수준의 기본 버전이긴 합니다.만일 모든 우주선에 번들 프로토콜(BP) ... ...
- 우주지도분쟁과학동아 l201301
- 지키지 않고 임의로 이름을 붙이는 경우는 처음이 아니다. 2004년에는 화성탐사로버 스피릿이 탐사한 언덕에 NASA가 ‘컬럼비아 언덕’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한 해 전 사고로 폭발한 우주왕복선 컬럼비아 호의 이름을 딴 것이다. 이 지형은 아직 아무도 정식으로 이름을 제안하지 않아 IAU도 이름을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