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상화
d라이브러리
"
시각화
"(으)로 총 96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100% CG 침팬지 ‘시저’의 귀환
과학동아
l
201709
TERVIEW “CG 하려고 ‘수학의 정석’ 다시 공부” Q. 랭글랜즈 감독은 대학에서 컴퓨터
시각화
를 공부했지만 임 감독의 경우 미술과 시각디자인을 공부했다. 컴퓨터 과학과 수학이 필수적인 일을 하는 데 어려움은 없었나. 임창의 감독(이하 임): 내가 대학에 들어갈 때는 영상학과가 없었다. 3차원( ... ...
Part 1. 한국인의 조상을 찾다
수학동아
l
201708
한국인과 미국인의 유전자 거리는 멀게 나오지요. 연구팀은 이 방법으로 유전자 거리를
시각화
해 나타냈는데, 그 결과 한국인이 울치족과 유전자 거리가 매우 가깝게 나타났습니다. 호주의 사진작가 알렉산더 키무신이 지난 6개월 동안 시베리아를 지역을 여행하며 찍은 울치족 소녀. 한국인과 ... ...
[과학뉴스] 50만 개의 뉴런으로 직접 뇌를 그리다
과학동아
l
201706
개의 뉴런을 직접 손으로 그렸다.이 작품은 미국 국립과학재단(NSF)이 주최한 과학 데이터
시각화
경진대회인 ‘2017 더 비지스’의 일 러스트레이션 부문에서 전문가가 뽑은 최고의 사진으로 지난 3월 29일 선정됐다. 이 대회에서는 매 년 사진과, 일러스트레이션 동영상 등 각 분야별 작품 중 전문가와 ... ...
[수학뉴스] 정수 남매의 수학 용어 사전
수학동아
l
201706
데 도움이 돼요. 수학뿐 아니라 각 국가 간의 관계, 사람들의 관계, 동식물의 관계 등을
시각화
할 때도 많이 쓰이고 있답니다.★ 정수 남매가 어떤 수학 용어를 쉽게 설명했으면 좋은지 이메일(gahyun@donga.com)로 의견을 주세요. 채택된 독자에게는 소정의 상품을 드립니다 ... ...
[과학뉴스] 고래의 짝짓기를 엿보다
과학동아
l
201706
주름진 질과 맞는지 재구성했다. 또한 실리콘 모형으로 해양 포유류의 생식기 모양을
시각화
한 결과, 짝짓기 시 암컷의 질과 수컷의 음경이 서로 가장 잘 맞는 최적의 위치가 있음을 확인했다.오르바흐 연구원은 “짝짓기 때 생식기의 상호작용을 관찰했다”며 “해양 포유류 생식기의 진화과정뿐만 ... ...
[과학뉴스] 폐에서 혈액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705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미국 UC샌프란시스코 약학과 마크 루니 교수팀은 세포 움직임을
시각화
할 수 있는 비디오 현미경으로 쥐의 폐혈관 속 거핵세포(위 사진의 초록색)가 체내 면역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관찰했다. 거핵세포는 적혈구와 백혈구, 혈소판을 만드는 적색골수 ... ...
눈부시게 찬란한 數 원주율 π
수학동아
l
201703
부리다안녕하세요. 예술가 엘리 보크입니다. 미국 뉴욕 브루클린에서 수학과 데이터
시각화
를 주제로 예술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공공미술 중에서도 벽화에 관심이 많아 그쪽 일을 하고 있습니다. 공공미술은 사람들이 많이 지나다니는 길이나 공원, 버스정류장, 지하철역 등을 멋지게 ... ...
[소프트웨어] 스마트폰으로 즐기는 프라모델 놀이터 셈스게임즈
수학동아
l
201612
Q 발명가가 되려면 어떤 준비를 해야 할까요?저의 가장 큰 장점은 만들고 싶은 제품을
시각화
할수 있다는 거예요. 신규 서비스를 시작할 때도 어떤 서비스를 할 건지 구체적으로 그리니까 프로그램을 개발해 줄 직원에게 설명하기도 쉬웠고, 투자자도 잘 설득할 수 있었어요. 저는 미술을 전공해서 ... ...
[Career] 슈퍼컴과 친해진 일주일
과학동아
l
201609
시공간이 왜곡되는 현상인‘아인슈타인의 링’이 어떻게 일어나는지 직접 계산하고
시각화
해보기도 했다.슈퍼컴으로 ‘플레이’슈퍼컴퓨터에 익숙해지자 캠프에 참가한 학생들로부터 다양한 아이디어가 쏟아져 나오기 시작했다. 학생들은 아이디어를 모아 팀별로 하나씩 슈퍼컴퓨터를 활용할 ... ...
[수학동아클리닉] 공간 감각을 키우는 쌓기나무
수학동아
l
201607
수를 구할 때 학생들은 보이는 부분의 개수만 세곤 합니다. 보이지 않는 부분을
시각화
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쌓기나무의 개수는 다음 세 가지 방법으로 정확하게 구할 수 있습니다.층별로 나눠 각 층의 쌓기나무 개수를 구합니다.밑그림에 번호를 표시해 각 번호의 쌓기나무 개수를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