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연"(으)로 총 315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카멜레온 같은 감성금속으로 말할 것 같으면과학동아 l201709
- 이 센터장은 다양한 색상을 띠는 ‘컬러합금’을 개발하고 있다. 동합금에 주석이나 아연을 섞는 비율뿐만 아니라, 합금 액체를 얼마나 빠른 속도로 식히느냐에 따라 최종 색상이 달라진다. 내부에 생기는 석출 입자의 크기와 양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는 수많은 조합별로 실험한 결과를 ... ...
- [Issue] ‘알쓸신잡’ 자외선차단제 고르는 법3과학동아 l201708
- 광고하는 제품들도 실은 녹차추출물, 올리브오일과 함께 이산화티탄(TiO2)이나 산화아연(ZnO)이 들어 있는 무기 자외선차단제더군요. 무기 자외선차단제가 더 안전하다고 느끼는 것은 유기 자외선차단제에 비해 시중의 제품군이 적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일 겁니다. 2014년 까지만 해도 나노 크기인 ... ...
- Part 2. 해저 광구는 보물창고?!어린이과학동아 l201704
-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답니다.주세종 책임연구원은 “이 지역은 높이가 20m보다 훨씬 크고 아연, 구리 등의 성분을 많이 함유한 열수분출공이 30~40개씩 밀집해 있었다”면서 “우리 연구팀은 현재까지 발견된 해저 광구의 비활성 열수분출공 군집 중 가장 큰 곳으로 보인다”고 말했답니다. 인터뷰 ... ...
- Part 1. 여기는 대한민국 탐사광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04
- 자원이 묻혀 있는 ‘해저 광구’가 있기 때문이에요.해저 광구는 바다 속 광산과 같아요. 아연과 구리, 금, 은 등 금속뿐만 아니라 금속 성분들이 뭉쳐서 돌처럼 만들어진 망간단괴와 망간각 같은 광물들이 많이 묻혀 있지요. 또 인간 활동에 중요한 에너지원인 석유나 석탄이 묻혀 있기도 해요 ... ...
- [Future] 갤럭시노트7 430만 대의 운명은?과학동아 l201703
- 하려면 잘게 부수는 전처리 과정이 필요하다. 습식제련을 하는 국내 기업으로는 고려아연, 성일하이텍 등이 있다. 한국의 도시광산이 일본으로 유출되는 이유신호정, 강홍윤, 정원주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자원순환기술지원센터 연구팀이 2013년에 발표한 ‘도시광산 산업의 기술개발 중요성 및 향후 ... ...
- [Photo] 티타늄과 그 광물들 上 거인신이 남긴 선물과학동아 l201702
- 새로운 재료가 필요했고, 탐구 끝에 현대문명의 근간이 되는 철과 알루미늄, 구리, 아연 등의 '현대 금속'이 등장했다. 철은 합금 기술을 더욱 발전시켜, 더 다양한 범위로 확대 사용되면서 현대 문명의 대들보 같은 존재게 됐다. 알루미늄은 금속 원소 중 지각에서 가장 많은 비중(8.2%)을 차지하지만, ... ...
- [과학뉴스] 보안이 걱정된다면 ‘녹아 없어지는 메모리’과학동아 l201702
- 이를 자외선으로 바꾸는 ‘업컨버팅 나노입자’를 개발했다. 이어 망간을 도핑한 산화아연 박막에 정보를 저장하는 차세대 메모리인 저항메모리(RRAM)를 5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 두께로 제작했다. 이 메모리 위에 업컨버팅 나노입자와, 자외선을 받으면 산성물질을 내는 ‘광산발산제’를 넣은 ... ...
- [쇼킹 사이언스] 거대한 보석들이 반짝반짝 나이카 결정 동굴어린이과학동아 l201621
- 결정들이 꽉 차 있는 이곳은 멕시코 북부에 있는 나이카(Naica) 광산의 동굴이에요. 납과 아연, 은을 캐는 광산을 개발하다가 우연히 거대한 결정들이 있는 동굴을 발견하게 됐지요. 이곳에 있는 가장 큰 결정은 너비 1.2m에 높이가 무려 15m나 된답니다. 전세계에서 가장 큰 결정이라고 해요. 지하 290m ... ...
- [과학뉴스] 사람 소장의 융모 흉내 낸 배터리과학동아 l201612
- 우리 몸의 소장에서 표면적을 넓혀 소화를 돕는 융모 구조를 본떴다. 실험 결과, 산화아연층이 리튬-황 화합물과도 강하게 결합하면서 더 많은 리튬이온을 포획해 배터리 용량이 늘어났다.연구에 참여한 금속재료과학과 파울 콕슨 교수는 “기존의 배터리의 단점을 극복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11
- 왼쪽 그림). 인공근육은 로탁세인 기반의 분자체로, 구리이온(Cu+)을 만나면 길게 펴지고, 아연이온(Zn2+)을 만나면 줄어든다. 전체 길이의 27%가 줄어들며, 실제 우리 몸의 근육 단백질인 미오신의 움직임과 비슷하다.두 분자기계 모두 외부의 자극에 의해 기계와 같은 움직임을 보여줬다는 점에서는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