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아카데미과학"(으)로 총 32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축제 같았던 2017 개기일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휴우~, 개기일식 시간에 딱 맞춰 도착했네. 정말 다행이야. 그런데 태양이 달에 서서히 가려지는 모습이 장관인걸! 게다가 수많은 사람들의 함성까지! 와, 정말 신나는 축제 같아! 달이 태양을 가리다!“Oh, my god! Moon blots the Sun!(맙소사! 달이 태양을 가렸어요!)” 지난 8월 21일, 99년 만에 개기일식 ... ...
- Part 4. 개기일식, 영화가 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시민과학자들이 찍은 ‘이클립스 메가무비’개기일식은 지구 표면의 아주 좁은 지역을 통과하면서 일어나요. 바다나 일반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지역인 경우도 많지요. 그런데 올해 개기일식은 미국 여러 도시들을 통과하며 이어져 일반인들도 쉽게 볼 수 있었어요. 이것이 많은 사람들이 축 ... ...
- Part 3. 스마트폰만 있으면 나도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개기일식이 일어나면 얼마나 ‘쿨~’해질까?지구 대부분의 생명체는 태양에너지를 이용해 살아가요. 식물은 광합성을 통해 태양에너지를 영양소로 바꾸어 사용하고, 초식동물은 식물을, 육식동물은 초식동물을 먹이로 삼아 살아가지요. 그런데 개기일식이 일어나면 지표면과 대기가 받는 태양에 ... ...
- Intro. 달이 태양을 꿀꺽! 개기일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안녕! 난 태양의 비밀을 연구하는 개 과학자 ‘핫도그’야. 오늘 태양의 비밀을 푸는 중요한 단서를 제공하는 개기일식이 있다고 해서 그 현장으로 달려가고 있어. 그런데 엇…! 벌써 해가 가려지고 있잖아! 개기일식 장면을 놓치지 않게 서둘러야겠어!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달이 ... ...
- Part 2. 코로나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일반상대성이론을 증명한 개기일식1919년 5월 29일, 역사상 가장 유명한 개기일식이 일어났어요. 바로 1915년 아인슈타인이 발표한 일반상대성이론을 증명한 개기일식이지요. 일반상대성이론에 의하면 무거운 질량을 가진 물체는 강한 중력으로 인해 주변 시공간을 구부러뜨려요. 이때 그 주위를 이 ... ...
- Part 5. 개기일식을 만들어라! 인공 개기일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18
- 놀랍게도 과학자들은 개기일식을 관측하는 것을 넘어 인공적으로 만드는 일에 도전하고 있다고 해!대체 인공 일식을 어떻게 만든다는 거야? 인공 개기일식, 왜 만들까?개기일식은 태양과 지구 사이에 달이 끼어들어 태양을 가리는 현상이에요. 과학자들은 개기일식 당시 달처럼, 태양빛을 가리는 ... ...
- [Issue] 100% CG 침팬지 ‘시저’의 귀환과학동아 l201709
- ‘유인원들의 리더, 시저가 돌아왔다.’영화 ‘혹성탈출’ 3부작의 마지막 편인 ‘종의 전쟁’이 8월 15일 개봉했다. 1968년 이후 이어진 혹성탈출 시리즈로는 일곱 번째로, 대미를 장식하는 영화다. 2011년 처음 개봉한 이번 시리즈는 특히 고도의 컴퓨터그래픽(CG) 기술을 총동원해 유인원을 사실감 ... ...
- [DJ CHO의 롤링수톤] NASA를 꿈꾸던 소녀, 우주를 노래하다!수학동아 l201708
- ※ 편집자 주: 가장 유명한 미국 음악 잡지 ‘롤링스톤’을 표방하는 롤링수(數)톤. 롤링수톤에서는 음악 이야기뿐 아니라 음악 속에 숨겨진 수학 이야기까지 들을 수 있습니다. QR코드를 찍어 음악을 들으며 읽으면 더 재밌을지도~!우주공학자들의 도시에서 태어나 자라온 한 소녀가 있습니다. 과 ... ...
-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이름을 새로 지어 주세요!갯지렁이나 따개비, 담치 같은 생물들은 바위에 붙거나 모래로 집을 짓기 위해 끈끈한 물질을 갖고 있어요. 이 끈끈한 물질을 연구하면 물속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접착제를 개발할 수도 있지요. 지난 2015년에 포항공대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는 갯지렁이에 힌트를 얻어 의 ... ...
- Intro. 갯바위 생물의 생존 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으오오오옷!기서 엄청 큰 파도가 오고 있어! 집채만 한 게 우리를 집어 삼킬 것만 같아! 하지만 난 너무너무 행복해~! 바위 해변에 사는 우리를 소금물로 적셔 줄 유일한 수단이거든. 자, 모두들 준비됐지?3m, 2m, 1m…. 파도 온다아~!▼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갯바위 생물의 생존 비법Part 1. 바다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