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억제"(으)로 총 1,27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뇌가 크면 외국어를 잘한다?과학동아 l201708
- 별아교세포의 작용이 활발해진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쥐에게 아쿠아포린4 유전자 발현을 억제시켰더니 해마 부위가 커지지 않고, 공간을 기억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는 점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아쿠아포린4 유전자의 발현이 적은 사람들도 연구한 결과, 이 유전자가 발달한 사람에 비해 뇌 크기가 ... ...
- 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귀환과학동아 l201708
- 자신이 살기 위해 뇌 속의 면역기능을 조절하는데, 이것이 알츠하이머의 발현을 억제시켰을 것”이라며 “그렇다고 알츠하이머에 걸린 사람의 뇌에 톡소포자충을 감염시킬 수는 없으므로 톡소포자충이 베타아밀로이드 플라크를 없애는 면역 반응은 무엇인지, 어떤 물질이 이를 일으킬 수 있는지를 ... ...
- [Issue] 수능 100일 전 뇌과학자가 들려주는 공부 비법 10과학동아 l201708
- 뇌에 있는 긍정적인 회로를 활성화해 공부에 도움이 되거든요. 반대로 실망감, 패배감은 억제성 신경계를 활성화해 공부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으니 주의하세요. 6. 몸을 쓰지 않으면 뇌가 고생!운동을 하면 뇌로 가는 혈류가 증가해 뇌 기능이 좋아집니다. 미국 하버드대 의대 정신과 존 레이티 ... ...
- Part 4. “나 하나쯤이야” 무너지는 집단면역 생태계과학동아 l201707
- 대부분의 사람들이 면역력을 가짐으로써 집단 내에 감염 확산을 차단하고 질병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개념이다. 집단면역의 개념은 1840년 영국 의사 윌리엄 파가 처음 제시했다. 집단면역이라는 용어는 1923년 5월 영국의 세균학자인 W.W.C 토플레이와 G.S 윌슨이 ‘위생학 저널’에 쓴 ‘감염의 ... ...
- Part 2. 암세포가 서로 협력한다고?과학동아 l201706
- 작용이다.음성 상호작용에는 경쟁과 편해공생이 있다. 경쟁은 클론 사이에 서로 억제하거나 죽이는 분자를 분비하는 작용이다. 대개 영양분이나 산소와 같은 자원이 한정적일 때 발생한다. 편해공생은 경쟁과 비슷하지만 한쪽이 일방적으로 피해를 입는 작용이다. 이로 인해 약한 클론이 멸종하고 ... ...
- [Issue] 짭조름한 천덕꾸러기? 소금의 반전과학동아 l201706
- 쥐에게서 가장 높았다. 박 교수는 “대장 조직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죽염이 발암 과정을 억제하고(암세포의) 세포사멸을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특히 한국산 천일염의 경우 정제염과 달리 마그네슘과 칼륨 등의 미네랄이 들어있고, 해외에서 생산한 천일염에 비해서도 그 양이 많다. ... ...
- [Issue] 슈퍼박테리아 비상, 그런데… 한국엔 재래식 무기만 있다과학동아 l201706
- 이른바 ‘슈퍼박테리아’가 나올 가능성도 더 커졌다. 문제는 한국에 이들 다제내성균을 억제할 강력한 최신 항생제가 없다는 사실이다. 내성을 갖추면서 세균은 점점 강력하게 변하는데, 재래식 무기로만 맞서야 하는 상황이다.슈퍼박테리아에 쓸 최신 항생제… 한국엔 없다한국은 슈퍼박테리아 ...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06
- 발현될 경우 T세포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는 데 착안했다. PD-L1과 PD-1의 결합을 억제하도록 항PD-L1 및 항PD-1 면역항암제를 주입해 폐암, 대장암에서 항암효과를 거뒀다. 폐암은 암 중에서도 발생률과 사망률이 가장 높은 암이다.이렇게 면역을 조절하는 항암치료는 암세포가 다양할수록 오히려 ... ...
- Part 1. 기대수명 90세는 통계의 환상?과학동아 l201705
- DNA 메틸화는 DNA 염기 중 시토신(C)에 메틸기(-CH3)가 붙는 현상으로,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화학적 변형이다(나이와 DNA 메틸화에 의한 유전자 발현의 억제, 질병과의 관련성은 3파트에서 다룬다).DNA 메틸화는 주로 시토신과 구아닌(G)의 반복적인 서열이 존재하는 부위, CpG 섬(CpG island)에서 일어난다. ...
- [Issue] 공중화장실이 두려운 그대… 뇌에 새겨진 스트레스, 강박증과학동아 l201705
- 본인의지로도 충분히 고칠 수 있다. 전두엽 기능이 떨어져 특정 행동을 반복하는 것을 억제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이 방법을 사용한다.하지만 증상이 심한 사람은 이것만으로는 고쳐지지 않는다. 뇌의 선조체(90쪽 그림)가 기능이 떨어져 불안한 생각이 자꾸 떠오르는 경우다. 이 경우는 우울증과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