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이러스
병원균
병균
d라이브러리
"
여과성병원체
"(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2003년 디디에르 라울 교수의 미미바이러스 발견
과학동아
l
200901
1992년 영국 브레드포드의 한 병원에서 폐렴환자가 집단으로 발생하는 사고가 생겼다. 관계자들은 병원 냉각탑을 주목했다. 이런 곳에 사는 레지오넬라균이 종종 폐렴을 일으키기 때문이었다. 영국 공중보건연구소(PHLS) 연구자들은 냉각탑을 방문해 여러 곳에서 시료를 채취했다. 예상대로 시료에서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712
증식하며 인공적으로는 배양할 수 없는 것 세균여과기로 걸러낼 수 없다는 의미에서
여과성병원체
라고도 한다 크기는 04μ(미크론)에서 001μ정도 이것은 생존에 필요한 물질인 핵산(DNA나 RNA)과 약간의 단백질 외에는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생물의 세포에 기생해서만 살아간다 이런 ... ...
지구 중심을 들여다보기 위한 항해
과학동아
l
200704
증식하며 인공적으로는 배양할 수 없는 것 세균여과기로 걸러낼 수 없다는 의미에서
여과성병원체
라고도 한다 크기는 04μ(미크론)에서 001μ정도 이것은 생존에 필요한 물질인 핵산(DNA나 RNA)과 약간의 단백질 외에는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생물의 세포에 기생해서만 살아간다 이런 ... ...
세계의 멸종 위기 고래
과학동아
l
200607
증식하며 인공적으로는 배양할 수 없는 것 세균여과기로 걸러낼 수 없다는 의미에서
여과성병원체
라고도 한다 크기는 04μ(미크론)에서 001μ정도 이것은 생존에 필요한 물질인 핵산(DNA나 RNA)과 약간의 단백질 외에는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생물의 세포에 기생해서만 살아간다 이런 ... ...
나노 바코드 레이블
과학동아
l
200509
증식하며 인공적으로는 배양할 수 없는 것 세균여과기로 걸러낼 수 없다는 의미에서
여과성병원체
라고도 한다 크기는 04μ(미크론)에서 001μ정도 이것은 생존에 필요한 물질인 핵산(DNA나 RNA)과 약간의 단백질 외에는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생물의 세포에 기생해서만 살아간다 이런 ... ...
6대의 탐사선이 생명체 존재 여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01
증식하며 인공적으로는 배양할 수 없는 것 세균여과기로 걸러낼 수 없다는 의미에서
여과성병원체
라고도 한다 크기는 04μ(미크론)에서 001μ정도 이것은 생존에 필요한 물질인 핵산(DNA나 RNA)과 약간의 단백질 외에는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생물의 세포에 기생해서만 살아간다 이런 ... ...
눈사태 집중 해부
과학동아
l
200303
증식하며 인공적으로는 배양할 수 없는 것 세균여과기로 걸러낼 수 없다는 의미에서
여과성병원체
라고도 한다 크기는 04μ(미크론)에서 001μ정도 이것은 생존에 필요한 물질인 핵산(DNA나 RNA)과 약간의 단백질 외에는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생물의 세포에 기생해서만 살아간다 이런 ... ...
바이러스 신상명세서
과학동아
l
199907
바이러스는 1898년 소의 발과 입에서 발생하는 수포성 질환을 연구하던 과정에서 우연히 발견됐다. 당시 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곰팡이나 박테리아와 같은 병원균의 일종으로만 생각했다. 하지만 세균여과기에 걸러지지 않았기 때문에 바이러스의 존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그래서 일정기간 ... ...
러시아의 희망 무너져
과학동아
l
199612
증식하며 인공적으로는 배양할 수 없는 것 세균여과기로 걸러낼 수 없다는 의미에서
여과성병원체
라고도 한다 크기는 04μ(미크론)에서 001μ정도 이것은 생존에 필요한 물질인 핵산(DNA나 RNA)과 약간의 단백질 외에는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생물의 세포에 기생해서만 살아간다 이런 ... ...
1. 생물 속에서만 생명얻는 '불완전 생물'
과학동아
l
199402
사실을 발견. 이것이 동물 바이러스 최초의 보고가 된다.1901년 미국의 리드, 황열병이
여과성병원체
때문에 일어난다는 사실 발견. 사람에서 발견된 최초의 사례다.1907년 사마귀의 원인인 파필로마 바이러스를 확인. 그후 바이러스성 질환이 속속 밝혀짐. 1909년 폴리오, 1919년 헤르페스, 1931년 ...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