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전
d라이브러리
"
오보
"(으)로 총 2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살아 있는 연구실, 닭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2
에워싸고 얇은 막이 둘을 감싸면, 자궁에서 달걀 껍데기가 만들어지지요. 이때 ‘
오보
클레디딘-17(OC-17)’이라는 단백질 성분이 달걀 껍데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요.지난 2010년 영국 셰필드대학교와 워릭대학교 공동 연구팀은 닭이 없으면 달걀이 존재할 수 없다고 밝혔어요. ... ...
날조 의혹 STAP 세포 논문, 결국 철회하기로
과학동아
l
201407
한편 STAP 세포 논문이 게재된 ‘네이처’의 3일자 블로그에는 일본 언론 보도를 인용해
오보
카타 연구주임이 쥐의 세포에서 확립했다고 주장한 STAP 세포주 8개를 포함해 STAP 세포주 20개를 외부 기관에 보내 검증한 결과, 어느 하나도 쥐의 모세포와 일치하지 않았다는 내용이 올라왔다. 이에 따라 ... ...
황우석 대
오보
카타 하루코
과학동아
l
201404
오보
카타 사건을 과학적 사기 사건으로 결론내리는 것에 유보적이다. 이미 살펴보았듯이
오보
카타 사건에 심각한 연구부정 행위가 존재했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특히 합당한 비판에 차분하게 대응하며 과학계 내부에서 문제가 해결되고 있다는 점은 이 사건으로부터 우리 사회가 배웠으면 ... ...
줄기세포 혁명? 또 한 번의 악몽?
과학동아
l
201403
모든 궁금증이 해명된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 이 연구가 ‘진짜’인지 확인해야 한다.
오보
카타 박사는 지난해 봄에도 ‘네이처’에 스탭세포 관련 논문을 보냈다가 ‘실수로 얻은 결과’라며 게재를 거절당했다. 네이처 편집진조차 믿기 어려웠던 것이다.필자가 박사 과정 중 2006년 야마나카 신야 ... ...
쓰레기 채식은 육식보다 해롭다
과학동아
l
201302
유화제, 합성착향료(양파맛)…. 어디에도 육류는 없고 심지어 어패류도 없다. 락토
오보
채식인이 먹어도 무방하다. 그런데 문득 서늘한 기분이 든다. 대표적인 인스턴트 식품인 과자가 몸에 좋을 리 없지 않은가.그렇다면 쓰레기 음식(정크푸드)을 먹으면서 ‘나는 육류를 먹지 않았다’고 안도하는 ... ...
모든 비과학에 맞선다
과학동아
l
201206
가장 일어나기 쉽다. 누군가 천재적인 사기꾼이 있거나 영향력 있는 언론에서 대형
오보
를 내면 되는 일이기 때문이다.이렇게 기적을 ‘개연성이 낮은 일’로 바꿔보면 굳이 기적이 일어났다고 주장할 이유가 사라진다. 말장난 같지만, 도킨스 주장의 핵심을 요약하자면 대략 이렇다. “일어날 법 ... ...
법정에 선 지진학자
과학동아
l
201111
있습니다.지진과 마찬가지로
오보
를 할 경우 피해가 큰 분야가 기상입니다. 기상청이
오보
를 했다고 하더라도 통상적인 사실 조사를 하고 주의를 기울여 예측을 한 이상 법적 책임을 묻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폭우 같은 재난을 예측했지만 그에 상응하는 통보를 하지 않았다면 기상청에 책임을 물을 ... ...
기상
오보
바로잡을 파란 눈의 ‘구원투수’ 나섰다!
과학동아
l
200911
수 있는 분야입니다.”위험 기상에만 대처하는 예보관 별도 마련사실 지난해에는 기상
오보
가 많았다. 단장에게 특별히 한국에서 단기예보가 맞지 않는 이유를 물었다.“기자가 대기과학 전공이라고 했으니 좀 더 전문적인 얘기를 할게요(웃음). 보통 대부분은 날씨가 이렇게 좋죠(인터뷰를 하던 ... ...
속 타고 긴장된 기상예보 1박 2일
과학동아
l
200902
눈이 안 오고 강남에만 눈이 왔단다. 그리고 이것 때문에 아침부터 한 방송사가 “기상청
오보
”라는 뉴스를 내보냈단다. 조금 전 식당에서 허탈해 하던 예보관의 얼굴이 떠올랐다. 억울할 만도 하겠다.1월 14일 11:00“장성에 적설 있어?”“오후에! 장성 있고, 정읍도 있어.”“고창, 강수 확률 100 ... ...
PART3 수학의 봄날 올까?
과학동아
l
200704
‘정리’라고 부르지만, 사실 이것은 ‘페르마의 추측’이다. 몇 년 전에 풀렸다는
오보
가 떠돌았던 ‘리만 가설’ ‘골드바흐의 추측’ ‘쌍둥이 소수 추측’도 있다.수없이 계산해 본 뒤 증명하기는 쉽지 않지만 그럴 듯해 보이는 결과가 나오면 그것이 추측이 된다. 물론 이 추측이 쉽게 풀리는 ... ...
1
2
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