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용감함"(으)로 총 12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최첨단 시금치, 전자 기술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0
- ▲인공 광합성 장치의 모습을 나타낸 그림시금치는 물에서 수소를 만드는 마술사?미세먼지를 포함해 각종 대기오염으로 지구가 병들어가는 요즘, 깨끗한 미래의 에너지원으로 수소가 주목받고 있어요. 그런데 수소 연료엔 한 가지 문제점이 있답니다. 에너지원으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수소를 만 ... ...
- [헷갈린 과학] 꼬리로 구분해요! 불도그 VS 퍼그어린이과학동아 l201710
- 불도그는 영국 출신의 견종이에요. 처진 볼 살과 눌린 듯한 납작한 외모로 사람들에게 큰 사랑을 받고 있지요. 몸높이는 30~35㎝이고 몸무게는 23~25kg인 중형견으로, 비교적 큰 몸집을 갖고 있어요. 두꺼운 목과 넓은 어깨, 짧으면서도 매우 튼실한 다리가 특징이지요. 꼬리는 굵지만 매우 짧고 엉덩이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만수르의 비밀 훈련어린이과학동아 l201706
- 시원이와 친구들이 바스락거리는 소리에 놀라 뒤를 돌아보니 한 친구가 서 있었어요.“넌 부잣집 외아들 만수르잖아? 여긴 웬일이야?”“나도 비밀과학수사대에 껴 줘. 날 비밀과학수사대에 합류시켜 주면 한 가지 제안할 게 있어. 바로 비밀 훈련이야!”시원이와 오로라, 파부르는 의논 끝에 만수 ... ...
- 수학을 사랑한 뇌요미 박경수학동아 l201702
- 1월 18일, 박경의 미니앨범 ‘노트북’이 나왔다. 박경은 2011년에 데뷔한 아이돌 ‘블락비’의 멤버로 수많은 곡을 발표했고, 솔로 음원 ‘보통 연애’, ‘자격지심’, ‘오글오글’로 많은 사랑을 받았다. 그래도 앨범 발매를 앞두고는 여전히 설레고 긴장된다.“하루 종일 걱정 반, 기대 반이에요. ... ...
- [Tech & Fun] 다음 체중계과학동아 l201609
- 돌아가시기 며칠 전, 갑자기 정신이 맑아지신 외할머니가 자식들을 불러 손녀들의 몸무게를 물어보셨다. 그리고 은경에게 유품으로 체중계를 남기셨다.“애지중지하시던 건가요?”“아니, 창고에 처박혀 있던 건데.”“그럼 이걸 왜 저한테 주신 거예요?”영문은 알 수 없었지만 일단 받았으니 다 ... ...
- [소프트웨어] 게임카페_소리만 듣고도 원샷 원킬!수학동아 l201604
- 상대 팀은 우리를 방해하기 위해 공격해 올 거예요. 저 안에 몇 명이나 되는 상대편이 어디에 숨어있는지 알 수가 없으니 답답하네요. 이럴 땐 역시 ‘파이어 인 더 홀’을 외치며 수류탄을 던져 터뜨린 다음, 용감하게 뛰어 들어가야 해요!잠깐! 누군가 뛰어오는 소리가 오른쪽 1시 방향에서 들려요. ... ...
- [Editor’s Note] 고수과학동아 l201602
- 가장 추울 때 가장 뜨거웠다. 2월호를 만들기 위해 동분서주했던 1월은, 한 주가 넘게 이어진 한파와 가장 좋은 잡지를 만들려고 하는 기자들의 노고가 충돌하며 때아닌 장마전선을 만들었다. 여름 장마는 뜨겁고 축축한 무거운 비를 만들지만, 편집부 기자들과 디자이너들이 만든 겨울 장마는 차고 ... ...
- [Tech & Fun] 다윈의 특별한 어려움과학동아 l201602
- 길을 걷다 보면 발 밑에 조그만 개미들이 기어간다. 정말 하찮은 미물이다. 누가 이들에게 신경이나 쓰겠는가? 믿거나 말거나, 찰스 다윈에겐 이들이 엄청난 우환거리였다. 다윈은 일개미나 일벌처럼 자신은 새끼를 낳지 않으면서 집단을 위해 헌신하는 불임성 일꾼 계급이 어떻게 자연 선택에 의해 ... ...
- 꿀벌 탐사대 출동!어린이과학동아 l201521
- 따듯한 햇살이 빛나던 가을날, 전북 완주군 국립농업과학원에 지구사랑탐사대 3기가 출동했어요! 이번 지구사랑탐사대의 목표는 꿀벌을 직접 만나는 것!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꿀벌 전문 연구원분들과 함께해서 더 유익하고 즐거웠던 10월의 꿀벌탐사 현장으로 떠나 볼까요?10월 17일 오후, 지 ... ...
- Intro. 대한민국을 지지고 볶는 탐식 열풍과학동아 l201508
-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사람들은 상사가 “나는 짜장면!” 이라고 하면 “짜장면으로 통일!”이라고 외쳤다. 통일이 민족적 사명이어서가 아니라 음식으로 취향을 표현한다는 것 자체를 먼 나라 미식가의 사치로 여겼기 때문이다. 그런데 달라졌다. 사람들이 수십 개나 되는 요리 방송을 꼬박꼬박 챙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