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의식
자성
자기의식
자아의식
인식
자기인식
d라이브러리
"
자각
"(으)로 총 107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
과학동아
l
201706
결과가 우연한 것인지 충분히 납득할 만한지 데이터를 쌓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자각
하지 못할 뿐, 우리는 최면에 걸려있다연인들은 함께 있을 때의 시간이 쏜살같이 지나간다고 한다. 좋아하는 책을 읽거나 기다리던 영화를 보는 일도 마찬가지다. 우리는 가끔 시간이 느려지기도 하고 ... ...
[Issue] 공중화장실이 두려운 그대… 뇌에 새겨진 스트레스, 강박증
과학동아
l
201705
사실을 다른 사람에게 들키지 않으려고 숨긴다. 그 결과 강박증이 있다는 것을
자각
하고도 병원에 가는 데 몇 년이 걸리기도 한다.그렇다면 어떤 사람이 강박증을 겪을까. 권 교수는 “강박증을 겪을 만한 요인을 가진 사람이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강박 증상을 나타낼 확률이 높다”고 ... ...
Part 3. 진단부터 치료까지 프랙탈 의학
과학동아
l
201612
차고 일상생활이 힘들어진다.전세계 사망원인 4위일 만큼 흔하지만, 폐기종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잘 나타나지 않아 조기 발견이 어렵다. 얼마나 빨리 진행될지 예측도 쉽지 않다. 게다가 한번 망가진 폐포는 되살리기가 어려워 떨어진 폐기능을 되돌리기도 어렵다. 폐기종이 심각하게 진행된 환자는 ... ...
OUTRO. 우리는 과연 진짜일까?
수학동아
l
201609
창조하는 소재의 영화다. 꿈속으로 여행을 많이 하게 될수록 점점 현실과 꿈의 차이를
자각
하지 못하게 된다. 그래서 현실과 가상 세계를 구분하는 수단으로 ‘토템’을 사용한다. 주인공 코브의 토템은 팽이로, 현실이라면 어느 순간 멈추는 팽이가 가상 세계에서 돌리면 멈추지 않고 계속 돈다. ... ...
Part 1. 금메달 컨디셔닝
과학동아
l
201608
화면에 색깔(신호등)로 나타난다. 반복된 학습을 통해 자신의 안정상태와 불안상태를
자각
할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훈련은 끝났다. 이제는 ‘컨디셔닝’Part 1. 금메달 컨디셔닝Part 2. 생활에서도 스포츠 ... ...
[Tech & Fun] Science Fiction_추억충
과학동아
l
201606
담은 것이었나요? 제 주변에 추억충을 전문으로 연구하는 친구들이 있습니다. 감염자의
자각
이 이렇게 분명한 경우라면….”“그냥 기분이 좀 이상했어요. 가끔가다가 다른 사람이 된 기분이 든달까. 게다가 요새 제가 시베리아 우주선에 대한 책을 번역하고 있거든요. 혹시나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
과학동아
l
201505
비둘기에 부착하면 목적지를 잘못 찾아가기도 한다. 과거에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자각
이 실험을 통해 밝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연구는 아직도 ‘진행 중’이라는 점에서 새의 반전매력이 어디까지일지는 그 누구도 예측하기 어렵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새는 왜 강한가Part 1. ... ...
[과학뉴스] 파킨슨병 조기검진, 스마트폰·컴퓨터만 있으면 OK
과학동아
l
201505
손이 떨리고 몸이 둔해지는
자각
증상이 나타날 때면 이미 뇌세포의 70~80%가 손상돼 회복이 어려운 무서운 병이다. 그런데 최근 이런 파킨슨병을 조기에 손쉽게 검진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공개됐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루카 지안카를로 박사 연구팀은 사용자가 컴퓨터 자판을 누르는 패턴을 ... ...
[Hot Issue] 인류, 예술가가 되다
과학동아
l
201503
활용해 다듬은 것도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하지만 반론도 있다. 예술작품이라는
자각
이 없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아름다운 도구’일지언정 예술은 아니다. 배기동 교수는 “호모 에렉투스의 석기인 아슐리안형 주먹도끼(50만 년 전)에서 대칭의 성질은 발견된다”며 “심미적으로 다듬었을 ... ...
[life & tech] 가족이 화병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10
전문가에 의해서 객관적으로 판단되는 질병이라기보다는 환자나 환자 주변 사람들이
자각
해서 판단하는 병이에요.화병의 독특한 점은 이뿐 아니에요. 화병은 우리나라의 사회환경과 가족문화 때문에 발생한다는 점에서 ‘문화의존증후군’이라고 볼 수 있어요. 작년까지 전 세계 정신의학계에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