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성"(으)로 총 1,296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16
- 표층해류를 따라 움직이기 쉽거든요. 러버덕을 추적해 전세계 바다의 해류 지도를 작성할 계획을 세운 거예요. 러버덕을 추적한 지 15년이 지난 2007년, 에베스메이어 연구원은 드디어 해류의 흐름을 지도로 나타내 발표했어요. 1992년 맨 처음 미국 싯카에 도착한 이후 알래스카 연안, 알류산 섬 등을 ... ...
- Part 2. 시민과학과 드론으로 모기를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모기의 유충을 찍어 앱에 올리면 돼요. 그럼 이 정보를 모아 전세계 모기 서식지 지도를 작성하고, 전염병을 옮기는 모기가 늘어나는 것을 막는 데 활용할 수 있지요.모기가 빤 피를 분석해 전염병을 막아라!신종 질병의 75% 정도는 동물에게서 인간으로 전해졌어요. 그런데 이 과정을 연구하기란 ... ...
- [지사탐 우수 대원 소개] 곤충사업가를 꿈꿔요! 열혈 신규대원 ‘알럽곤충’팀어린이과학동아 l201713
- 곤충의 서식 환경과 비슷하게 채집통을 꾸며 주고, 돋보기로 관찰하며 연구 보고서를 작성해요. 직접 그림을 그리는 것도 관찰에 도움이 되더라고요. 참! 관찰한 곤충은 다시 꼭 자연으로 돌려보내 줘요.디엘 대원의 꿈은 무엇이에요?곤충사업가요!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지 못하는 곤충을 세상에 ... ...
- Part 2. 5人 5色 인터뷰과학동아 l201709
- 최순섭 교수의 권유로 ‘충주시 공가 및 공점포의 현황 및 특성에 관한 연구’ 제안서를 작성해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WISET)의 ‘여대학(원)생공학연구팀제 지원 사업’에 지원했다. 이를 통해 그는 생애 첫 연구책임자로 발탁됐다. 학부 연구생 2명, 여고생 4명과 한 팀을 이뤄 5개월간 충주시 ... ...
- Part 3.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과학동아 l201709
- 타 분야 여성들과 다른 특별한 지원을 바라는 게 아니라고 했다. 어차피 실험과 논문 작성, 학회 발표 등 업무는 다른 사람이 대신 해줄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박지현 한국화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은 “과학기술 연구자로서가 아니라 대한민국 ‘워킹맘’으로 원하는 건 비슷하다”고 말했다 ... ...
- [Culture] 돌아간 사람들과학동아 l201708
- 밖으로 나갔다.뎀베는 컴퓨터 화면을 다시 불러내 논문작성기를 켰다. 아무래도 직접 작성할 시간이 없을 것 같다는 예감 때문이었다. 그리고 예감이 정확했다는 것을 알게 되는 데 10분도 걸리지 않았다.문이 열리고 이비와 다른 사람들이 들어왔다. 그리고 8명째에 선장이 들어섰다.“이렇게 뵙게 ... ...
- 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708
- program)’이 시작됐고, 2011년 250종의 인간 세포에 대한 1000개의 참조 후성유전학 지도 작성을 위한 ‘국제인간후성유전체컨소시엄(IHEC, International Human Epigenome Consortium)’이 만들어졌다.우리나라도 2012년부터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유전체센터가 이 과제에 참여해 한국인 주요 만성질환 ...
- [수학뉴스] 인공지능에게 어려운 직업은 수학자수학동아 l201707
- 그 결과 스타크래프트 마스터는 6년, 차트 상위권 음악 작곡은 11.4년, 베스트셀러 소설 작성은 33년, 수학 문제 증명은 43.4년이 걸린다고 예측했습니다. 40년이 넘게 걸리는 일은 수학 문제 풀기가 유일했습니다. 인공지능이 발달한 미래에도 안정적인 직업을 갖고 싶다면 수학자를 꿈꿔보는 건 ... ...
- [Issue] 슈퍼 ‘마이너스의 손’의 메이커 도전기, 공기청정기를 내 손으로!과학동아 l201707
- 기사는 한국과학창의재단과 공동기획을 통해 작성됐습니다.#1 청소년 시절, 기자는 침대 옆에 라디오를 놓고 듣다가(1990년대 일상) 종종 불을 켠 채 잠들어 어머니에게 등짝스매싱(!)을 맞았다.요즘이라면 IoT 기술로 침대에 누워서도 전등을 끌 수 있지만, 당시에는 간이 스탠드가 유일한 ... ...
- [Origin] 기체 방울 속에 우주와 블랙홀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06
- 역할을 하고 있다.1925년, 인도 출신의 물리학자 사티엔드라 나트 보스가 논문을 한 편 작성했다. 당시 기술로는 만들 수 없는, 상상과 방정식 속에 존재하는 신비로운 물질에 대한 것이었다. 그는 논문을 왕립학회에 제출했지만 거절 당했고, 다시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에게 보냈다. 신의 한 수란 이런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