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속셈
본심
진심
속뜻
내심
의도
본마음
d라이브러리
"
저의
"(으)로 총 111건 검색되었습니다.
어떻게 내 마음을 읽었지? 프로페서 X가 만난 아키네이터
수학동아
l
201706
인물은 물론 각종 정보를 읽을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아키네이터가 더 발전하기 전에
저의
독심술을 더욱 다듬고 방어 기술을 연마해야겠어요. 그럼 이만~ ... ...
[매스미디어] 히든 피겨스
수학동아
l
201704
18세기 초 유럽인은 여성이 수학과 어울린다고 생각했다. 1704년 창간한 영국의 수학잡지 ‘숙녀들의 수첩’은 “요즘 여성들은 요리보다 수학을 더 좋아한다”며 식재료 보관법이 아니라 수수께끼와 수학 문제만 싣기로 했다. 이 시기에 이름을 떨친 여성도 수학자 마리아 아녜시처럼 수학 분야에 ... ...
[퍼즐탐정 썰렁홈즈 3] 유명 건축가 ‘ 지파나 툭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3
낡은 사무실로 돌아오다?!“사실 전 은퇴를 앞두고 있어요. 썰렁홈즈 당신이라면
저의
마지막 역작에 함께하기에 충분한 것 같군요.”‘지파타 툭탁’은 은퇴를 하기 전 전재산을 털어 공부를 하고 싶어도 못하는 학생들을 위해 학교를 세울 계획이었다. 이런 모습에 감동한 우리의 썰렁홈즈는 돈을 ... ...
[Issue] 사랑 고민상담소
과학동아
l
201702
헌신짝 된다’는 말이 있죠. 저는 이 말이 남 일이라고만 생각했는데, 언제부턴가
저의
가장 큰 고민이 됐습니다. 두 달 정도 됐을까요. 여자친구의 연락이 갈수록 뜸해지고, 통화목록을 봐도 죄다 제가 먼저 건 전화뿐입니다. 서운함을 표현했더니 “너도 너만의 시간을 가졌으면 좋겠다”는 대답만 ... ...
[Culture] 11분의 1
과학동아
l
201701
이런 걸 원하지 않았다고 말한다면……. 저는 뒤로 물러섰고, 남선 오빠가 그런
저의
팔꿈치를 잡았습니다. 더 이상 물러서지 못하게요.기준 오빠가 눈을 떴습니다.의료인 중 한 명이 안약을 넣어주었어요. 그러고도 한참을 초점을 찾지 못하던 눈이 드디어 초점을 찾았습니다.의아함.의아함 말고 ... ...
[가상 인터뷰] 우리의 먼~ 친척, 안경원숭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1
갖고 있대요. 그러면서도 인간과 비슷한 코를 갖고 있지요. 이런 특징 때문에 그동안
저의
진화학적 위치에 대한 과학자들의 의견이 서로 달랐어요.그런데 얼마 전 미국 워싱턴대 연구팀이 우리 안경원숭이의 ‘트랜스포존’ 유전자를 분석했어요. 그결과 안경원숭이가 원원류보다 인간에 더 ... ...
Part 3. 사이좋게 함께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0
주로 ‘옆길게’와 함께 살아요. 옆길게는 2cm 정도 크기의 작은 게예요.
저의
집에서 함께 발견되는 경우가 많답니다.우리가 함께 사는 이유는 아직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어요. 구본주 연구원은 옆길게가 우리의 배설물을 먹으며 함께 사는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어요. 앞으로 연구를 통해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피에로의 정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8
이렇게 외치자 정체 모를 아저씨는 당황하며 급히 오로라의 말을 가로챘어요.“흠흠!
저의
정체는 나중에 밝히기로 하고, 금고에서 찾은 물건은 가져오셨나요?”“네. 여기 있어요!”파부르가 금고에서 꺼내온 물건을 내밀었어요. 물건의 정체는 자주색 양배추였지요.“최종 미션은 자주색 양배추를 ... ...
[가상인터뷰] 두 달 동안 쉬지 않고 훨훨~! 큰군함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5
정말 대단한 비행 실력이죠?일리 : 뛰어난 비행 실력의 비결이 뭐니?큰군함조 : 연구팀은
저의
비행 경로와 제가 비행했던 곳의 주변환경을 함께 분석해 봤어요. 그 결과, 큰군함조가 공기의 흐름을 이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냈지요. 공기의 상승기류를 최대한 활용해 최대한 높은 곳까지 치솟았다가 ... ...
[News & Issue] 대통령 담화문에서 배우는 올바른 사과 비법
과학동아
l
201612
말함으로써 대통령 자신의 잘못은 인정하지 않았다. 뒤이어 “모두
저의
잘못이고
저의
불찰”이라는 문구가 나오지만, 맥락상 실제 책임을 인정한다기보다 자책을 통한 동정심 유발 전략에 해당한다. 이번 담화문 역시 사과 아닌 사과였다. 이를 이미 간파한 국민들이 올바른 사과를 요구하고 있다.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