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방"(으)로 총 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그날’의 사건을 해독한다 新 DNA 과학수사과학동아 l201708
- 진행되고 있다. 과연 DNA는 ‘그 날의 일’을 어디까지 말해줄 수 있을까. 과학수사의 최전방을 찾아갔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그날’의 사건을 해독한다 新 DNA 과학수사Prologue. 당신, 도대체 누구야?Part 1. DNA는 의외로 수다스럽다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Part 3. DNA로 .. ...
-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과학동아 l201706
- 조건에서 뇌의 변화를 관찰했다.그 결과 최면에 빠졌을 때에는 걱정에 관계하는 배측전방대상피질(dACC)의 활성이 크게 줄었다. 또 배측면전두엽피질(dPC)과 측두엽의 옆에 놓인 삼각형 모양의 뇌섬 사이의 연결이 증가했다. 운동조절, 감정 등을 관장하는 뇌섬이 활성화된다는 것은 최면으로 몸을 ... ...
- Intro.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 2017 구제역 바이러스과학동아 l201703
- 대해 농민과 전문가들은 각각 다른 원인을 들고 있다. 또 구제역이 한번 발생한 지역은 전방 3km 이내에 모든 우제류를 살처분하기 때문에 처리 방식에 대한 의견도 분분하다. 구제역은 왜 이렇게 급격하게 퍼지고 있으며, 구제역에 대처할 다른 방법은 없는 걸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Part 4. 인공지능 키워드 3. 센서어린이과학동아 l201607
- 가장 중요한 부품은 지붕 위에 달린 센서 ‘라이더’예요. 라이더 안에는 약 30m 전방까지 볼 수 있는 3D 카메라,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 장비, 위치를 파악하는 GPS, 구글맵 등 다양한 장비가 들어 있어요.라이더는 1초에 160만 번의 속도로 주변의 정보를 읽어내 차량이 위험하지 않도록 조절해요. 앞 ... ...
- [News & Issue] 국민 한 명이 국가 이미지 바꾼다과학동아 l201602
- fMRI)으로 참가자의 뇌를 촬영한 결과, A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하고 난 뒤에는 전방 섬상 세포군 피질(anterior insular cortex)의 활성도가 급격히 증가했다. 이 부분은 타인에게 공감하는 능력과 관계가 깊다.하인 교수는 “낯선 사람과의 긍정적인 경험이 그 사람이 속한 집단 전체를 이해하고 공감하는 ... ...
- Part1. 기나 긴 폭력의 역사, 하지만 본성은 아니다과학동아 l201512
- 전 호모 속 인류 두개골을 연구했다. 연구팀은 두개골에서 사망 전에 생긴 것으로 보이는 전방 두개골 함몰 두 개에 주목했다(왼쪽 사진). 위치나 각도 등을 바탕으로 추정해 본 결과, 이 상처는 두 사람이 맞붙어서 싸운 결과이며 여러 차례의 치명적인 상처가 있는 것으로 보아 의도적인 살해였음을 ... ...
- Part3. ‘살아남은 자’의 슬픔, 뇌를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12
- 증가한 반면, PTSD 환자에게서는 변화되지 않았던 것이다. 연구팀은 추가 연구를 토대로 전방대상피질에 생긴 문제가 편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정상적으로 활성화돼야 할 뇌 부위가 활성화되지 않으면서 다른 부위(편도체)가 극도로 예민해져 감정이 왜곡될 수 있다는 것이다 ...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과학동아 l201510
- 씨와 나잘난 씨, 평범해 씨에게 느낀 질투 정도는 각각 4점, 2점, 1점 정도였는데 배측전방대상피질에서 나타난 반응의 크기도 같은 순서였다. 자신과 관련 없는 분야에서 잘나가거나 자신과 비슷한 처지에 있는 친구들의 이야기를 들을 때보다 자기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친구의 이야기를 들을 ...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과학동아 l201506
- 바다 사정과 문화재를 잘 알기 때문에 함께 연구해야 한다"고 말했다."스캐닝 결과, 전방으로 38m 가야 샘플이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백 연구원의 말이 떨어지자 유승열 연구원이 지시를 내렸다. "바지선 기준 12시 방향으로 일단 5m 전진하겠습니다." 곧바로 이경목 연구원이 키보드를 눌러 ... ...
- 도심형 무인기 드론이 뜬다과학동아 l201406
- 개발 중인 무인자동차 ‘유레카 터보(EureCar Turbo)’와 옥토USRG의 모습. 레이저스캐너와 전방 카메라, 자율주행 컴퓨터를 이용해 운전자가 없어도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자기 스스로 운전한다. 무인자동차와 드론을 이용한 2중 배달 시스템은 세계적으로도 처음 개발됐다.]안전성 더 높이면 10년 이내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