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전서"(으)로 총 20건 검색되었습니다.
- “거북선은 3층, 큰 대포는 앞에만”과학동아 l201511
- 모습일까.Q 거북선은 2층인가, 3층인가A 3층이다. 이순신 장군의 유고 전집인 ‘이충무공전서’에 남아있는 기록과, 이씨 종가에 남은 ‘귀선도’, 이순신 장군이 선조에게 올린 보고서인 장계 등으로 추정한 결과다.Q 3층이라는 기록이 남아 있나A 그건 아니다. 기록을 보면 거북선은 길이가 20m, 폭은 ... ...
- Part 4. 쓰레기가 동물을 먹여살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01
- 강하기 때문에, 사람들은 기원전 5000년부터 애완용 집비둘기나 편지를 나르는 ‘전서구’로 길들였어. 유럽 사람들은 비둘기를 교배해서 아름다운 깃털을 자랑하기도 했지. 하지만 집비둘기가 반려동물로서 인기를 잃은 뒤에는 버려져서 다시 야생으로 돌아왔어. 그런데 도시가 커지고 늘어나면서 ...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수학동아 l201409
- 있다. 또한 1785년 윤행임이 정조의 명령에 의해 편찬한 이순신 장군의 전집인 의 에는 330여 척이라고 소개돼 있다. 이보다 앞서 명량해전의 승리를 기념해 세운 ‘명량대첩비’에는 일본군함의 수가 500여 척이라고 적혀 있기도 하다.이런 차이에 대해서는 이순신 장군의 ...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408
- 자로 나무로 만들어졌다는 것을 의미하죠. ‘난중일기’, ‘이순신 행록’, ‘이충무공전서’에도 거북선의 지붕에 쇠 송곳을 꽂았다고 돼 있을 뿐 철갑선이라는 기록은 어디에도 없다고 해요.둘째, 철판 때문에 부력과 복원력★을 잃었을 것이다.철판은 나무판보다 15배 이상 무거워요. 만약 ... ...
- 30 어린이과학동아어린이과학동아 l201307
- 종처럼 다양한 모습을 갖게 됐어요. 또 길을 잘 찾아 편지를 전하는 용도로 사랑받은 ‘전서 비둘기’가 야생으로 돌아가며 거리에서 볼 수 있는 비둘기에게 다시 영향을 줬다는 연구 결과도 있지요.그런 ‘패션왕’스러운 모습을 갖게 된 이유는 뭐야?저희의 머리 위를 잘 관찰하면 ‘볏’ 같이 ... ...
- 김산수의 산학유랑기수학동아 l201210
- 논설은 다산 정약용의 *와 비견되는 최고의 저술로 평가받고 있다.*는 정약용의 저술을 한데 모은 문집으로 , 등 주옥같은 76 작품이 포함돼 있다. 수학과 국어 연구를 모두 담은 황윤석 학문의 폭과 깊이는 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 ...
- 있다? 없다? 거북선 실종사건어린이과학동아 l201209
- 용머리에서는 포탄을 발사했어요. 유황 연기를 내뿜는 거북선은 조선후기 이충무공전서에 기록된 거북선이지요. 하지만 왜군은 용머리에서 대포를 쏠 때 터지는 불빛 때문에 거북선이 불을 내뿜는다고 생각했을 거예요." 거예요.”이원식 (원인고대선박연구소 소장)이순신 거북선을 찾아라!장군님 ... ...
- 맛있는 세계 면류 총집합과학동아 l200909
- 때 잘 풀린다.이를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이 시도됐다. 일본의 요리책 ‘소바 전서’에는 “쌀 같은 곡류를 풀로 쑤어 첨가하면 점성이 생길지 모르지만 풍미가 떨어지고 두부나 달걀처럼 다른 종류의 단백질도 풍미를 해친다. 마는 효과는 크지만 값이 비싸다”라고 적혀 있다. 이런저런 ... ...
- 호날두의 신무기 무회전 슛과학동아 l200806
- 가장 많은 관심을 모았던 프리킥 슛은 브라질의 호베르투 카를로스가 1997년 6월 프랑스전서 쏜 ‘UFO 슛’이었다. 골대에서 30m 떨어진 지점에서 왼발로 강하게 감아 찬 공은 수비벽을 한참 빗겨나가는 것처럼 보였지만 이내 안쪽으로 휘더니 골대 안으로 빨려 들어갔다.일명 ‘바나나킥’이라고 ... ...
- 모바일이 꿈꾸는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0622
- 뛰어나고 집으로 돌아오려는 귀소 본능이 강하지. 이런 특징을 이용해 잘 훈련시키면‘전서구’라는 편지를 전달하는 비둘기가 탄생해. 1분에 1㎞씩 이동해서 1000㎞나 떨어진 곳에도 편지를 전달할 수 있지. 제1차 세계대전 때에도 프랑스군의 위험을 알리는 등 통신에 많은 역할을 했어. 하지만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