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주
탐라
삼다도
삼무
탐라국
d라이브러리
"
제주도
"(으)로 총 467건 검색되었습니다.
[지사탐 우수 대원 소개] 곤충사업가를 꿈꿔요! 열혈 신규대원 ‘알럽곤충’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3
해 보니 어떤 점이 좋나요?곤충 외에도 다양한 생물종에 관심을 갖게 됐어요. 얼마 전
제주도
에 가서 제비를 열심히 찾았어요. 차를 타고 논길을 지날 때는 개구리 울음소리를 더 자세히 듣기 위해 창문을 내린답니다. 곧 시작되는 매미 탐사도 정말 기대돼요!디엘 대원만의 탐사 비법을 알려 주세요~ ... ...
[Origin] ‘지질조사 어벤져스’의 한라산 비밀의 숲 탐험기
과학동아
l
201708
점점 더워지는 과거의 기후변화 경향성을 파악할 수 있다”며 “그 정보를 토대로 미래
제주도
기후가 어떻게 변할지를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한라산의 과거와 현재를 기록하는 지질연구 어벤져스이날 동행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연구팀은 모두 다섯명이었다. 고기후 전문가인 임재수 ... ...
[식물 속 동물 찾기] 털이 송송~! 노루의 귀를 닮은 노루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6
수 있을 거예요.
제주도
나 울릉도에서는 다른 종의 노루귀를 볼 수 있어요. 땅이 척박한
제주도
나 남해안 지역엔 노루귀보다 크기가 작은 ‘새끼노루귀’가 노루귀와 함께 자라요. 반면 습도가 높고 유기물이 풍부한 울릉도엔 노루귀보다 큰 ‘섬노루귀’만 자란답니다 ... ...
[Issue] 어느 물리학자의 일기장
과학동아
l
201705
일본 오사카에서 태어난 뒤 광복 후 부모의 고향인
제주도
로 돌아왔지만,
제주도
에서 일어난 민간인 학살사건 (4.3사건)을 경험하면서 일본으로 돌아갔다. 힘들게 아르바이트를 하면서도 일본 최고의 명문대인 도쿄대에 입학한 그는, 수학을 전공했지만 졸업 후 다시 물리학을 공부해 동기생들보다 ... ...
[Origin] 중국과학원 물토양보존연구소
과학동아
l
201704
함께 사막화를 막는 식물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중국 북서부 지역은 매년
제주도
면적의 1.5배가 넘는 넓은 땅이 사막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여기서 만들어진 모래바람이 봄철이면 우리나라까지 날아오는데요. 가장 큰 원인은 과도한 방목과 산림 훼손입니다. 공동 연구팀은 지역 사람들에게 소득을 ... ...
[Issue] 전통 막걸리, ‘ 미생물 배합’으로 부활할까
과학동아
l
201704
효모는 단배체였다. 강 교수는 “유전자를 분석한 뒤 매우 놀랐다”며 “이배체인
제주도
효모로 만들어진 술이 포항의 것보다 조금 더 향이 풍부했다”고 말했다. 미생물 ‘배합’이 전통누룩 성공 결정식품연에서 기자가 본 누룩에는 여러 특성테스트를 거쳐 선발된 우수한 누룩곰팡이가 들어 ... ...
Part 1. 기후변화 회의론에 대한 회의론 8
과학동아
l
201703
폭설로 제주국제공항이 고립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지난해 10월에는 태풍 ‘차바’가
제주도
와 내륙 남부를 할퀴고 지나갔다.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 재앙은 갈수록 많아질 것이다. 예측상 온실가스 저감 정책을 상당히 실현하는 경우(RCP 4.5)에도 온난화가 지속돼, 1세기 후반에는 기온이 현재보다 3℃ ... ...
[찰칵 퍼즐 여행]
제주도
수학동아
l
201701
각 퍼즐에 표시된 ○△◇에 해당하는 숫자를 (○+△)÷◇-과 같이 계산한 숫자가
제주도
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맞혀 보는 거야. 자, 그럼 함께 퍼즐 여행을 떠나볼까 ... ...
[Future] 안동 권씨가 대전에 살게 된 까닭은?
과학동아
l
201701
곳으로는
제주도
(핑크색)와 강원도 남부(보라색), 안동(파란색), 성주(하늘색) 4곳이었다.
제주도
와 강원도는 지형적인 고립에 의해 고유한 성씨 구성이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안동과, 최근 사드 배치로 논란을 빚었던 성주는 특유의 문화를 고집해 온 것이 성씨 구성의 독립성을 유지한 배경으로 ... ...
[핫이슈] 제주항공우주박물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4
터득했죠. 덕분에 거대한 비행기가 하늘을 날 수 있고, 우리는 한 시간 만에 서울에서
제주도
까지 갈 수 있게 됐답니다.비행기가 날 수 있는 건 날개가 ‘양력’이라는 힘을 받고 있기 때문이에요. 양력은 날개를 타고 흐르는 공기가 만들어내는 힘이랍니다. 이 힘은 위쪽 방향으로 작용해 비행기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