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
발사구
아가리
꼭지
노즐
방출구
분사구
d라이브러리
"
주둥이
"(으)로 총 187건 검색되었습니다.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4
알고 보니 물장군은 어제 먹이를 먹고 이미 배가 부른 상태였어요.물장군은 뾰족하고 긴
주둥이
를 물고기 몸에 꽂아 체액을 빨아먹어요. 그 양이 아무것도 먹지 않아도 일주일을 버틸 수 있을 정도지요. 그래서 물장군은 먹이를 한번 먹으면 며칠 동안은 물고기를 사냥하지 않는다고 해요.이준이 ... ...
[공룡은 왜?] 공룡이 돌을 먹는다고? 용각류 위석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1
수각류 공룡과는 다른 겉모습을 갖고 있어요. 몸무게가 2.5kg 정도로 몸집이 매우 작고
주둥이
는 부리 형태로 새와 비슷하게 생겼지요.카우딥테릭스의 화석이 처음 발견된 것은 지난 1997년 중국 북동쪽에 위치한 요녕성이에요. 이곳에서 위석이 함께 발견되면서 카우딥테릭스가 씨앗이나 식물을 먹는 ... ...
[가상인터뷰] 알을 먹고 쑥쑥 자라는 곤충?!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9
물론 가지, 토마토, 고추 등 가짓과에 속하는 식물은 다 좋아해요. 주요 천적은 긴
주둥이
로 저희를 공격하는 노린재 같은 곤충들이지요.정말 갓 태어난 알을 먹는 거니?맞아요. 저희는 알에서 깨어나자마자 주변에 있는 알들을 빠르게 먹어 치워요. 하지만 너무 놀라진 마세요. 저희가 먹는 알은 ... ...
Part 2. 은밀하게 위대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5
식물에 맞게 아예 몸의 기관이 진화하는 경우도 있어요. 2005년 에콰도르에서 발견된 긴
주둥이
꿀박쥐는 몸길이는 평균 6cm 정도인데, 혀 길이가 9cm 정도나 된답니다. 긴 혀로 꽃 안쪽에 있는 꿀까지 남김없이 빨아 먹기 위해서지요.또, 과일을 주로 먹는 박쥐는 딱딱한 과일을 잘 씹기 위해 말처럼 ... ...
[공룡은 왜?] 꼬리뼈에 이빨 자국이? 공룡의 사냥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3
스피노사우루스는 악어처럼 생긴 턱이 가장 큰 특징이에요. 다른 육식동물과 달리
주둥이
가 뾰족한 형태로 매우 길고 좁아요. 이빨도 ●원추형으로, 매우 길쭉하고 날카롭지요.그 이유는 스피노사우루스가 주로 물속에 사는 동물들을 잡아먹었기 때문이에요. 악어처럼 긴 턱과 날카로운 이빨이 ... ...
[가상인터뷰] 해마 유전체 완전 해독!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2
지느러미가 없지요.해마는 이빨을 만드는 유전자들 중 일부가 손상되어 있어요. 그래서
주둥이
로 물을 빨아들인 후, 그 속에 들어 있는 동물성 플랑크톤이나 작은 새우를 씹지 않고 삼켜 먹지요.우리 집으로 함께 가지 않을래?사실 해마의 유전체가 완전히 해독된 것은 처음이에요. 그동안 많은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2
가진 ‘벌일 열(列)’이 더해진 한자어지요.‘짝 배(配)’의 앞에 있는 ‘닭 유(酉)’는
주둥이
가 넓은 술항아리의 모습을 본떴어요. 그래서 원래는 ‘닭’이 아닌 ‘술’의 뜻으로 쓰였답니다. 그러다가 12간지에서 ‘닭’을 뜻하는 한자로 ‘유(酉)’가 쓰이게 됐고, 이후 술을 뜻하는 한자로 ‘닭 ... ...
[과학뉴스] 독개구리 뱃속은 개미 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1
개미도 발견했답니다(위 사진). 이 개미는 몸길이가 0.7cm 정도이고, 길고 큰
주둥이
로 흰개미 같은 작은 먹이를 잡아먹지요.레노밀멕스 호엘도프레리는 자연 상태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웠어요. 하지만 이 개미를 개구리가 먹은 뒤에 그 위 내용물을 분석하면 쉽게 찾아낼 수 있답니다. 개구리 뱃속이 ... ...
[가상인터뷰] 공룡도 관절염이 괴로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7
생긴
주둥이
가 바로 우리의 매력 포인트지요.영국 브리스틀대학교 연구팀은 오리를 닮은
주둥이
속에 있는 이빨에 주목했어요. 하드로사우루스는 이빨이 아주 촘촘하게 나 있었거든요.우리들이 번성했던 백악기 말은 침엽수 같은 커다란 식물들이 발달하기 시작한 때예요. 연구팀은 촘촘한 이빨이 ... ...
Part 4. 상괭이를 지키는 사람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6
발견됐어요. 누리와 마루는 기력이 없어 도망도 못갈 정도였고, 바다와 동백이는 그물에
주둥이
부분이 많이 쓸려 있는 상태였죠. 신고를 받고 달려간 부산 아쿠아리움 해양생물전시팀 양준호 치료사는 이들을 아쿠아리움으로 데려와 치료하기 시작했답니다. 그리고 건강이 회복 되는대로 다시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