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중앙값"(으)로 총 1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인공지능에게 어려운 직업은 수학자수학동아 l201707
- 실릴 만큼 중요한 수학 문제를 푸는 데 걸리는 시간 등 17가지에 대해 물었지요. 그리고 중앙값을 구해 시간을 예측했습니다.그 결과 스타크래프트 마스터는 6년, 차트 상위권 음악 작곡은 11.4년, 베스트셀러 소설 작성은 33년, 수학 문제 증명은 43.4년이 걸린다고 예측했습니다. 40년이 넘게 걸리는 ... ...
- 초등수학동아 l201512
- 100만 원이라는 극단적인 값이 있다면 대푯값 왜곡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중앙값이나 최빈값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여러 가지 대푯값의 뜻과 장단점에 이어 사고실험을 통해 대푯값 중 가장 흔히 사용하는 평균 구하기를 알아보겠습니다.해결❶은 자료 전체의 합을 자료의 개수로 ... ...
- 야구는 수학 놀음수학동아 l201511
- 기준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1, 4, 5, 5, 5, 6, 8, 9, 9, 9, 12가 있을 때 평균은 6.64, 중앙값은 6, 최빈값은 5와 9가 된다.결과는 어떻게 됐을까? 스미스의 타구는 역시나 우측 내야로 향했다. 그리고 3루 주자를 포스아웃★ (주자가 있을 경우, 다음 타자가 공을 쳤다면 주자는 무조건 진루해야 한다. 이때 .. ...
- 뜨는 직업을 원한다면? 지금은 수학시대!수학동아 l201408
- 수학자는 미국에서 올해 최고의 직업으로 선정되었다. 이번에 발표된 수학자 연봉의 중앙값은 무려 10만 1360달러(약 1억 237만 원)로, 2022년까지 23%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수학자가 최고의 직업으로 손꼽히고 있진 않지만, 상위권 인재들이 수학과로 모이는 현상은 ... ...
- 2014년 '올해의 직업' 1위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405
- 진입한 것은 2012년 발표에서 10위를 기록한 이후 2년만이다.이번에 발표된 수학자 연봉의 중앙값은 무려 10만 1,360달러(약 1억 524만 원)였다. 또한 수학분이는 2022년까지 23%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뿐만 아니라, 통계 학자와 보험계리사가 각각 3위와 4위에 올라, 수학과 관련 있는 직업들이 대체로 ... ...
- [수학뉴스] 수학을 좋아한다면, 이런 직업 어떨까요?수학동아 l201402
- 적으면서 많은 돈을 버는 직업은 과학기술 전문작가로 나타났다. 기술 작가의 연봉의 중앙값은 6만 5,500달러(한화 약 6900만 원)였다. 이밖에도 엘리베이터 수리공, 치과 위생사, 지하철 운전사도 순위에 올라 눈길을 끌었다 ... ...
- [시사] 수학자의 예술혼, 세계문화유산으로 피어나다!수학동아 l201312
- 다시 말해 방의 가로, 세로의 길이를 등차수열★의 일부라 여기고, 방의 높이는 두 수의 중앙값인 등차중항으로 산정했다. 천장이 반원형으로 돼 있을 경우에는 등비수열★을 이용했다. 그 결과 팔라디오의 빌라는 어느 쪽에서 건물을 바라봐도 비례의 아름다움이 느껴진다. 등차수열★ 1, 3, 5, 7, ... ...
- [정보] 통계, ‘왜?’라고 물으면 문제없어!수학동아 l201209
- 대한 정의(A 교과서)를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공식(B 교과서)만 달달 외운다면, 중앙값을 활용한 실생활 문제에서 ‘어떤 것을 구하는 문제’인지 알아내기가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반드시 공식을 알기 전, 개념과 원리를 공부하는 습관을 기르세요!수학과 친하지 않은 학생들은 대부분 ... ...
- [시사] 난쟁이 행렬과 평균의 진실수학동아 l201204
- 보통 사람들의 소득 수준을 정확히 보여 주지 못한다. 만약 산술평균 대신 중앙값을 사용한다면, 한국 사람들의 대다수의 소득 수준을 더 잘 보여 줄 수 있을 것이다.산술평균은 보통 사람들과 아주 돈을 많이 버는 사람들 간의 소득격차를 숨기는 효과도 있다. 만약 한국이 발전해 1인당 국민소득이 ... ...
- Part 4. 전세계 네트워크, SNS로 통한다!수학동아 l201112
- 목표인물 A에게 도착했다.중간 사람의 수를 모두 계산해 봤더니, 중간 단계 사람 수의 *중앙값은 5.5명이었다. 이 숫자를 반올림해 6이라는 숫자를 만들어 발표한 이론이‘여섯 단계의 분리 이론’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어떤 사람도 6단계만 거치면 알 수 있다. 수학에서 쓰이는 2가지 ...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