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속
d라이브러리
"
지속성
"(으)로 총 40건 검색되었습니다.
[Issue] ‘알쓸신잡’ 자외선차단제 고르는 법3
과학동아
l
201708
인한 피부 독성 문제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한편 피부발림성과
지속성
을 논하는 데 용매도 빼놓을 수 없는 기준입니다. 보통 자외선차단제는 땀이나 물로 씻겨 없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오일을 용매로 사용합니다. 자외선차단제를 바른 후에 피부가 번들거리는 것도 바로 ... ...
[Issue]‘적정기술은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702
방식이 대부분이다. 송치웅 단장은 “제3세계 국가에서 적정기술을 스스로 쓸 수 있는
지속성
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경제적으로 사업화해 이윤을 노리는 세력의 배만 불릴 가능성도 있다”고 지적했다.첨단 의료기술과 적정기술의 접점을 찾고 있는 신희영 서울대 연구부총장은 “각각의 개발자가 ... ...
[Origin] 지루한 기본맛? 반전의 향료 바닐라
과학동아
l
201702
있을까. 의외의 대답이 돌아왔다. “보통은 인공 향료가 천연 향료보다 향의 세기나
지속성
등에서 장점이 많습니다. 그러나 바닐라는 예외에요. 인공 향료의 장점을 뛰어넘는, 천연 바닐라 향료만의 장점이 있죠.”오 대표가 고무줄로 묶은 천연 바닐라 열매 한 다발을 내밀었다. 콩 꼬투리 같은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
과학동아
l
201612
더한 악몽이 없습니다. 백두산 연구자들에게 지금 가장 필요한 건 다름 아닌 연구의
지속성
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백두산이 언제쯤 분화할 것인가를 알려면 백두산에 여러 개의 장비를 설치해놓고 오랫동안 관찰해야 합니다.”윤성효 부산대 지구과학과 교수는 인터뷰 내내 모니터링 ... ...
제10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수상자발표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5
좋은 철판을 만들었으며 자동차에 사용되는 계기판을 만들 때 형태 결정, 기능성, 외관,
지속성
의 측면에서 합성수지의 장점을 이용하였다고 하니 놀라지 않을 수 없다. 그뿐만 아니라 아름다운 색상의 외관도 화학제품인 페인트로 마무리 했으니 우리 생활의 곳곳에 화학이 적용되지 않는 곳이 없다 ... ...
신경교세포 100년 만에 입을 열다
과학동아
l
201103
이 단백질을 통해 뉴런처럼 신경전달물질을 분비했다.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인 ‘
지속성
가바(GABA)’였다. 이는 ‘뉴런만 신경전달물질을 합성하고 분비한다’는 기존 학설을 뒤집는 발견이다. 이 책임연구원은 “신경교세포도 신경전달물질의 합성과 분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앞으로 ... ...
독창적인 주제를 꾸준히 탐구하라
과학동아
l
201103
명시한 내용을 통해 그 의미를 정리하면 과 같다. ▲ 독창적인 자료 ▲ 일관성과
지속성
이 담긴 자료 ▲ 수상실적과의 연계되지 않은 자료 ▲ 최근 만든 자료 등이다. 다른 지원자와 차별되는 독창성 ‘독창성’은 창의성의 5가지 영역 가운데 하나로 ‘새롭고 참신한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 ...
뇌 자극으로 수학실력 올려
수학동아
l
201012
전기 자극을 받은 집단은 자극 전에 비해 퍼즐을 잘 맞추지 못했습니다.6개월 뒤 효과의
지속성
을 분석한 결과, 전반적인 수학실력 향상에는 전기 자극이 효과가 없고, 자극을 받았을 때 학습한 내용에만 변화가 나타난다고 밝혔습니다 ... ...
part3, 즐겁게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07
시작될 수 있다. 다만 그것이 일회성으로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무언가 약간의
지속성
을 보장해줄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나만의 프로젝트’를 수행해보는 건 어떨까. 주제나 형식은 얼마든지 다양하다. 학습과 독서로 얻은 과학 지식을 바탕으로 크로스워드 퍼즐 만들기, 상상의 나래를 마음껏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05
‘바로미터’나 다름없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도 나라별 환경을 평가하는 환경
지속성
지수(ESI)에 철새를 주요 기준을 삼고 있다.하지만 한국의 철새 연구는 막 걸음마 단계로 들어서고 있는 실정이다. 아직까지 전국을 통틀어 철새를 관찰하는 전문 연구시설은 철새연구센터 단 한 곳뿐이다. ... ...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