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공관"(으)로 총 159건 검색되었습니다.
- [게임카페] 피하고 맞추고 탑다운 슈터 피하고 맞추고 上수학동아 l201701
- 달린 컴퓨터입니다. 당시 대부분의 컴퓨터는 모니터가 없었지요. 또, 주요 회로를 진공관에서 트랜지스터와 다이오드로 바꿔 크기를 대폭 줄였습니다. 큰 사무실 한 칸을 다 차지할 정도로 덩치가 크지만, 당시 기준에서 보면 매우 작은 컴퓨터라 미니 컴퓨터 발전과 함께한 슈팅 게임의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01
- 것이다. 과거 세툰 컴퓨터는 진공관을 이용해 -1, 0, 1의 3진법을 구현했다. 하지만 진공관으로는 빅데이터를 다룰 3진법 컴퓨터를 만들 수 없다. 3진법 신호를 하나의 소자에서 구현할 수 없고, 현재의 반도체 집적회로처럼 소형화시킨 소자를 양산할 수 없기 때문이다.새로운 소자가 필요한 상황이다. ... ...
- [지식 유레카의 순간] 전구 속 그을음에서 탄 생한 진공관수학동아 l201510
- 수학자 앨런 튜링이나 헝가리 출신 미국 수학자 폰 노이만 역시 컴퓨터를 설계할 때 진공관의 장단점을 따져 반영했다.에디슨의 작은 궁금증으로 시작해 라디오, TV, 컴퓨터의 역사를 다시 쓴 진공관. 빛의 속도로 발전하는 전기전자분야에서 퇴물이 아닌 역사속 슈퍼스타로 영원히 기억되길 ... ...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수학동아 l201501
- 레이더 장비를 개발하고 있었다. 마그네트론이란 전자기파를 만들기 위한 진공관으로 당시 레이더에 중요한 장치였다. 전자기파를 내보내고 반사된 전자기파를 측정해, 거리를 계산하는 역할을 했다.‘전기 오븐(전자레인지)’이 탄생하다!주머니에서 녹은 초콜릿을 발견했을 때 전자기파를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09
- 덧셈)은 부울대수★로 표현이 가능하다.➍ 부울대수는 진공관으로 구현할 수 있다.➎ 진공관은 빛의 속도로 작동한다.➏ 10진수 계산을 빛의 속도로 계산할 수 있다.그 결과 1946년에 에니악이 탄생했고, 에니악은 10자리 10진수 곱셈을 0.0028초, 나눗셈을 0.006초 이내에 처리할 수 있는 놀라운 능력을 ... ...
- [W5 코드 브레이커] 컴퓨터가 이끈 새로운 암호 시대!수학동아 l201307
- 있다.컴퓨터와 사용자를 잇는 암호, 아스키 코드 컴퓨터 기술이 발달하면서 더 이상 진공관을 재배열하지 않고도 원하는 계산을 하도록 ‘명령’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어떻게 0과 1만 인식할 수 있는 컴퓨터에게 명령을 한다는 걸까?방법은 바로 문자를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도록 수로 바꿔 ... ...
- PART 1. 촬영 현장의 두뇌 싸움과학동아 l201305
- 개발한 ‘바이타폰 시스템’이 있다. 이 시스템은 워너브라더스와 스피커의 일종인 진공관 앰프의 특허를 갖고 있는 웨스턴일렉트릭 사의 공동 작품이었다. 녹음기와 카메라를 이용해 소리와 영상을 기록한 뒤, 극장에서는 축음기와 영화 필름을 따로, 그러나 동시에 재생했다.소리는 비약적인 ... ...
- 1919년 경성, 물리학과 첫 졸업식과학동아 l201205
- 숭실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했다.1928년 미국 인디애나대에서 최대전류 조건에서의 삼극진공관에 관한 연구로 물리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귀국한 뒤 농민 교육에 힘쓰다가 광복 후에는 군정청 경무부 통신국장, 정부수립 후에는 육군통신학교장과 통신감을 거쳐 1956년 소장으로 예편하였다.서울대 ...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과학동아 l201110
- 많이 있다’라는 강연을 했다. 이 강연은 나노시대의 시작을 알렸다. 이후 수 cm 크기의 진공관 스위치는 수 nm(나노미터, 10억 분의 1m) 크기의 트랜지스터로 대체되면서 메가바이트(MB), 기가바이트(GB), 테라바이트(TB)의 시대로 발전해 왔다.그런데 이런 소형화 또는 반도체 소자의 집적화가 한계에 ... ...
- 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과학동아 l201107
- 손상을 입힌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이 외에도 미국 항공우주국(NASA)에서 드라이아이스와 진공관을 이용해 인공토네이도를 만들었다.세계에서 가장 든든한 토네이도 1900년대 초, 스페인 과학자들은 태양에너지와 바람에너지를 동시에 잡는 ‘태양굴뚝’을 고안했다. 커다란 굴뚝 주변에 온실을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