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천둥"(으)로 총 140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다시 시작된 대결어린이과학동아 l201715
- 천둥이 친 장소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어.“그렇다면…, 3060m 떨어진 곳에서 천둥이 쳤어!”오로라의 말에 파부르가 고개를 끄덕이다가 말했어요.“그런데 아무리 생각해도 우리 중에 비밀과학집단이 있는 것 같아. 잠깐 정전이 된 사이에 누가 여기 들어와 미션카드를 두고 가긴 힘들거든. ...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06
- 쾅쾅! 천둥이 온 세상에 울리기 몇 초 전, 눈 깜짝할 사이에 미리 예고하는 손님이 있다. 번쩍번쩍 하늘을 가르는 번개다. 과학을 몰랐던 아주 오래 전 과거 사람들은 신이 노여워하는 것이라 생각해 번개는 공포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번개가 왜 치는지 알게 된 뒤 인류는 번개를 하나의 기상 ... ...
- [Culture] 이상한 용손 이야기과학동아 l201704
- 왜 그래. 통장 거래내역 다 까서 보여줘?”대화를 하는 중에 짙은 먹구름이 금방이라도 천둥을 울릴 것처럼 모여 들었다. 아버지는 그러고 나서도 한동안 어머니를 의심하셨지만, 몇 번 더 욕을 먹고 나서 결국 어머니는 주식 투자를 하지 않고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아버지는 그리고 나서 쓸데없이 ... ...
- [한자 과학풀이]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17
- 뜻도 있어요. 그래서 두 글자가 합쳐진 ‘우레 뇌(雷)’는 비 내리는 날 몰아치는 천둥번개를 의미하게 되었지요.‘비 우(雨)’는 하늘에서 물방울이 떨어지는 모양을 본뜬 상형문자예요. 내리는 비를 의미하는 ‘강우(降雨)’, 소나기를 뜻하는 ‘호우(豪雨)’ 등 비와 관련된 단어에 쓰지요. ‘구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뜻밖의 범인어린이과학동아 l201617
- 이상의 수분을 머금고 있기 때문에 아래로 엄청난 양의 비를 쏟아 붓게 되지요. 때로는 천둥번개가 동반된 뇌우가 내릴 때도 있답니다.▲국지성 호우가 내리기까지➊ 바다 위쪽에서 수증기를 흠뻑 머금은 공기 덩어리가 만들어진다.➋ 지열로 데워진 공기덩어리에 상승 기류가 생긴다.➌ 수증기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장미꽃 뒤의 검은 그림자어린이과학동아 l201612
- 하지만 꽁꽁 숨었는지 눈에 보이지 않았어요.그때였어요! 하늘에서 우르르 쾅쾅~! 천둥이 치면서 장미나무가 갑자기 움직이기 시작했어요. 장미나무가 저 멀리 사라지자 그 뒤에 숨어 있던 수상한 녀석들이 나타났어요.“왜 우리를 훔쳐보고 있었어?“그…, 그게. 너희가 하는 실험이 재미있어 ... ...
- [Tech & Fun]Science Fiction_안개와 더러운 공기 속에서과학동아 l201601
- 맛, 당신이 이슬라레오나의 요정들과 협정을 맺으러 갔을 때 나와 궁수와 예언자가 천둥의 골짜기에서 밀로그리드의 짐승들과 싸웠던 일들까지 모두.”“기억할게.”마법사가 떨리는 목소리로 대답했다.길잡이는 마법사에게 다가가 그녀를 꽉 끌어안았다. 잠시 그녀의 온기 속에서 천천히 체취를 ... ...
- 킁킁~, 비 냄새의 정체를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12
- 근원이라는 설명은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어요.페트리코에 대한 다른 설명도 있었어요. 천둥번개가 내리치는 날에는 공기 중에 오존(O3)이 생기기 쉬워요. 번개가 산소(O2) 분자를 산소 원자 두 개로 나누고, 홀로 떠다니던 산소 원자가 다른 산소 분자와 결합해 오존을 만들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 ...
- 이름을 되찾은 ‘브론토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509
- 칠 때처럼 ‘우르르 쿵!’ 하는 소리가 났을 거라 생각했어요. 그래서 제 별명을 ‘천둥 도마뱀’, ‘번개룡’으로 지어 줬죠.지금은 저를 직접 만날 수 없어요. 저는 약 1억 5000만년 전인 쥐라기 시대 후반에 살았거든요. 하지만 제가 사라진 이후에도 저는 꽤 유명했어요. 1989년 미국에서 제 모습이 ... ...
- [지식] 안테나, 우주의 소리를 듣다!수학동아 l201508
- 들렸다. 가까운 지역에서 천둥번개가 치는 날엔 더 크게, 조금 멀리 떨어진 지역에서 천둥번개가 치는 날에는 더 작게 들렸다. 그런데 맑은 날에도 잡음이 들린다는 게 문제였다. 잰스키는 이 들릴 듯 말 듯 한 낮은 수준의 잡음을 집중적으로 연구했다. 무엇보다 잡음을 일으키는 전파 신호의 주기를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