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총량"(으)로 총 13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플라스틱 소라게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1
- 늘어났어요. 미국 항공우주국에서는 지금과 같은 추세라면 2025년까지 해양 쓰레기 총량이 무려 1억 5500만 톤에 달할 것이라 예측했어요. 이 정도면 전세계 해안을 따라 두께 30cm, 높이 30m의 쓰레기 벽을 쌓을 수 있는 규모랍니다.그 결과 최근 1~2년 사이, 해양 쓰레기를 집 삼아 살기 시작한 소라게들의 ... ...
- Part 5. 플라스틱 발자국을 줄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10
- 거예요.탄소 발자국은 상품을 만들고, 쓰고, 버리는 과정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의 총량이에요. 숫자가 클수록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제품이지요. 사람들은 물건에 표시된 탄소 발자국을 보고 이산화탄소를 적게 발생시킨 제품을 선택할 수 있어요.플라스틱 발자국도 마찬가지예요. 제품에 ... ...
- [Origin] 1년에 단 하루 ‘야행성 태양’이 뜬다과학동아 l201708
- 논문을 썼다. 그는 각 별에서 온 빛을 모두 더한 것보다 하늘에서 오는 빛의 총량이 더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유일하게 가능한 설명은, 별이 아닌 하늘 어딘가에서 추가로 빛이 나온다는 것이었다. 그는 이 빛에 ‘지구광’이란 이름을 붙였는데, 이것이 바로 대기광이다.대기광을 관찰하는 데 ... ...
- [과학뉴스] 인류가 만든 ‘문명’, 30조t에 달해과학동아 l201701
- 지구에 살면서 이룩한 문명(테크노스피어)의 총량이 30조t에 달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테크노스피어는 집, 공장, 공항, 도로부터 컴퓨터 시스템, 스마트폰, CD, 심지어 쓰레기 매립지까지 모두 포함한다.영국 레스터대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그동안 지질학자들이 도시, 시골, 지하, 해양, 대기 등 ... ...
- [재미] 피자를 더 많이 먹는 방법!수학동아 l201609
- 같았어요. 만약 선들이 원의 중심을 지나지 않는다면, 원의 중심이 들어 있는 색깔의 총량이 훨씬 많았고요. 그러니까 상대방보다 내가 피자를 더 많이 먹으려면 선을 몇 번 그어 피자를 잘랐는지 센 다음, 원점이 어디에 속하는지 확인해야 하지요.마브리 박사와 다이어만 박사는 원의 중심을 ... ...
- [Knowledge] 당신은 오늘 몇 발자국의 질소를 남겼나요?과학동아 l201605
- 더했다.분석 결과 2010년 1년 동안 전세계 188개국에서 배출한 질소화합물에 포함된 질소의 총량은 약 1억8900만t이었다. 그 가운데 85.2%인 1억6100만t은 산업과 농업 분야에서 배출됐고, 나머지 2800만t은 소비자들이 배출한 쓰레기에서 나왔다. 배출량을 기준으로 보면 중국과 인도, 미국, 그리고 ... ...
- [News & Issue] 2020년, 암흑물질 잡는 특별한 망원경이 온다과학동아 l201604
- 또한 만들 것이다.대용량 자료 처리가 관건LSST에서 하룻밤 새 만들어지는 정보의 총량은 15TB(테라바이트)나 된다. 관건은 이것을 처리하는 기술이다. 보통 자료의 양이 많아지면 분석 비용이 증가하고, 잘못된 천체를 검출할 확률도 높아진다. 오는 4월 25~29일 대전에서 열리는 LSST 국제학회를 ... ...
- [과학뉴스] 지하수가 해수면 상승 막는다과학동아 l201603
- GRACE)를 이용해 미세한 지구 중력 변화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육지 표면을 흐르는 물의 총량을 계산했다. 이렇게 추정한 2002~2014년 사이의 물 용량 변화를 빙하가 녹는 속도와 비교했다. 그 결과, 최근 10여 년간 흙과 호수, 지하수 등에 3조2000억t의 물이 추가로 저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해수면 ...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과학동아 l201510
- 공기밀도에 비례하고 풍속의 세제곱에 비례하기 때문에, 고고도의 바람에너지 총량은 지상의 5~8배에 달한다. 실제로 미국 스탠포드대 카네기연구소 켄 칼데이라 교수팀이 2012년 학술지 ‘네이처 기후변화’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지상에서 얻을 수 있는 바람에너지가 원전 40만 기와 맞먹는 400TW ...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06
- 규모 2.0인 지진이 30번 발생한 것이나 규모 3.0인 지진이 1번 발생한 것이나 발생한 에너지 총량은 동일하다는 얘기다.그렇다면 규모가 5.0 이상인 비교적 큰 지진이 발생하는 것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을까. 실제로 1978년 지진 관측 이후 우리나라에서는 규모 5.0 이상인 지진이 다섯 차례 있었다. 200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