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rew
d라이브러리
"
크루
"(으)로 총 1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목성은 태양계의 맏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3
20배가 넘었답니다. 현재 목성의 질량은 지구의 약 318배이지요.연구를 이끈 토마스
크루
이저 박사는 “태양계에서 첫 번째로 만들어진 원시 목성은 생성되고 300만 년 정도 지났을 때 지구 질량의 50배까지 커졌을 것”이라며, “목성은 생성 이후 태양계의 물질을 빠르게 끌어당겼기 때문에 태양계에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
수학동아
l
201610
건물에 깔려서 목숨을 잃는 경우도 많습니다. 영국 브리스톨대지진공학연구센터 아담
크루
박사는 “지진이 언제 일어날지 예측하는 기술에만 의존하는 것보다 지진에 잘 버티는 건물, 설령 무너지더라도 안전하게 무너지는 건물을 짓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고 말했어요.지진으로 땅이 좌우로 ... ...
어린이만큼 똑똑한 돌고래와 원숭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10
더 똑똑하고 영리하다고 밝혔답니다.스위스 취리히대학교의 진화생물학자인 미카엘
크루
젠 박사 연구팀은 오스트레일리아 서쪽 샤크 만에서 ‘남방큰돌고래’떼를 관찰하다가 신기한 것을 발견했어요. 일부 돌고래가 입에 천연 해면 스펀지를 물고 헤엄치는 모습이었지요. 수영하다가 바위에 ... ...
외계행성을 지구처럼
과학동아
l
201011
에임스 연구센터의 임레 프리드만 박사는 화성의 테라포밍 가능성에 대해 언급하면서 ‘
크루
코시다이옵시스(chroococcidiopsis)’라는 박테리아가 가장 적합하다고 주장했다. 이 미생물은 가장 원시적인 시아노박테리아로 극한 환경에서도 잘 살아남는다.그렇지만 우주 여행이 가능해진 미래에는 ... ...
[지구과학]모래층에서 발견된 지진해일의 기록
과학동아
l
200812
거대하고 공포스러운 지진해일의 정체를 추적하던 태국 출랄롱코른대 지질학과
크루
원 잔카우 박사와 미국지질학연구소 지질학자 브라이언 왓워터 박사팀은 과거 거대한 지진해일의 기록을 발견해 ‘네이처’ 10월 30일자에 발표했다.2004년 인도양에서 발생한 강진 때문에 수십m에 이르는 거대한 ... ...
화려한 회전예술, 비보잉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09
그만둘 수 없는 중독성”이라고 말한다. 그래서 팀명도 중독을 뜻하는 ‘에딕션
크루
’다. ‘춤생춤사’. 춤으로 세계를 제패하겠다는 이들은 오늘도 연습실에서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 ...
맞바람에 전진하는 요트의 비밀
과학동아
l
200807
팀을 따라잡지 못했다. 한 번의 방심이 승패를 결정지은 셈이다. 길모어 스키퍼와 그의
크루
들이 추격의지를 불태울 작전을 전개할 때마다 어중간한 위치에 서서 이들의 움직임에 방해가 된 기자의 존재도 패배에 한몫했을 것이다.연습을 제대로 하지 못해서였을까. 길모어팀은 6월 11~15일 동안 열린 ... ...
인간과 고릴라 공통 조상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412
고릴라 등 대형 유인원의 공통 조상으로 보이는 화석이 발견됐다.스페인 미구엘
크루
사폰트 고생물학연구소의 살바도르 모야솔라 박사팀은 바로셀로나시 부근 공사장에서 1300만년전 것으로 보이는 수컷 유인원의 뼈 화석 83점을 발견했다고 미국 과학전문지 ‘사이언스’ 11월 19일자에 발표했다. ... ...
자
크루
즈리의 해양건축 세계
과학동아
l
200312
‘나는 인간이 접근할 수 없는 환경 속에서 이뤄진 믿을 수 없는 탐험 여행을 충실하게 기록했다. 과학이 진보하면 언젠가는 그곳도 인간에게 문을 열어줄 것이다’라는 문장으로 끝나는 쥘 베른 소설의 끝부분을 되뇌며 인천행 전철에 올랐다.서울에서 불과 1시간 거리. 탁트인 인천 앞바다를 마주 ... ...
2 제2의 달로 변신하는 소행성
과학동아
l
200302
지구를 선회하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에 자칫 지구의 달로 오인받기 쉽다.한편
크루
엔야나 2002 AA29와 같은 소행성은 미래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들 소행성까지는 비행거리가 짧기 때문에 향후 유인우주탐사기지로 손색이 없으며, 더불어 가까운 미래에 광물자원으로 사용될 가능성도 ... ...
1
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