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평지"(으)로 총 17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꺼진 불도 다시 보는 진화 작전어린이과학동아 l201711
- 배치했답니다.그런데 산 위의 기상 조건은 평지와 상당히 달라요. 평균적으로 평지에 비해 풍속은 3배 세고, 강수량은 2배 많죠. 그래서 산불확산 예측 프로그램에 입력되는 산 속 기상 자료는 ‘산악기상관측망’을 통해 얻어요. 산악기상관측망은 산 위의 기상을 측정하는 기기로, 전국 주요 산에 20 ... ...
- [Future] 인류 최후의 날을 대비한다 재난 기계과학동아 l201702
- 대로 ‘디자인’ 할 수 있다. 예컨대 대기권 아래에서 부는 바람은 도심지와 주거지역, 평지, 바다 등 지역이나 높이에 따라 속도가 다른데, 각 상황에 맞는 바람을 재현해야 제대로 실험할 수 있다. 부채꼴 모양으로 퍼져 있는 12대의 송풍기에서 빨아들인 공기는 직사각형 모양의 터널을 지나면서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빙글빙글 소용돌이를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20
- 대기 속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발생한다는 정도만 알려져 있지요. 토네이도는 주로 넓은 평지나 바다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산이 많은 우리나라에서는 잘 생기지 않아요.우리는 하루에도 몇 번씩 소용돌이를 봐요. 변기나 욕조에 채운 물이 내려갈 때에도 소용돌이가 생기거든요. 큰 용기에 담겨 있던 ... ...
- 물이 변하면 지구도 변한다?! 울퉁불퉁 지형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23
- 풍부해서 예로부터 사람들이 모여 살았어요.보통 침식과 퇴적은 같이 일어나요. 특히 평지에서는 유수의 에너지가 큰쪽 벽은 침식이 되고, 에너지가 작은 쪽에서는 퇴적이 일어나서 하천이 구불구불한 형태가 돼요. 이런 형태의 강을 ‘곡류’라고 불러요. 곡류의 바깥쪽은 안쪽보다 물의 흐름이 ...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13
- 부분을 ‘선단’이라고 하지요. 선정(扇頂)은 ‘선상지의 정점’이라는 뜻으로 산에서 평지로 나가는 강의 출구 중심부를 말해요. 선앙(扇央)은 ‘선상지의 중앙 부분’이에요. 주로 모래와 자갈로 이루어져 있어, 물이 땅 밑으로 잘 스며들어 과수원으로 이용하지요. 선단(扇端)은 ‘선상지의 끝 ... ...
- 성곽 길 따라 즐기는 수학데이트수학동아 l201507
- 보면, 보통 원총안은 경사각이 0°~10° 사이이고, 근총안은 38°~45° 사이예요.성벽 바깥쪽 평지인 바닥에서 대략 4m 높이에 있는 두 가지 총안이 있을 경우, 적을 향해 겨누는 총구의 경사각이 수평방향에 대해 10°와 38°가 되도록 원총안과 근총안에서 각각 총을 쏘면 성벽에서 얼마나 멀리 떨어져 있는 ... ...
- PART1. 도시와 지진 - 카트만두의 비극과학동아 l201506
- 히말라야 땅은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뉘는데 고도가 4000m 이 상인 하이 히말라야, 평지에 가까운 서브 히말라야, 가운데가 레서 히말라야다. 레서 히말라야는 과거 인 도판의 가장자리 땅으로 바다퇴적물이 쌓여 있다. 퇴 적암은 다른 암석보다 무르고 부서지기 쉽다. 지각에 응력이 쌓이면 이 지역부터 ... ...
- 데이노케이루스가 전하는 거대공룡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422
- 살지 않는 오지예요. 바람이 불면 지형이 바뀔 만큼 모래가 가득한 곳이죠. 비가 오면 평지였던 곳이 하루 아침에 개천이 되기도 한답니다. 그래서 모래 산을 넘고 절벽을 지나 지도에도 없는 길을 따라 힘겹게 탐사했지요. 내비게이션에도 나오지 않는 곳이라 한 번 길을 잃으면 구조대가 올 때 까지 ... ...
- [가상인터뷰] 판다가 대나무만 먹고 살 수 있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416
- 바위를 핥기도 해요. 몸에 부족한 단백질이나 칼슘을 얻기 위해서지요. 과학자들은 평지에서 살았던 우리들이 사람들에게 쫓겨 산지에서 살게 되면서 다른 육식동물과의 경쟁을 피하기 위해 대나무를 먹기 시작했을 거라고 추측하고 있어요. 멋지구나! 건강을 위해 나도 고기를 끊고 대나무 ... ...
- 태풍 VS 토네이도어린이과학동아 l201415
- 깔때기 모양을 만드는데, 이 깔때기가 땅에 닿으면 토네이도가 된답니다. 넓은 평지가 많은 미국에서 주로 만들어지죠. 토네이도의 일종인 용오름은 여름철 따뜻한 바다에서 만들어지는데 우리나라도 이따금 동해안에서 발생하고 있어요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