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폴라리스"(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침부터 밤까지 하루 종일 즐거운 제주항공우주박물관어린이과학동아 l201515
- 담은 천문우주관을 관람할 수 있어요. 또한 스크린이 360도로 펼쳐진 5D영상을 보는 ‘폴라리스’와 돔 영상을 보는 ‘캐노프스’는 물론, 나만의 캐릭터를 만들어 가상현실에서 실험하는 ‘프로시온’ 등도 즐길 수 있어요. 여름방학을 맞이해 7월 25일부터 8월 23일까지는 더 늦은 시간까지 ...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411
- 다양한 콘텐츠를 직접 만지고 볼 수 있답니다. 입체 영상이 360도로 펼쳐지는 5D 상영관 ‘폴라리스’도 놓칠 수 없을 거예요~.인류가 우주로 진출한 지는 아직 100년이 채 지나지 않았어요.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가 발사된 해가 1957년, 닐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에 발자국을 찍은 ... ...
- 과학동아천문대 서울의 중심에서 별을 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23
- 카시오페이아를 찾는 것이 좋답니다. 특히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이아 별자리를 이용하면 폴라리스라 불리는 북극성을 빨리 찾을 수 있거든요. 카시오페이아의 가운데 별과 양쪽 두 별을 연장해 맞닿는 부분을 북두칠성이 있는 방향으로 5배 연장한 곳에 북극성이 있지요. 그런데 왜 북극성을 ... ...
- 다윈을 따라 제2의 닻 올리다과학동아 l200912
- 배의 안전에 대한 걱정은 항상 그를 따라다녔다.장보고 주니어 호 주요 제원모델 유니온 폴라리스 36 커터길이 약 11m폭 3.5m배수량 12.7t평균운항속도 5노트(시속 9.2km)최고속도 6노트(시속 11.1km)엔진 디젤엔진적재량 물 420L, 연료 420L, 짐 152L주요 장비 위성항법장치(GPS), 레이더, 자동항법장치, 수심계, .. ...
- '과거의 시간' 관측하는 별밤지기과학동아 l200808
- 차례의 ‘우주쇼’가 펼쳐진다. 동아리 회원들에게는 축제와 다름없다. 오늘도 어디선가 폴라리스 회원들은 밤하늘 가득한 별을 헤아리며 ‘과거의 시간’을 관측하고 있다 ... ...
- 대구·대전, 서울보다 광공해 심하다과학동아 l199410
- 해프닝이 있었다고 알려왔다.가장 애가 탔던 팀은 서울지역 촬영을 맡은 이화여대 폴라리스팀. "첫날은 비까지 내려 밤 10시쯤 철수했더니 밤 1시가 넘어서면서 날씨가 맑아져 혈압이 왕창 올라 잠 한숨을 못 잤고, 다음날은 목에 쥐까지 나면서 세팅을 했더니 날씨가 흐려져 술만 먹다가 잠을 못잤다 ... ...
- 과학캠프 교사로 맹활약하는 이화여대 아마추어 천문회 폴라리스과학동아 l199211
- 장비를 들고 다녀야 하는지라 '많이 먹는 동아리' '억센서클'로 알려져 있지만 알고보면 폴라리스 선배들처럼 부드러운 여자들도 없다고 동아리의 막내인 노승림(독어독문학과 1년)양은 말한다."별이 움직이는 것을 보면 우리가 사는 세계가 살아 움직이는 것을 느낄 수 있어요. 별자리를 익혀 놓으면 ... ...
- PART.2 핵무기의 종류 전략핵 떠받치는 세 기둥과학동아 l198803
- 개발에 박차를 가해 70년대 중반까지 미해군의 주력을 이루었다. 그러나 그 후 폴라리스는 퇴역하고 대신 트라이던트미사일이 오하이오급 핵잠수함에 배치되고 있다.오하이오급 핵잠수함은 미국이 보유하는 가장 큰 잠수함으로 배수량 1만5천t, 길이는 점보 747기의 2.5배나 되는 1백71m이다. ... ...
- PART3 위성체 2천년대 초에는 통신위성을과학동아 l198801
- 6) 군사 항법위성 1960년대에 사용된 미 해군의 '트랜싯'(Transit)항법위성은 원래 항해중인 '폴라리스'잠수함의 위치를 세계 어느 곳에서나 1백50m 이내의 정확도로 측정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었으나, 이러한 방법으로 모든 함정이 전천후(全天候)항법을 할 수 있다는 것이 판명이 되어 그 응용은 ... ...
- 레이저 핵융합과학동아 l198604
- 국립연구소에 있는 '안타레스'가 CO₂레이저이고 금년 중반에 계획이 착수될 같은 곳의 '폴라리스'가 KrF레이저인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레이저는 모두 Nd·유리형이다.핵융합 레이저 중 세계에서 가장 강력한 것은 미국 '로렌스 리버모아' 국립연구소의 '노바'로서 1억7천6백만 달러를 들여 1978년부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