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후각"(으)로 총 324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1. 번번이 놓치는 모기, 잡기 어려운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때문이에요. 모기가 피를 빠는 흡혈관 끝부분에는 피 냄새를 맡는 후각기관이 있어요. 후각기관 덕분에 혈관을 찾아 정확히 침을 꽂을 수 있지요. 흡혈관이 신경을 건드리지 않으니 고통도 느끼지 못하는 거예요.게다가 모기는 흡혈과 함께 우리 몸에 침을 뱉는데, 이 침속에 피가 굳는 것을 막아 ... ...
-
- [헷갈린 과학] 갑옷을 입은 포유류 아르마딜로 VS 천산갑어린이과학동아 l201714
- 주로 작은 곤충이나 나무 뿌리, 죽은 동물의 고기를 먹고 살아요. 나쁜 시력 대신 뛰어난 후각과 청각을 이용해서 먹이를 찾는답니다.아르마딜로는 몸을 공처럼 동그랗게 말아서 자신을 보호하는 동물로 알려져 있어요. 그런데 사실 이건 세 종류의 아르마딜로 중 ‘세띠아르마딜로’만 가지고 있는 ... ...
-
- [Future] 카멜레온 같은 감성금속으로 말할 것 같으면과학동아 l201709
- 수 있기 때문. 실제로 감성금속을 개발하는 과학자들은 소재에 대한 시각, 촉각, 청각, 후각, 미각 등 오감 특성을 수치로 정량화하는 작업을 먼저 진행한다. 예를 들어 색상별로 따뜻하게 느끼는 정도나 사람의 손 힘으로 만졌을 때 소재가 휘어지거나 늘어나는 정도를 0~100%로 측정하는 식이다. ... ...
-
- [Issue] 때 아닌 ‘개 코’ 논란 사람도 개 만큼 맡는다!과학동아 l201707
- 후각이 예민해 아주 옅은 향기라도 잘 맡고, 서로 다른 냄새를 잘 구분하는 사람을 ‘개 코’라고 부른다.다른 사람들은 전혀 분간이 되지 않는 냄새를 척척 ... 데에만 그치지 않는다. 대뇌가 감추고 있는 수많은 신비를 하나씩 알아가기 위해서라도 후각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
-
- [공룡은 왜?] 사체에서 물고기까지! 육식공룡의 먹잇감어린이과학동아 l201707
- 하이에나처럼 사체를 먹던 ‘시체 청소부’라고 주장하기도 해요. 티라노사우루스는 후각 신경이 발달돼 있어서 독수리처럼 냄새만으로도 멀리 떨어져 있는 사체를 찾을 수 있었거든요. 또 강한 턱 근육과 이빨은 다른 동물들이 먹고 남은 사체의 뼈를 부숴 먹기에 알맞은 구조랍니다 ... ...
-
- Part 4. 벌레, 로봇을 입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6
- 정도로 후각이 예민해요. 그런데 최근 일본 도쿄대학교 안도 노리야스 교수팀이 나방의 후각을 활용할 수 있는 특이한 로봇을 만들었어요. 바로, 나방이 직접 조종하는 로봇이랍니다.이 로봇에는 나방이 탑승하는 부분에 커다란 공이 하나 놓여 있어요. 나방이 가고 싶은 방향으로 공을 굴리면 ... ...
-
- [과학뉴스] 인간의 후각, 기대 이상!과학동아 l201706
- 가장 잘 맡았다. 맥간 교수는 “후각 능력은 경험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며 “후각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중요한 감각”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사이언스’ 5월 12일자에 실렸다. doi:10.1126/science.aam726 ... ...
-
- Part 1. 헛걸음을 하지 않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5
- 꽃잎 위에 앉으면 꽃에 이 기름이 살짝 묻게 돼요. 벌은 더듬이 끝 부분에 있는 예민한 후각수용체로 아주 적은 양의 물질도 냄새를 맡을 수 있기 때문에 다른 벌이 꽃잎에 남긴 기름 냄새까지 알 수 있답니다. 이 냄새를 확인하면 직접 꿀샘까지 가지 않아도 이미 누군가 다녀 갔다는 것을 알게 되는 ... ...
-
- 뇌 속 내비게이션의 길 찾기 전략 4과학동아 l201704
- ‘경계세포’가 내후각피질 중심부에 위치한다. 방향을 알려주는 ‘방향지시세포’는 내후각피질은 물론 시상을 포함한 다양한 부위에 넓게 퍼져 있다. 2015년에는 모세르 부부가 본인이 얼마나 빨리 이동하는지를 느끼는 ‘속도세포’를 찾아냈다.전략 4 공간정보와 감각정보를 구별한다이제 우리 ... ...
-
- [Issue] 두리안 ‘ X냄새’가 궁금하다!과학동아 l201704
- 냄새 인지 문턱값을 훨씬 넘어버린다는 점도 크게 작용했습니다. 해당 냄새와 결합하는 후각 수용체가 이미 포화 상태를 이루고 있다는 뜻입니다. 유사한 향을 내는 다른 냄새 성분은 ‘없어도 그만’이 돼버리는 거죠.김영석 이화여대 식품공학과 교수는 “냄새는 혼합물이기 때문에 서로 영향을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