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channel"(으)로 총 31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 대 예측어린이과학동아 l201001
- 짜잔~! 드디어 2010년 새해가 밝았어. 내일이면 새해가 된다는 생각에 어젯밤에는 잠도 제대로 못 자겠더라구. 자리에서 일어난 나는누구보다 먼저 새해 아침을 맞이하겠다는 생각에 이불을 걷어차고 창문 앞으로 달려갔어. 그런데 창 밖을 내다보는 순간, 눈앞이 캄캄해지는 기분이었어. 늘 보던 풍 ... ...
- 지금 화성에는 물이 흐르고 있다과학동아 l200701
- 협곡은 산사태로 인한 것이다. 바트 박사는 “화성의 협곡에서 함몰된 지형(alcove)과 홈(channel), 홈 끝에 퇴적물이 쌓인 지형(apron)을 중심으로 달의 협곡과 비교한 결과 두 지형이 유사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며 화성의 협곡 역시 산사태로 생길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앞으로 사진에 드러난 ... ...
- 용암이 솟아 만든 용두암과학동아 l200607
- 시간이 흘러 액체 상태인 용암이 모두 빠져나가 버리면 클링커벽 아래에는 용암 통로(lava channel)가 물길처럼 남는다.용두암의 경우는 이 용암 통로에 새 용암이 불도저처럼 밀려들었다. 많은 용암이 좁은 통로를 한꺼번에 지나다 보면 클링커벽을 밀고 올라오는 부분관입이 일어나기도 하고, 압력이 ... ...
- 삔 발목에 발목 잡히지 않는 법과학동아 l200605
- 시큰하거나 무직하며 저릿한 감각을 얻는 것으로 경락감전(PSC, Propagated Sensation along the Channel)현상이라고도 부른다.예를 들어 합곡에 침을 놓아 전신의 통증 역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 부위에 득기, 즉 PSC 현상이 느껴질 때까지 정확히 침을 찔러 자극을 줘야 한다. 그리고 득기 후에도 손으로 침을 ... ...
- 칩 위에 세운 생물 실험실과학동아 l200508
- 분자에 자성을 띤 나노입자를 붙이고 폭 100, 높이 5마이크로미터(μm) 크기의 미세한 채널(channel)에 넣는다. 채널 옆에 자석을 갖다 대면 생체 분자가 끌려오는데, 이 속도는 분자의 수가 많을수록 빨라지므로 속도를 측정하면 분자의 수를 계산할 수 있다.생체분자는 아주 적은 양으로도 인체에 큰 ... ...
- 4 세포의 수문장 막단백질을 공략하라과학동아 l200301
- . 이에 비해 두번째 부류에 속하는 수용체(receptor)나 핵수용체(nuclear receptor), 이온 통로(ion channel) 등은 50%가 넘는 부분을 차지한다. 이들 단백질 대부분은 세포 내부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세포와 외부를 구분하는 세포막 속에 존재한다. 즉 질환 관련 단백질의 대다수는 세포막에 존재하는 특수한 ... ...
- 2. 많을수록 똑똑해지는 분산 로봇과학동아 l200207
- 중요한 문제 중 하나는 수신 과정 중 망가진 신호를 복구하는 기술인 ‘채널 균등화’(channel equalization) 문제다. 디지털 통신은 정해진 대역 내에서 신호를 주고 받지만 정보를 보내는 환경이 계속해서 변하기 때문에 일부 신호는 제대로 수신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진화 하드웨어 칩을 이용하면 ... ...
- 3차원 입체사진, 애너글리프과학동아 l200105
- 2차원의 평면에 3차원의 공간을 집어넣는 방법이 여러가지 있다. 그중에서 가장 쉽게 만들어볼 수 있는 것은 애너글리프다. 애너글리프 ... 상자에서 적색을 제거한다.⑤ 왼쪽 사진의 Channel에서 적색을 복사해, 오른쪽 사진의 Channel에 붙인다.⑥ 오른쪽 사진에 합성한 애너글리프를 저장한다 ... ...
- 화성 최근에도 물이 흘렀다과학동아 l200008
- 물이 땅속에서 솟아나면서 함몰된 지형(alcove), 물과 퇴적물이 흘렀던 깊은 수로(channel), 그리고 수로의 끝에 퇴적물이 쌓인 부채꼴지형(apron)이 그것이다. 놀랍게도 이 협곡지형은 다른 표면지형에 비해 굉장히 최근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화성표면에는 크레이터가 많이 나타나는데, 이 지형 ... ...
- 인터넷 집장만 10분이면 뚝딱과학동아 l199912
- 작성을 위한 HTML 태그를 잘 모를 경우에는 ‘웹위저드’(wiz.iandp.co.kr/)와 ‘웹커’(channel.shinbiro.com/@webker) 사이트에서 정보를 얻으면 된다.홈페이지 작성에 익숙해졌다면 계정에 등록된 홈페이지 파일을 확인하고 관리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사용하지 않는 파일들은 삭제하고 수정할 것은 편집해서 ... ...
12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