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내각"(으)로 총 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교과서 속 사회랑 실제 우리나라랑 꽤 많이 다른데요ㅜ포스팅 l20241207
- 지방 의회와 지방 자치 단체장만 주민소환제로 파면 가능해요. 음... 게다가 우리나라가 대통령제인데요... 헷갈리게 의원 내각제 요소 여러 개를 짬뽕해놨더라구요(국무총리가 있음+국회 의원과 정부는 법률안 제출 가능)... 나라를 위한 건 알겠는데... 기말 외울 때 헷갈린다구욧 ... ...
- 하코다테 과학기자단캠프를 갔다와서기사 l20240909
- 이산화탄소를 내는 양을 줄이기 위한 연구도 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하코다테 마리컬쳐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2022년도부터 내각부의 교부금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고 합니다. 마리컬쳐 프로젝트로 바다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뿐만 아니라, 지구에 있는 이산화탄소들을 없애서 지구온난화의 피해도 막고 하코다테에 일본인들이 제일 좋아하는 생선 1위인 연 ...
- 6월 항쟁의 도화선, 4.13 호헌 조치기사 l20240218
- 어려운 큰 양보라고 하지 않을 수 없읍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여당이 개헌을 하지 않겠다는 종전의 당론을 변경하면서까지 의원내각제 개헌안을 마련해서 내놓은 것도 진정한 타협의 자세를 실천해 보인 것이라고 할 것입니다. 이 밖에도 여러 차례의 여야 대표회담을 통해 헌법특위의 정상화를 위한 온갖 노력을 기울였을 뿐만 아니라, 기회 있을 때마다 야당 ...
- 5.16 군사 혁명과 박정희 정부에 대해서 알아보자! (상)기사 l20231222
- 우방과의 유대를 더욱 공고히할 것입니다. ............' (사진출처: 나무위키) 군사혁명 당시 피신하였던 장면은 이틀 만에 나타나 내각 총사퇴를 발표했어요. 군사 혁명 세력은 서울특별시장, 각 도의 지사, 시장, 군수 등 중요한 자리 대부분을 군인으로 채웠고, 또 모든 정당과 사회단체를 해산시켰죠. 군사 혁명 세력은 국가재건최고회의라는 ...
- 나는바보인게분명하다포스팅 l20230927
- 그래서의원내각제는뭐고대통령제는무엇인가 ...
- 대통령 선거에 대해 알아보자!기사 l20220129
- 의원이 총리를 선출하는 방식입니다. 대표적으로 의원 내각제를 하는 나라는 독일,영국, 일본 등이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의원 내각제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나라는 국회 의원이 장관도 될 수 있지만 대통령제 에서는 이루어질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번 대선으로 누가 뽑힐지는 모르지만 우리나라를 책임질 총명하고 따뜻한 마 ...
- 벌이 벌집을 육각형으로 짓는 이유포스팅 l20200803
- 안녕하세요? 박선후 기자입니다. 이번 기사에는 왜 벌집을 벌들이 모두 육각형으로 짓는 지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사실 육각형은 공동생활을 하는 벌들이 집을 짓기에 아주 적절한 도형입니다! 일단 육각형은 원 다 ... 하는 이유를 설명하자면 1점에서 한바퀴를 돌리면 360도인데 테셀레이션은 한 점을 중심으로 빈틈없이 채워지는 것이기 때문에 정삼각형 ...
- 벌이 벌집을 육각형으로 짓는 이유기사 l20200803
- 안녕하세요? 박선후 기자입니다. 이번 기사에는 왜 벌집을 벌들이 모두 육각형으로 짓는 지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사실 육각형은 공동생활을 하는 벌들이 집을 짓기에 아주 적절한 도형입니다! 일단 육각형은 원 ... 하는 이유를 설명하자면 1점에서 한바퀴를 돌리면 360도인데 테셀레이션은 한 점을 중심으로 빈틈없이 채워지는 것이기 때문에 삼각형 ...
- 우주 기사상과 천문대 초대권포스팅 l20190518
- 우주 기자상과 천문대 초대관을 받았습니다! 제 기사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도가 아니라고?!) 링크: http://kids.dongascience.com/presscorps/newsview/7290 감사합니다! 어과동 영자님들!! ...
- 삼각형의 내각의 합이 180도가 아니라고?!기사 l20190331
- ) 하지만 구면 위에서는 다릅니다. 위의 사진처럼 적도에서 북극해로 선분을 그으면 한 내각의 크기가 90도가 되어 90X3으로 내각의 크기의 합이 270도가 됩니다. 두 번째, 최단거리에 대한 모순입니다. 중학교 과정에서는 두 점 A,B의 최단거리는 직선이라고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구면 위에서는 곡선이 최단거리가 될 수 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