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실패"(으)로 총 821건 검색되었습니다.
- 하늘과 우주를 향한 끝없는 도전, 항우연기사 l20250816
- 제임스 웹 망원경의 거울을 1981년에 제작했고, 망원경 완성은 1985년, 그리고 1년 뒤인 1986년 망원경 발사를 하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했습니다. 제임스 웹 망원경이 나오기 전에는 허블 망원경이 있었는데 이 망원경은 제임스 웹 망원경보다 조금 부족했습니다. 이번에는 1900년대로 가 보죠. 최초의 로케트인 미국의 saturn V는 196 ...
- 로우앵글 하이앵글 실패작 특포스팅 l20250814
- 로우앵글은 사실 가까이에 있는게 크고 멀리있는게 작은것만 알고 캐릭터 턱 밑을 그리고 밑가슴을 그리고(볼륨 있는 캐릭터 한정) 발바닥을 그리면 그럴싸해요. 실패하더라도 어디 하나가 삐뚤어지거나 따로놀거나 그런거? 근데 하이앵글은 실패하면 둘중 하나가 돼요. 1.그냥 대두.2.캐릭터가 비스듬이 누워있는듯. 하이앵글 실패작 ...
- 오늘 야구 점수 예측함돠.포스팅 l20250813
- 대 쓱: 5:1 1회말에 쓱의 1득점으로 쓱의 분이기가 좋아졌지만, 송성문의 3점 홈런으로 3:1이 될것같습니다. 8회까지 두팀 다 득점에 실패하고 9회초, 최주환의 큰 한방으로 5:1 9회말에는 키움의 멋진 kkk로 쓱을 압도하고 승리 할것 같습니다. 적중하면 ... ...
- 지원님 리퀘 도착포스팅 l20250810
- ~~~~~미방~~~~~ 뿅 이 캐가 누군지 1도 몰랐고 감도 안잡혔기에 캐해에 실패하였지만 전 최애의 부시시한 모습을 보는걸 좋아하기 때문에(? 잠옷으로 낋여왔습니다 이게 맞나 모르겠지만 신청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 KAIST 인공위성 연구소에서 만난 미래의 우주기사 l20250809
- 수 있었습니다.무엇보다 인공위성이라는 것이 단순히 우주에 떠 있는 기계가 아니라, 수많은 사람들의 협력과 오랜 시간의 실험, 실패와 도전 속에서 만들어진 결과물이라는 점이 인상 깊었습니다.현장에서 직접 본 위성들과 연구원들의 설명을 들으며, 저도 언젠가 우주를 향한 꿈을 이루기 위해 지금부터 한 걸음씩 준비해야겠다고 다짐하게 되었습니다.“우리도 ...
- 도덕적인 말과 색판뒤집기 게임포스팅 l20250807
- ㄴ>그러니까 지금 네가 내 잘못을 지적해서 정말 듣기 싫네 넌 천재다. 나도 완벽하지 않다는걸 인정하자.ㄴ>나는 실패작이에요!(?)(실패작 소녀가 되) 여기까지는 제가 방금 읽었던 책이었고요~(분명 책 표지 뒤에 학교에서도 가정에서도 배울수 없다라던가 도덕교과서 같은게 아니라던가 써있던데 실망 걍 도덕교과서에 나온 내용이랑 똑같던 ...
- 그동안 찾아오던 채널을 찾았는데 이건 처음이었습니다,포스팅 l20250807
- 제가 세포도라는 애니메이션 유튜버분의 채널을 찾아오다가 찾았는데 영상이 거의 다 내려갔더군요.닉넴은 바꾸신 상태였습니다.사실 먼저 유사한 그림채의 최근까지 활동중이신 E blue ring이라는 채널을 먼저 찾았습니다.알고 보니 제가 찾아해매던 사이에 올리신 영 ... 찾아야겠죠..?그동안 AI영상과 일본 아날로그호러 영상 중 비슷하다 판단되는 걸 봐서 알고 ...
- 대한민국 우주 도전의 시작, KAIST 인공위성 연구소기사 l20250806
- 를 아시나요? 재사용발사체란 한 번 쓰고 버려지는 발사체 재사용을 위해 스페이스 -X의 일론 머스크가 개발한 방법입니다. 이처럼 실패를 해도 다음에 다시 몇 번이고 도전한다면 결국 해낼 수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세 번째로는 KAIST 인공위성연구소 입구에 새겨져 있는 명언을 알아봤습니다. 영어로 'THE SKY IS THE IMIT'인데 ' ...
- [우주기자단]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의 놀라운 하루기사 l20250804
- 왜냐하면 총 2기가 만들어졌음에도 모두 실패하였기 때문이에요. 과학기술위성 2호는 2기 모두 나로호 1,2차 발사 때 궤도진입 실패로 인해 급히 다른 위성을 개발하게 되었는데요. 그 위성이 바로~ 나로과학위성 이에요. 나로과학위성은 과학기술위성 2A, 2B호를 대신해서 만들어진 위성 입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과 KAIS ...
- 대한민국을 우주와 연결하다, KAIST 인공위성 연구소!기사 l20250802
- 1호는 우리별 4호로도 불리며, 성공적으로 운영을 마친 인공위성 입니다. 하지만, 2호는 2대가 있었는데, 나로호의 발사가 두 번 다 실패해서 우주로 올라가진 않았습니다. 그래서 나로호 3차 발사 때 급하게 위성을 만들어 올렸는데 이위성이 나로과학위성이고, 우리나라 발사체로 올라간 최초의 인공위성 입니다. 출처: 위키백과 지상국은 안테나와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