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알"(으)로 총 5,4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청계천 20주년 기념 어류 탐사기사 l20250518
- 없었는데, 2025년에는 20종이나 발견되었다는 사실이 너무 놀라웠습니다. 그리고 저는 어류들이 거의 다 깨끗한 물에서 사는 줄 알았는데, 대장균 때문에 2급수 기준치가 초과되는 물에도 많은 물고기들이 산다는 게 신기했고 물고기들만의 생존 방식, 그리고 그 물고기들은 무엇을 먹는지가 궁금하여 조사를 더 해볼 계획입니다. 앞으로 청계천에서 지금보 ...
- [벌레]포스팅 l20250518
- 내가 무당벌레가되면 알에서잠자고 애벌레 떼 놀고 번데기 떼 또잠자고 나중에 무당벌레가되어훨훨날아갈거다 ...
- [이름 실명으로 변경 요청]1년 9개월만에 돌아왔는데 저 기억하실지포스팅 l20250517
- 그 공지글 댓글란에 비밀댓글로 요청하면 되는걸로 기억하고 있습니다. 허나, 그 공지 링크를 잃어버려서 어디에 신청해야하는 지 알수 없습니다. 지금 관리자분들께 제가 2022년 가을부터 2023년 여름까지 지속적으로 쳤던 쳤던 만행은 다 잊으시고 제 이름만 실명으로 변경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또한 한가지 오해를 풀어야겠단 생각이 들어 다음 글을 ...
- [벌레] 나는 사슴벌레!포스팅 l20250514
- 나무에 달콤한 수액을 빨아먹고 아침에는 쿨쿨 잠을 자면서 생존 하기 위해 매우 고군분투 할 것 같아요! 죽기 전에는 짝짓기를 해서 알도 낳고...뭐 이런 엉뚱한 상상을 해봅니다. 아무튼 저는 만약 벌레가 된다면 사슴벌레가 될 것 같아요! (아, 그리고 저 지금 짝남과 남친 없고 짝짓기는 그저 상상입니다.) 그럼 지금까지 박다현 기자였습니다 .. ...
- 생생한 민간 우주 개발의 대명사, 텔레픽스에 다녀오다기사 l20250512
- 매우 조심스럽게 움직였습니다. 그 움직임 하나하나에 세심함이 묻어 있었고, 모든 행동에는 이유와 기준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클린룸 내부는 외부 공기와 완전히 차단되어 있었으며, 오염 방지를 위해 공기 흐름까지 설계되어 있었습니다. 이처럼 정밀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 위성 부품의 조립과 시험은 단순히 기술의 문제가 아니라, 인내와 철 ...
- 2025 K-관광섬 흑산도 탐조대회기사 l20250510
- 보호종이 11종이 관찰되었습니다. 법적 보호종이 이렇게 많은 이유는 그만큼 흑산도가 철새들에게 중요한 위치에 있는 섬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저는 그중 3일동안 73종의 새를 관찰하였고 그 중 45종이 처음 본 새였습니다. 가장 인상깊은 새는 쇠붉은뺨멧새입니다. 육지에서는 한번도 못 본 새이고 가장 많이 만났기 떄문입니다. 이번 탐조대 ...
- 다들 마라탕에 뭐넣으시나요포스팅 l20250504
- 후회중입니다 배불러요)오징어 한개 넣고요(그러면서 두개넣음)곤약말이 두세개 넣고요.목이버섯 마음가는대로 넣고요.새우 한두개 넣고요.메추리알 넣고요. 끝입니다. 0.5단계로 신나게 먹어요~ TMI:야채나 채소 절대안넣어요 목이버섯만 ... ...
- 두근두근 2025년 과학기술축제 항공우주연구원을 취재하다!기사 l20250503
- 가지고 있어서 액체연료를 사용했다고 합니다. 이번 기회로 궁금증도 풀리고 항공우주연구원에서 하고 있는 다양한 일들에 대해 쉽게 알 수 있었습니다. 마지막으로 항우연 부스에서 달탐사 AR 체험을 해 볼 수 있었는데요. 장비를 몸에 두르고 특수 신발을 신어 달표면을 걷는것처럼 걸어보고 달에서 새총으로 과녁맞추기, 달에 태극기 깃발꽂기 등을 할 수 ...
- 원소 도감 1. 수소부터 붕소까지기사 l20250502
- 수소: 원자번호는 1번이다. 기체 상태이며 기호는 'H'이다. 폭발성이 크며 세상에서 가장 많은 원소이다.공기에 0.0000038%이다.원자중 가장 가볍다. 수소 폭탄, 수소 비행선 등에 쓴다. (수소 비행선 폭발 이후로 쓰지 않는다.) 헬륨: 원자번호는 2번이다. 역시 기체 ... 5번이고, 이것 역시 고체이며 기호는 'B'이다. 매우 단단하고 불을 잘 ...
- 대한민국 과학축제 현장 속으로 GO GO ! - 한국항공우주연구원기사 l20250502
- 양자학에 대해 알게 되고 다양한 실험도 하면서 과학적 호기심을 키우는 시간이였습니다. 이번 기회는 통해 우주에 대해 더 알수 있었던 시간이였고 우리 삶속에 과학의 중요함을 느꼈습니다. 7월에 아리랑 7호가 발사가 성공되었다는 기사들이 나오길 기대하면서 취재를 마치겠습니다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