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유행병"(으)로 총 6건 검색되었습니다.
- 2월의 북소리: 전쟁은 어떻게 과학을 이용했는가?(늦어서 죄송합니다.)기사 l20210617
- 과학 먼저 1장 과학이 바꾼 전쟁에서는 역사를 바꾼 3건의 대전염병에 대하여 말하고 있습니다. 1)아테네 전염병 2)유스티니아누스 대유행병 3) (그 악명높은)페스트 입니다. 그 중에서도 페스트는 중세시대의 몰락을 가져왔기 떄문에 정말로 역사를 바꿨다고 할 수 있죠. 그후 약 510년후 시리아 내전이 발발하고 쓰인 화학무기와 북한 김정남을 ...
- {다시안녕}전시를 다녀와서!기사 l20210422
- ) (pandemic:전염병이 전 세계적으로 크게 유행하는 현상으로 또는 그런 병입니다. 보통 제한된 지역 안에서만 발병하는 유행병과는 달리 두 개 대륙 이상의 매우 넓은 지역에 걸쳐 발병한다고 하네요!!!) 이제 사진 보실까요? 기자 한 마디:정말 소소한 산책이네요! 기자 한마디:바닷가와 하늘의 조화가 참 아름다워요! 기자 한마디:시원 ...
- 순천만의 가창오리기사 l20201214
- 병에 걸려 죽게됩니다. 만약 그런 일이 생긴다면, 우린 가창오리를 쉽게 보지 못할 겁니다. 실제로, 가창오리들이 오염된 물과 유행병의 침투로 인해 30만 마리가 한꺼번에 죽었습니다. 그 당시, 다른 새들도 죽은 것으로 추정이 되는데, 가창오리들의 사체를 검사해 본 결과 AI(조류독감)이라는게 밝혀졌습니다. 그래서 가창오리는 국제자연보호연맹(I ...
- 흑사병, 코로나와 어떤 점이 다를까?기사 l20201202
- 전염병이다. 흑사병은 인류 역사상 최악의 전염병으로 손꼽히기도 한다. 흑사병은 유럽을 휩쓸며 최대 2억명의 목숨을 앗아간 대유행병이라고 볼수 있다. 흑사병으로 인해 유럽 인구의 3분의 1이 사라졌으며 흑사병을 통해 중세에서 근대로 넘어가는 길이 되기도 하였다. 흑사병은 페스트균, 즉 바이러스로 인한 질병인데, 원래 실크로드를 통해 유럽에 발을 ...
- 코로나 이후 쓰레기 급증! 세계에서가장 일회용품을가장많이쓰는나라,2050물부족 국가는?기사 l20200919
- 실제로 20세기에서는 20~30년 간격으로 유행병이 터졌는데 21세기가 되서 2002년 사스에서 출발해 메르스 , 에볼라, 지카 등 바이러스 유행병이 2~3년 간격으로 터지고 있어요. 여러분도 한번쓰고 쓰레기를 버리지 마시고 될 수 있으면 재활용을 하면 좋아요!!~~^^ 2. 쓰레기 무단 투기, 자연 때문에 벌어진 수질오염 ...
- 나의 탄생석은 무엇일까~요? (1편)기사 l20200424
- 붉은 빛을 자랑합니다. 가넷은 진실, 성공, 명예와 불변을 뜻하며, 우정과 믿음을 상징합니다. 중세 유럽에서는 가넷을 가지고 있으면 유행병에 걸리지 않는다고 믿었답니다. 참 매력적인 보석이여서 붉은 보석은 다 가넷이라고 불렀답니다. 생일이 1월인 사람은 탄생석이 가넷! 2월: 자수정 (사진출처 블로그 ‘쥬얼리루이’) 2월의 탄생석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