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제어"(으)로 총 156건 검색되었습니다.
- KAIST 인공위성 연구소를 다녀오다!!!기사 l20250814
- 개발했습니다. 그리고 가장 최근에는 우주쓰레기를 수거하는 인공위성을 개발하고 있는데 그 이름은 '우주물체 능동제어 위성 1호'입니다. 이 위성은 현재 개발 중에 있으며 이 인공위성의 목표는 수명이 다한 인공위성이나 인공위성을 재사용하기 위해 수거하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합니다. ...
- 카이스트를 갔다온 뒤기사 l20250813
- 실험 기구들이 거의 다 있었다.한국에서 만든 대부분 인공위성이 거의 모두 카이스트 에서 만들어진 것이다.나는 인공위성이 능동 제어를 하는 기계가 고장 나면 어떻게 되는지를 물어보았는데 그냥 끝이라고 하셨다. 우주 어딘가를 떠돌아 다니게 되는 것 같다.쓰레기를 주워 오는 인공위성을 그림으로 그려 본 후 드디어 카이스트에 만든 여러가지 기계를 보았 ...
- 팝플 내에서 이정도는 지킵시다포스팅 l20250809
- 좀 넘는것 같아서, 이것만은 지켜보자 싶은 생각으로 글 올립니다. 1.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바인데, 자기자신의 감정은 자신이 제어하고, 다른 사람들에게 화풀이, 분풀이하지 마세요. 왜 남들에게 자기 기분 나쁜걸 팍팍 티내는 건가요오... 기분이 나빠도 그건 자기자신의 감정이지 다른사람들이 함께 우울하고 화나야 하는 건 아닙니다. 이건 진짜 ...
- KAIST 인공위성 연구소에서 만난 미래의 우주기사 l20250809
- 인공위성 연구소 공식홈페이지> 4. 우주 쓰레기 해결을 위한 능동제어 위성과 창의적 미션KAIST는 우주 쓰레기 문제 해결을 위한 ‘능동제어 위성 1호’도 개발하고 있습니다.이 위성은 로봇팔을 이용해 궤도상 우주 잔해물을 포획하는 임무를 수행하며, 2024년부터 2028년까지 개발이 진행됩니다.이날 탐방에서는 직접 우주 쓰레기를 수 ...
-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만난 대한민국 인공위성기사 l20250806
- 생길 수 있는데, 초점이 흐트러지지 않게 하는 것이 단열재이기 때문입니다. 5. 다음 세대를 위한 "능동제어 위성 1호" 능동제어 위성 1호의 사업 목표는 국가 우주 잔해물 궤도상 포획하는 것입니다. 사업기간은 2024년부터 2028년까지로 우주연구원들이 도전하고 있습니다. 6. KAIST 우주 탐사 로드맵 우 ...
- 대한민국 우주 도전의 시작, KAIST 인공위성 연구소기사 l20250806
- 세 곳의 실험실을 연달아 보았습니다. 자세제어실험실은 위성이 우주로 나갔을 때 자세를 잘 잡는지 실험하는 곳입니다. 자세 제어 장치도 있고, 자세를 돌릴 때에는 바퀴를 사용합니다. 열진공실험실은 아주 추워서 꼭 북극에 온 것 같았습니다. 안에는 커다란 챔보가 있었는데 인공위성을 이 챔보 안에 넣고 진공상태를 만듭니다. 진동실험실은 ...
- [우주기자단]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의 놀라운 하루기사 l20250804
-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카메라가 달려있고, 4개의 집게발이 있었습니다.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 우주쓰레기를 회수하는 능동제어위성을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이기 때문에 저도 가슴이 벌렁거렸습니다. 뉴스에도 나오지 않아서 알지 못했던 위성을 보다니!!! 우주기자단은 운이 참 좋은 것 같습니다. 또 초소형 군집위성, NEONSAT이라는 인공위 ...
- 대한민국을 우주와 연결하다, KAIST 인공위성 연구소!기사 l20250802
- 자기 자리마다 담당이 있는데, 큰 화면의 글씨 중 자신의 것만 본다고 합니다. 항우연 위성관제실/ 출처: 포토뉴스 다음은 자세 제어 모사장치 입니다. 이는 인공위성이 가능한 모든 방향으로 인공위성을 움직여 주는 기계입니다. 바퀴가 4개나 있다고 합니다. 다음으로 간 곳은 청정실 이었습니다. 청정실은 위성조립, 종합 시험을 하는 곳입니다. ...
- [우주기자단 현장미션] 인공위성도 눈, 귀, 뇌가 있어요기사 l20250723
- 보일 때는 태양전지판을 쓰고, 30~40분 태양이 없을 때는 배터리를 씁니다. (사진: 인공위성연구소) 사람의 '뇌' 역할을 하는 것은 자세제어 시스템(AOUS, Attitude & Orbit Control) 입니다. 연구원님은 "흔들릴 때 자세잡는 형"이라고 재미있게 설명해주셨습니다. 별센서, 회전한 것을 확인하는 자이로, 자기 토커, 방 ...
- 최상현 연구원님! KAI가 뭐에요? (우주 기자단 아홉 번째 현장 미션)기사 l20250722
- 인공위성을 설명해 주셨습니다. 바로, 인체입니다.뼈대: 구조물 피부: 열 제어(MLI) 근육: 추진 시스템 혈액순환: 전력시스템뇌: 자세제어 시스템 눈: 광학 카메라 귀와 입: 통신장비 4. KAI의 인공위성이번 파트의 제목은 KAI의 인공위성 이었지만, 이번 파트는 시간이 모자라서 KAI의 소개영상으로 끝났습니다.동영상이 지원되지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