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낮의 빛
햇빛
일광
스페셜
"
자연의 빛
"(으)로 총 17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
자연의
구도자’ 박광진 교수 작품기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3.18
미술작품 기증 협약식을 연다고 밝혔다. '
자연의
구도자'로 알려진 박 교수는
자연의
빛
과 소리를 사실적으로 담아낸 작품을 통해 한국 구상회화사의 중추적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
자연의
소리'라는 작품으로 유명하다. 박 교수는 지난해 12월 KAIST 미술관 개관 당시 자신의 작품 2점을 찬조 전시한 ... ...
[표지로 읽는 과학] 생성형AI로 만든 '자연계 없는 단백질'
동아사이언스
l
2025.02.23
형광 단백질 변이체 생성에 성공한 연구 결과가 실렸다. 형광 단백질은 특정한 파장의
빛
을 받으면 형광을 방출하는 단백질이다. 유전자 발현을 추적하거나 단백질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데 활용된다. 암세포나 질병과 관련된 단백질을 형광 단백질과 결합하면 질병의 진행 과정을 실시간으로 ... ...
[과기원NOW] UNIST, NK세포 표적으로 암세포 전달하는 나노드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12.21
더욱 힘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 포스텍은 기계공학과 노준석 교수의 '나노 패턴과
빛
을 이용한 전방 180도에 위치한 물체의 거리를 인식하는 비전 기술'과 안지환 교수의 ... 선정 및 발표한다. 노 교수의 기술은 나노미터 규모로 미세하게 패터닝된 메타표면과
빛
을 이용해 거리를 인식하는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대 백내장 수술로 시작된 안과 수술
2023.12.03
혼합하여 만든 반구형이며 표면은 얇은 금으로 덮여 있다. 이 눈은 특유의
빛
을 발했고 이 키 큰 여성이 선지자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눈의 상태를 ... 인공 눈을 제작했다. 전연성이 뛰어난 금을 이용하여 모양을 좋게 하고
빛
이 나게 했다. 15~16세기에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는 최초의 인공 ... ...
[표지로 읽는 과학] 차세대 광자반도체 토대 소형 레이저
동아사이언스
l
2023.11.12
학술지 '사이언스'에 9일(현지시간) 발표했다. MLL은 강력한 극초단파
빛
을 발생시키는 레이저다. 극초단파
빛
을 통해 이전에는 들여다볼 수 없었던 펨토초(1000조분의 1초), 아토초(100경분의 ... 하지만 MLL은 지금까지 부피가 큰 형태로만 개발되어 매우 작은 공간에서 적은
빛
을 다루는 칩 규모 ... ...
[일상 속 뇌과학] 보잘것 없는 생물도 배우고 기억할까
2023.10.27
로팔리아에서 방출되는 전기신호가 주변
빛
의 세기를 변화시킬 때마다 그 빈도가 ... 생성되는 swim pacemaker 전기신호가
빛
자극에 의해 변화하는 예시. 그러므로 ... 문지르면 빠르게 감기는 것인데 이 때
빛
이 충분한 환경이 필요로 하며, 어둠 ... 외부 환경에 반응하여 감기기 위해서는
빛
과 물리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펜하이머'와 '반중력'
2023.10.04
anti-electron)라고 부를 수 있다”고 썼다. 이어서 “이 대칭성이 정말
자연의
근본 법칙이라면 어떤 종류의 입자라도 전하가 반대인 짝이 있어야 ... 그 뒤 반수소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했고 2016년 반수소의
빛
흡수 스펙트럼 패턴이 수소와 같다는 실험 결과를 얻었다. 이 역시 예상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가해자보다 피해자를 비난하는 사회
2023.07.29
수 있는 힘이 있다고 믿는 것은 그 자체로 나쁜 일은 아니다. 문제는 때로 세상을 장밋
빛
으로 바라보고 싶은 욕구 때문에 특히 타인이 겪는 문제에 대해 저 사람이 저런 어려움을 겪는 것은 그만한 잘못을 저질렀기 때문일 것이라는 지나치게 단순한 믿음을 적용한다는 것이다. 자신이 억울한 ... ...
[과기원은 지금] KAIST, 고분자전해질 수전해 시스템에서 귀금속 촉매 성능악화 현상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5.23
교수 연구팀이 '비-허미션' 이론을 적용한 메타 격자 장치를 활용해
빛
을 원하는 방향으로 보내는 데 성공했다고 22일 밝혔다.
빛
이 금속 표면에 도달하면 금속 내부의 전자에게 에너지를 빼앗기는데 ... 장치는 SPP를 하나의 방향으로 전송했다. 또 격자의 크기와 배치를 조절해
빛
과 SPP를 양방향으로 ... ...
[과기원은 지금] 포스텍 "코로나19 기간 수질오염 민원 줄었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4.17
UNIST)은 이종원 전기전자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전기로
빛
의 세기와 위상을 독립적으로 조절해 파면·편광상태를 ... 영역 능동 메타표면은 전압으로 조절 가능하며 국부적인
빛
의 세기와 위상을 독립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제작한 ... 이종원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메타표면 기반 광소자는
빛
의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