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ERVIEW 롤프-디터 호이어 CERN 소장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아직 완성되지 않았다“작년 7월이라면 (데이터가 부족해) 그림자를 봤다고 표현해도 되겠지요. 하지만 이제는 입자의 성질까지 충분히 조사했고, 힉스 입자라는 사실을 확인했습니다.”힉스 입자는 현재 물리학자들이 생각하는 가장 완성도 높은 물리학 이론인 ‘표준모형’에서 발견하지 못했던 ... ...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전과 유사하게 폭발한다면 우리나라와 일본 등 가까운 지역은 화산재 피해뿐 아니라 몇 년간 냉해를 겪을 지도 모른다.백두산 폭발은 또 다른 위험도 갖고 있다. 아름답고 신비로운 칼데라 호인 천지가 물폭탄으로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윤수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박사는 “천지에 녹아 있는 ... ...
- 왜 황우석은 실패하고 미탈리포프는 성공했을까과학동아 l2013년 06호
- 만든다면 가격이 비쌀 수밖에 없다는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IPSc의 경우 올해 혹은 내년에 연구 목적의 임상에 돌입한다는 계획이 있지만, 보편적인 임상까지는 시간이 훨씬 더 걸린다. 이 때문에 문신용 서울대 의대 교수는 조선일보와의 인터뷰에서 “복제배아줄기세포를 만들어도 이식하는 방법을 ... ...
- 내성균 리턴즈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이곳은 항생제가 없다”며 겁에 질린 표정으로 미래로 돌아가자고 말한다. 불과 100여 년 전만 해도 세계는 항생제 한 알이 없어 작은 상처에도 사람이 죽고 사는 곳이었다. 우리는 역설적으로 21세기에 그런 세계로 가고 있다. 항생제를 지나치게 많이, 쉽게 사용해서 말이다 ... ...
- 새학기 필수품, 착한 학용품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6호
- 여의도 두 배가 넘는 면적의 산림이 벌목되고 있다고 해요. 재생지 1톤을 재활용하면 30년생 소나무 16그루를 살릴 수 있답니다.폐지 50%를 사용한 재생지 만드는 방법 내가직접 만든 착한 필통착한 학용품이 갖고 싶다고? 그럴 줄 알고 어과동에서 간단하게 집에서 필통을 만 들 수 있는 방법을 ... ...
- [20세기의 수학자] 앤드루 와일즈수학동아 l2013년 06호
- 놔주지 않았다. 와일즈가 제출한 200쪽 분량의 논문 심사과정에서 오류가 발견된 것이다. 7년간 이 업적 외에는 아무 것도 한 것이 없는 그는, 수학자로서의 인생이 끝날지도 모른다는 공포에 시달려야 했다.이후 와일즈는 그의 제자였던 유능한 젊은 수학자 리차드 테일러와 함께 오류 수정 작업에 ... ...
- 수학으로 가상과 현실을 자유롭게 넘나든다!수학동아 l2013년 06호
- 느껴질 것 같다.다방면에 활용되는 증강현실의 기초는 바로 수학!정승혜(경기 안곡중 1학년)나는 이번 취재 덕분에 ‘증강현실’에 대해 정말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 먼저 컴퓨터 그래픽만으로 꾸며낸 가상현실 기술과 달리, 컴퓨터 그래픽과 현실을 혼합한 증강현실 기술은 내가 상상하던 것 ... ...
- 기후변화·에너지 고갈·강력범죄를 막아라! 지구를 위한 수학수학동아 l2013년 06호
- 변수로 넣어 방정식을 푼 결과, 놀랍게도 그 사람이 일으킨 범죄 지도가 이 지역에서 작년에 일어난 범죄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또한 이 컴퓨터 프로그램에서 우발적인 범죄가 일어나는 지역에 경찰을 투입하는 변수를 넣자 범죄는 곧 사라졌다. 하지만 계획적인 범죄가 일어나는 지역은 경찰 ... ...
- 정보를 한눈에! 인포그래픽의 세계수학동아 l2013년 06호
- 각 부처들이 새로운 정책과 추진 계획을 인포그래픽을 이용해 보고했어요. 5년간 할 일을 대통령이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였어요. 이처럼 최근에는 인포그래픽의 활용이 두드러지고 있어요.그렇다면 인포그래픽은 어떤 과정을 통해서 만들어질까요? 인포그래픽은 총 10단계에 거쳐 ... ...
- [가상 인터뷰] 쌍둥이 소수 추측, 해결 실마리를 찾다!수학동아 l2013년 06호
- 추측이에요. 즉, (3, 5), (11, 13) 등과 같은 쌍둥이 소수가 무수히 많다는 말이지요.1849년 프랑스의 수학자 알퐁스 드 폴리냐크는 쌍둥이 소수 추측을 일반화했습니다. 임의의 자연수 k에 대해 p-p′=2k를 만족하는 순서쌍 (p, p′)가 무한히 존재한다는 명제를 만든 거예요. 쌍둥이 소수 추측은 k=1일 때에 ... ...
이전1001100210031004100510061007100810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