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① 극한의 생존자 미생물 수색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그 비밀은 미생물의 다양한 유전방식에 있다. 미생물의 경우 동물이나 식물에 비해 매우
큰
유전적 변이를 보인다. 한 유전자(리보솜 RNA 유전자)를 예로 들면, 사람과 생쥐의 유전자 변이도가 0.7%밖에 안되는데 반해, 미생물의 일종인 세균의 경우에는 같은 종에 속하는 두 개체간의 변이도가 약 3%나 ... ...
영원을 갈구하는 현대판 미라의 신비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아니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인간의 복원 성공률은 100%가 보장돼야 한다는 점에서 더욱
큰
어려움이 있다.독일에서 의학적으로 엄격히 관리되는 조건에서 냉동돼 일단 사망상태가 됐다가 40분 후에 해동하는 실험이 실시된 적이 있다. 실험 결과 4명 중 3명은 살아났고 1명은 영영 깨어나지 못했다. ... ...
이천 도예마을(陶藝) - 불을 다스리는 노하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불을 어떻게 다뤘는지를 엿볼 수 있다. 도자기 빛깔의 비밀도예마을 탐방에서 가장
큰
즐거움은 직접 도자기를 만들어볼 수 있었던 것이다. 이를 위해 해강도자미술관 맞은편에 위치한 ‘동해도요’라는 곳을 찾아갔다. 물레로 도자기를 빚어보고 직접 글과 그림을 그려 넣어 봤다.그러고 나니 벌써 ... ...
새로운 현대인 직계조상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강조돼 현대인의 얼굴모양에 더 가깝다고 리키 관장은 말했다. 또한 루시가 가지고 있는
큰
치아보다 훨씬 작은 치아를 가지고 있어, 루시와는 상당히 다른 식생활과 생활습관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추측된다고 덧붙였다.이렇게 그들이 거의 동시대를 살면서도 서로 다른 신체적 특징을 보이는 ... ...
목성과 토성 사이에서 지긋이 눈감은 초승달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밝은 별이다. 이 ‘별’은 달에서 위쪽으로 약 3° 가량 떨어져 있으며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인 목성이다.달의 약간 왼쪽 옆에도 밝은 별 하나가 눈에 띈다. 바로 황소자리의 1등성인 알데바란이다. 그리고 그 아래쪽으로 푸른 별들이 모인 플레이아데스성단이 있다. 이들이 한곳에 어울리는 모습은 ... ...
별자리 찾기 도시하늘이 더 쉽다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찾으면 된다. 왕관자리에서 가장 눈에 잘 띄는 별이다. 2.2등급으로 왕관의 가운데에 박힌
큰
보석처럼 빛난다.별자리 이야기동·서양에는 문명권마다 옛날부터 내려온 나름대로의 별자리가 있다. 밤하늘에 흩어져 있는 별을 무리지어 지역이나 문화적 특성에 따라 알기 쉬운 이름을 붙였다. 지금 ... ...
③ 산업폐기물재활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이강인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일은 환경을 보전하는데는 물론 자원을 확보하는데도 중요하다. 사업단은 재활용 가치가
큰
산업폐기물을 대상으로 경제성 있는 원료물질과 에너지로 재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실용화하려 한다.구체적으로 폐플라스틱 폐수지 등에서 기름 가스 정밀화학원료 등을, 폐유 폐타이어 등에서 ... ...
⑤ 자생식물이용기술 개발사업단장 정혁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공부만 하자 그 자리 뒤의 벽지 색이 바래진 것이었다. 정단장은 부끄러운 생각과 함께
큰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이 후로 정단장은 스스로 깨달아 공부를 시작했고 공부에 재미를 붙였다. 물론 실력과 성적이 급성장했다. 여름방학 후에는 꼴찌에서 맴돌던 성적이 반에서 6등까지 올랐다. 이후로 ... ...
탁월한 리더십 발휘한 과학자 베스트5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맡겼다.양자역학의 성립과 발전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한 것이 보어 연구소의 가장
큰
성과였다. 양자역학의 주역들이 대부분 이 연구소에서 보어와 다른 동료들과의 격의없고 격렬한 토론을 통해 자신의 이론을 완성했다. 양자역학의 주역들은 대부분 20대 중반의 패기만만한 젊은이들이었고, ... ...
한국인 게놈지도 초안 6월 발표
과학동아
l
2001년 04호
벼게놈 초안을 완성했다고 발표하면서부터이다. 당시 컨소시엄을 주도했던 일본은
큰
충격에 빠졌고, 그해 9월 미국 클램슨대에서 있었던 정기모임에서 올해 초까지 1번 염색체 분석을 끝마치기로 결정했다.이 과정에서 예산이 고정된 우리나라는 7백만개를 앞당겨 끝내라는 일본측의 요구를 ... ...
이전
1001
1002
1003
1004
1005
1006
1007
1008
10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