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2,629건 검색되었습니다.
에이즈 치료하는 알약
과학동아
l
200706
물리계의 입자들을 전부 그들의 반입자로 바꾸고(C) 동시에 그 물리계를 거울 속에 비춰
관측
하는 경우(P) 그 물리계의 성질이 전혀 바뀌지 않음을 뜻한다 CP 대칭성 깨짐은 이 관계가 성립하지 않는다는 뜻 1964년 미국 브룩헤이븐연구소의 과학자 4명이 처음 발견했다주성분이 메탄이라 ... ...
PART1 올여름 최악의 무더위 올까
과학동아
l
200706
결정된다.실제로 초기값 생산 과정은 예보에 있어서 가장 핵심적인 부분이다. 그러나
관측
으로 얻은 결과가 완벽할 수 없기 때문에 초기값에는 늘 오차가 생긴다. 여기에 대기의 비선형적인 성질까지 더해져 작은 오차가 매우 다른 결과를 빚어내기도 한다. 현재 2주를 일기예보의 한계로 보고 있는 ... ...
반짝이는 별 한 번 사볼까?
과학동아
l
200706
금성의 위상 변화를
관측
하기에 가장 좋은 시점은 6월에서 7월 사이다. 행성의 위상 변화
관측
에 관심이 있다면 날마다 맨눈으로 금성의 위치를 측정하고 천체망원경으로 매일 변하는 금성의 크기와 모양을 관찰하며 기록해 보자.전성기를 맞이한 금성을 ‘축하’하는 또 하나의 사건이 있다. 6월말~ ... ...
3대가 모여 있는 대가족 성단
과학동아
l
200706
피오토 교수팀은 지구로부터 3만광년 떨어진 NGC2808 구상성단의 별을 허블 망원경으로
관측
해 이 성단에 발생 시기가 수만년씩 차이나는 3세대의 별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구상성단이란 수백개에서 수십만개의 별이 구 모양으로 모인 집단으로 한 성단 안에 다른 세대의 별이 발견되는 것은 ... ...
뉴질랜드에서 잡힌 대형 오징어
과학동아
l
200706
위해 작성하는 일기도 850hPa, 700hPa, 500hPa, 300hPa, 200hPa 등의 특정 기압면에 대해 고층 기상
관측
결과가 기입되며 온도와 습도의 분포가 표시되어 있다 분자식 Mg₂SiO₄감람석의 마그네숨 단성분(端成分) 광물 사방정계(斜方晶系)에 속하는 광물 굳기 7, 비중 32 올리브 녹색을 띠고 있다 쪼개짐은(010)에서 . ...
떠다니는 탄소를 거래한다?
과학동아
l
200706
가시광선은 잘 통과시키는 유리 선의 질량흡수계수가 큰 PbO를 다량으로 함유한다 선을
관측
하여 천문현상을 연구하는 천문학의 한 분야 선은 전자기파(電磁氣波)의 일종이며 하전입자(荷電粒子)와 달라 우주자기장에 의해 휘어지지도 않으며 또한 투과성(透過性)이 좋아 직접 발생원의 방향을 알 수 ... ...
파일럿이 두려워하는 메가번개
과학동아
l
200706
메가번개를 1년 이상
관측
할 야심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내년 전반기에 메가번개
관측
용 우주망원경을 탑재한 위성을 발사할 계획이다. 이 우주망원경의 핵심은 수천개의 반도체 초미세거울과 2개의 바늘구멍이 결합된 카메라다.박 교수는 “이 망원경을 이용하면 처음엔 지름 200km의 넓은 ... ...
연료전지 비행기 이륙 준비 완료
과학동아
l
200705
말하면 사이코메트리는 어떤 물질적 대상을 매개로 삼는 투시능력의 일종이다천체를
관측
해 해와 달의 운행과 절기 등을 적어 놓은 책 이순지와 김담이 중국 원나라의 수시력법과 명나라의 통궤력법을 참고해 세종 26년(1445년) 우리나라에 맞게 만든 것이다목성의 섭동으로 소행성대 내에 소행성이 ... ...
PART1 지구의 미래가 녹고 있다
과학동아
l
200705
지구온난화가 전세계에 미칠 영향적도해수면 상승에 기여하는 요인1993~2003년의 위성
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바닷물이 열팽창하고 극지와 내륙의 빙하와 빙상이 녹으며 전지구의 해수면이 연간 3.1mm씩 높아졌다. 해수면 상승을 가속시키는 주된 요인은 열팽창이다. 열팽창은 전세계의 해양에서 수온 ... ...
태양망원경, 해를 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5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한국천문연구원도 30년이 넘도록 태양망원경으로 해를
관측
해 왔습니다. 사진에 있는 망원경은 원래 소백산천문대에 있던 것으로, 우리나라 태양천문학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하지만 이제는 인공위성에 있는 망원경을 주로 이용합니다. 해의 표면에는 자기력선이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