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d라이브러리
"
동물
"(으)로 총 6,50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털코뿔소 멸종은 인간 아닌 ‘이것’ 때문
과학동아
l
2020년 09호
멸종된 종이 기후변화에 어떻게 대응했는지 알아낼 수 있었다”며 “급격한 기후변화가
동물
의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8월 13일자에 실렸다. doi: 10.1016/j.cub.2020.07.04 ... ...
[특집] 세 장, 냄새나도 괜찮아! 또~옹을 연구한 사람들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될지도 몰라요! Q 똥 연구만의 매력은?똥과 오줌은 아주 훌륭한 연구 주제예요.
동물
과 관련한 유체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누구나 아주 재미있어 하죠. 실제로 모든 연구 과정이 무척 즐거워서 주변인들이 너도나도 참여하고 싶어한답니다. 똥을 연구하기 전에는 가족이 제 연구에 조금도 ... ...
[때문에 과학] 2탄. 큰 귀 코끼리, 짙은 피부 북극곰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진균 등만 합성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가두솔은 식물에서도 합성되지만, 식물은
동물
처럼 햇빛을 피해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추가적인 자외선 극복 전략을 쓴다. 식물이 선택한 방법은 자외선에 의해 손상된 DNA를 원상복구하는 것이다.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연구팀은 대표적인 실험용 ... ...
[과학도서리뷰대회 수상자]책 리뷰의 달인을 찾았습니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군은 인간이 종이를 먹어 없앤다는, 다소 과감한 방식을 떠올렸습니다. 먼저 인간이 초식
동물
처럼 종이의 구성성분인 셀룰로오스를 소화할 능력이 있다고 가정했는데요. 다당류인 셀룰로오스가 분해돼 포도당으로 변한 뒤 1g당 4kcal의 에너지를 낸다고 할 때 ‘더 위험한 과학책’은 무게가 약 900g인 ... ...
가죽을 남긴 호랑이에게 숨을 불어넣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있다. 추천하진 않는다. 박제사는 결코 반려
동물
과 평생을 같이 살아온 사람만큼 반려
동물
에 대해 알 수 없다. 세밀한 부분에서 부족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어색한 결과에 오히려 후회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한다 ... ...
바이러스 사냥으로 미래 유행할 전염병을 예측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교수) 나운성 교수는 인수공통감염병의 출현을 감시하기 위해 박쥐를 포함해 다양한
동물
바이러스를 조사하고 있어요. 한국의 ‘바이러스 사냥꾼’을 만나 보세요! Q인플루엔자바이러스를 매년 조사한다고요? 인간에게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조류에서 소화기를 감염시킨 뒤 ... ...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말했습니다. 죽은 이를 홀로그램으로 환생시킬 만큼 정보통신기술(ICT)이 발전한 시대에
동물
의 가죽을 벗겨내는 번거로움을 무릅쓰고 박제하는 이유가 뭔지 윤 박제사가 얘기해드립니다 돌멩이 하나에 30억 원, 이 정도면 ‘운석 재테크’… (92p)☞바로가기돌멩이 하나에 우리 돈으로 30억 원이 ... ...
영화 '#살아있다' '반도' 속 좀비 바이러스 분석
과학동아
l
2020년 08호
위협하는 구제역바이러스는 소나 돼지, 염소, 사슴 등 발굽이 짝수 개로 갈라진 우제류
동물
이라면 종에 상관없이 전파된다. 이는 구제역바이러스가 우제류 세포 표면에 있는 인테그린이라는 단백질을 인식해 침투하기 때문이다. 반면 사람 세포에 있는 인테그린은 우제류와 구조가 달라 ... ...
새로운 적에 대항할 ‘슈퍼약물’이 나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8호
만들지 않는 항생제 ‘테익소박틴’을 발견해 큰 주목을 받았어요. 테익소박틴은 2018년
동물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쳤지요.지금껏 세균에게 내성을 일으킨 항생제 대부분은 토양세균이 내뿜는 물질을 이용해 만들었어요. 그런데 토양세균의 99%가 기존 실험실에서 키울 수 있는 종이 아니어서 항생제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여자친구라는 헤어날 수 없는 미궁
수학동아
l
2020년 08호
전설에 등장하는 ‘라비린토스’에서 유래한 것으로, 라비린토스는반은 인간 반은
동물
인 괴물 미노타우로스가 살고 있어 한 번 들어간 사람은 빠져나갈 수 없는 건물이다. 영웅 테세우스가 실타래를 풀면서 들어가 미노타우로스를 무찌르고 빠져나왔다고 전해진다. 세이렌 역시 고대 그리스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