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명"(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 [매스크래프트] #22. 초대형 케이크, 공평하게 나눠 먹으려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통해 제안했습니다. 그 방법에 따르면 4명일 때 최대 203번 칼질로 공평히 자를 수 있고, n명일 때 공평하게 케이크를 나눠 먹기 위해선 nn^n^n^n^n번 이내로 칼질해야 한답니다. 이 연구는 획기적인 공평한 케이크 나누기 방법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으며 2016년 열린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 ...
- 잘 읽히는 글꼴, 기억 잘 되는 글꼴은 따로 있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실험심리학자 찰스 스펜스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는 글꼴과 맛의 상관관계도 밝혀냈다. 101명의 피험자를 대상으로 ‘eat me’라는 똑같은 단어를 12종류의 글꼴로 제공했다. 내용물의 맛을 연상해보라는 질문에 둥근 글꼴은 달콤한 맛을, 각진 글꼴은 쓴맛이나 짠맛, 신맛과 연관 짓는 경향성이 ... ...
- [이공계잡터뷰] 과학의 즐거움을 전하는 크리에이터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콘텐츠의 시대. 그만큼 크리에이터가 되기를 꿈꾸는 이들도 늘고 있다. 구독자 12만여 명의 유튜브 채널 ‘지식인 미나니’를 운영하는 이민환 PD를 9월 1일 서울 영등포구 스튜디오에서 만나 과학 크리에이터의 삶에 대해 알아봤다. 흔히 크리에이터라고 하면 동영상 플랫폼인 유튜브에서 활동하는 ... ...
- [특집] 메시, 김연경 선수의 등번호가 10인 이유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거머쥐었지. 우리나라 남자 프로농구에서는 총 11개의 영구 결번이 생겼는데, 그중 4명의 선수가 10번이야. 서울 삼성의 김현준, 서울 SK의 문경은, 울산 현대모비스의 우지원, 고양 오리온의 김병철이 그 주인공이지. 어때? 이만하면 10번이 스포츠계 최고의 스타라고 할 수 있겠지 ... ...
- 폴리매스 정보통! 로블록스로 창의력과 수학 실력을 한 번에!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만드는 것이 있어요. 이번 강연에서는 한 블록을 밟으면 다른 블록으로 순간이동을 하는 명령어를 사용해 순간이동 상호작용을 적용해봤어요. 순간이동까지 만든 뒤엔 다같이 친구가 만든 공간을 직접 구경 다녔어요. 멋진 오두막과 파라솔이 있는 섬을 만든 친구도 있었고, 울릉도와 독도를 ... ...
- 물질의 특성 살피는 새로운 도구, 위상 수학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이전에 발표됐던 액정의 위상 구조를 나누는 ‘위상 수’는 위상적 결함을 모두 설명하기에는 부족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정 교수팀은 액정의 위상 구조를 나눌 수 있는 새로운 기준인 ‘매듭’을 떠올렸습니다. 액정 물질을 이루는 입자들의 배열을 정해진 규칙에 따라 선으로 이으면 매듭으로 ... ...
- [한페이지 뉴스] 코로나19, 알파, 델타, 감마…, 뮤 변이 바이러스 국내 발생과학동아 l2021년 10호
- 9 주간 보고서에서 콜롬비아에서 처음 보고된 ‘B.1.621’ 변이 바이러스를 뮤 변이로 명명했다.코로나19를 유발하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를 비롯한 바이러스는 끊임없이 변이를 일으킨다. 대부분의 돌연변이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지만, 일부 변이 바이러스는 전파력이 강하거나 백신에 대한 ... ...
- 누리호 발사 카운트다운, 숨겨진 공로자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있어 위성 등 연구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위성을 정확한 위치에 보내는 것은 위성의 수명과도 직결되는 일이다.“2007년부터 나로호 프로젝트와 별개로 한국형 발사체 엔진을 연구하기 시작했어요. 각종 엔진 부품, 가스발생기, 수소펌프 등 하나씩 만들어갔습니다. 그러나 개발을 마치자 진짜 ... ...
- [과학동아 x 긱블] 우리 이번엔 좀 진지하다, 영화 ‘업’ 하우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단 목재함은 각각 관악기, 현악기, 타악기 중 하나의 악기만 흘러나오기 때문에 세 명이 동시에 올라가야 하모니를 이루며 음악이 완성될 수 있습니다. 관객이 모두 함께해야만 완성되는 작품을 만들고 싶다는 긱블의 뜻이 들어갔다고 하네요(감동의 눙물ㅠ).목재함에는 또 중요한 것이 들어갑니다. ... ...
- 해양데이터 리터러시, 교실에서 바다를 읽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리터러시 속으로(Dive into Ocean Data Literacy)’도 진행했다. 인천광역시 소속 과학 교사 27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직무연수에서는 실시간 비대면 강의를 통해 기후변화, 해양 미세플라스틱 문제를 환기하며 해양관측과 해양학의 중요성을 교육했다. 이후, 실습을 통해 ODV 활용법을 배워보는 등 교사들이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