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바탕
밑동
내부
근본
바닥
저변
아래쪽
d라이브러리
"
밑
"(으)로 총 1,885건 검색되었습니다.
독야청청한 우리 독도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녹음 우거진 해초숲독도 바다는 사막이다? 1999년 처음으로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바다
밑
에 풀 한 포기, 나무 한 그루 없는 ‘갯녹음’ 현상이 알려졌다. 바위에 초록색 해초가 없어 허옇게 보인다는 의미로 ‘백화’ 현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지난해 6월에는 청정해역으로 알려진 독도마저 ... ...
산불과의 전쟁에 나선 과학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어도일체형(魚道一體型) 사방댐도 계곡물이 잘 흐르도록 설치하는 댐 모양의 시설이다.
밑
에 입구가 있어 물고기가 지나갈 수 있는 친환경적 구조물이다.국립산림과학원 복원연구실 임주훈 박사는 “지난 2000년 발생한 삼척 산불 지역에 이같은 공법을 시범 도입했으며, 이번 양양 산불 지역에 본격 ... ...
동굴 탐험가 어둥굴차스키의 실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거대한 석상 하나가 나타났다. 거대한 석상은 커다란 네 개의 망치를 들고 있었고 그
밑
에는 네 개의 갈림길이 있었다. 석상에는 다음과 같은 글이 써 있었다. ‘망치에는 석상의 여러 부분이 새겨져 있다. 실제 석상의 부분과 다르게 새겨져 있는 망치 아래 문을 통과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망치에 ... ...
해양연, 해저 탐사 무인 잠수정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신비를 우리 기술로 파헤칠 수 있게 됐다.한국해양연구원 해양시스템안전연구소는 바다
밑
6000m까지 내려갈 수 있는 무인잠수정(ROV)을 최근 개발해 11월경 동해에서 시운전에 들어간다.이 무인잠수정은 로봇 팔과 다양한 센서가 달려 있어 깊은 바다 속에서 해양 생물을 수집하거나 해저에 널려 있는 ... ...
조선시대 이미 식이요법 있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태운 후 약숟가락 정도의 남은 재를 술에 타 먹으면 차도가 있다’ ‘위가 막혀 명치
밑
이 그득하고 답답한 증상이 있으면 생강즙 반 홉에 꿀 한 숟가락을 넣고 달여 끓여 3번 복용한다’ 등이 바로 그것이다.오늘날 최고 식품으로 꼽히는 우유의 효험에 대한 언급도 보인다. ‘병을 앓은 후에 ... ...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설명하고자 했던 많은 심리학자들도 지각, 언어, 주의력, 기억 같은 정신현상의
밑
바탕을 이루는 뇌의 작용기전을 탐색하는 쪽으로 관심을 옮기게 됐다. 이런 연구를 더욱 가속화시킨 것은 뇌 영상기술의 출현과 비약적 발전이다. 이 연구들의 최종 목표는 뇌 영역별로 기능 정보들을 지도화하는 ... ...
매야, 다시 높이 날자꾸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13세기 중국의 원나라에서 포로 생활을 했던 마르코 폴로의 에‘시바의 왕
밑
에는 1만의 매사냥꾼으로 편성된 군대가 있어 당시 그들이 사냥한 것으로 전 국민의 식량을 조달했다’라고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매사냥은 널리 행해졌답니다.우리나라도 오랜 옛날부터 매사냥이 시작되어 ... ...
“일단 믿고 맡겨봐” 인간과 맞붙은 로봇 외과 의사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수술기구를 넣어 환부를 수술한다.복강 내의 담낭을 절제한다고 가정하자. 담낭은 간
밑
에 붙어 있으며 이곳에 병이 생기면 잘라내야 한다. 과거에는 상복부를 약 20cm 이상 길게 절개한 뒤 복벽과 간을 차례로 당기고 손을 넣어 담낭을 잘라냈다. 그러나 현재는 복부 4곳에 구멍을 뚫어 시술하는 ... ...
5. 디자인은 대화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때문. 오렌지나 레몬을 반으로 잘라 위에 놓고 누르면서 돌려주면 과즙이 흘러내리며
밑
의 뾰족한 꼭지에서 아래로 떨어진다. 쓰고 난 과즙기는 물로 한번 씻어주면 된다.미국 노스웨스턴대의 심리학자 도널드 노먼 교수는 쥬시 살리프를 지난해 출간한 그의 책 ‘감성적 디자인’의 표지사진으로 ... ...
진퇴양난 새만금 사태 묘수는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않은 신시개방구간 1.1km와 가력개방구간 1.6km에 두 개의 다리를 건설하는 안도 있다. 바다
밑
암반까지 너무 깊어서 다리를 건설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명지대 건축학과 김석철 교수는 새만금 해역 하부에는 강한 암반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갯벌을 보존한 채 충분히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