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부
밖
노천
표면
외면
겉모습
d라이브러리
"
바깥
"(으)로 총 2,058건 검색되었습니다.
안녕! 디스커버리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있다. 앞으로 우주비행사 대신 무거운 공구를 들거나 우주정거장을 청소하고 우주
바깥
공간에서 작업을 수행할 것이다.그동안 지구 대기권을 수십 번 통과하며 1500℃가 넘는 고온을 견딘 탓에 내 몸 이곳저곳에는 그을음과 상처가 남아 있다. 이제 새로운 형태의 우주선에게 자리를 양보할 때다. ... ...
비누거품 속에 숨은 과학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배열된다. 물 표면에서는 친수성인 머리 부분이 물 안쪽을 향하고, 소수성인 꼬리 부분이
바깥
쪽을 향한다.물에서 비누의 배열은 와 같다. 비눗물이 뿌옇게 보이는 이유는 비누가 물에 녹아 무수히 많은 미셀을 형성해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이다. 비누는 이러한 구조로 인해 물과 기름을 ... ...
흑인 부모는 어떻게 백인 아기를 낳았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피부는 외부환경에서 우리 몸의 내부구조를 보호하고 항상성을 유지하는 조직이다. 가장
바깥
부분이 약 0.1mm 두께의 표피다. 바로 밑은 질긴 결합조직인 2mm 두께의 진피, 진피 밑에는 지방조직인 피하조직이 있다. 표피를 이루는 상피세포는 점점 딱딱하게 변하는데 이를 ‘각질화’라고 한다.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있다.이 기준에 따르면 배추는 중간 정도 크기(2~3kg)로 잎이 얇고, 잎 수가 많으며 큰
바깥
잎이 배추 속을 완전히 감싸고 있는 ‘결구형’ 배추가 좋다. 적당히 단단하고(0.55kg/㎠), 싱싱한 푸른 잎이 붙어 있지만 속은 노란색 배추를 고른다. 씹어보면 고소한 맛이 나지만 약간 단맛이 느껴지는 품종이 ... ...
빛그림 만드는 광화학의 신비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아리스토텔레스와 유클리드는 버들가지로 만든 바구니의 작은 홈을 통과한 빛이
바깥
풍경의 상을 만드는 것을 관찰한 바 있다. 기원전 5세기 고대 중국의 묵경은 “바늘구멍을 통과해 맺힌 상은 거울을 보듯 뒤집혀 보인다”고 기록했다. 11세기 송나라의 학자 심괄이 처음으로 카메라 옵스쿠라의 ... ...
인류의 에너지원 ‘별’ 탐구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일어난다.질량이 아주 가벼운 별은 이 단계를 지나 껍질층의 수소를 다 태우고 나면
바깥
부분이 팽창해 행성상 성운이라는 예쁜 천체를 만들고 별의 중심부는 수축해서 단단한 천체가 된다. 이때 남은 중심부가 백색 왜성(white dwarf)이다. 백색 왜성은 태양이 지구 정도로 크기가 줄어든 천체로, ... ...
공개수배! 숨어 있는 ‘용의자’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풀과 달리 이 풀은 끝이 둥근 삼각 꼴이다. 가끔 쉭쉭 소리를 내면서 기다란 붉은 혀가
바깥
으로 나오는 걸 보니, 영락없는 뱀이다.‘초록뱀’은 주로 풀이 많이 자라는 산이나 언덕에서 산다. 풀 속에 파묻혀 완벽하게 풀처럼 보이기 위해서다. 다른 뱀에 비해 기어가는 속도가 느리고 독이 없어 ... ...
별들의 세계도 약육강식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설명했다.별은 나이가 들어 핵융합 반응에 쓸 연료가 떨어지면 크기가 팽창하면서
바깥
쪽 층이 떨어져 나온다. 태양도 적색거성이 되면 지구를 삼켜 버릴 정도로 커질 가능성이 크다.카스트너 교수는 “별이 다른 별이나 행성을 삼키는 구체적인 과정은 현대 천체물리학의 중요한 주제”라며 ... ...
승리의 방정식을 찾아라
수학동아
l
2010년 10호
하지만 왼손 투수 앞에서는 불리하기 마련이다. 왼손 투수의 공은 왼손 타자의 몸쪽에서
바깥
쪽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치기 어렵다. 왼손 투수는 1루 주자를 쉽게 견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유리하다. 오른손과 왼손의 차이는 수비에서 더 분명하게 나타난다. 1루수는 오른손으로 공을 받는 ... ...
별의 죽음을 밝혀 낸 과학자 찬드라세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일어난다.질량이 아주 가벼운 별은 이 단계를 지나 껍질층의 수소를 다 태우고 나면
바깥
부분이 팽창해 행성상 성운이라는 예쁜 천체를 만들고 별의 중심부는 수축해서 단단한 천체가 된다. 이때 남은 중심부가 백색 왜성(white dwarf)이다. 백색 왜성은 태양이 지구 정도로 크기가 줄어든 천체로,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