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소니
f 88
smu
삼성
소니 mp3
소니mp3
d라이브러리
"
바이오
"(으)로 총 1,203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인슈타인과 디카프리오 합친 아기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원인 단백질과 유전자를 발굴하는 일이 가능해진다.이미 지난 2001년, KAIST 이상엽 교수는
바이오
인포메틱스(주)와 함께 멘하이미아균에 대한 가상세포의 초기형태를 만드는데 성공했다. 이 균은 식품첨가물과 공업용 원료로 큰 가치를 지닌 숙신산을 만든다. 컴퓨터에 저장된 맨하이미아균의 복잡한 ... ...
혜성의 비밀 밝히는 나사의 탐사선 발사
과학동아
l
2002년 08호
종류의 신호로 변환시키는 장치, 즉 변환기다 생체에 있는 각종 수용체분자와 뉴런은
바이오
트랜스듀서인 셈이다여러개의 아미노산이 연결된 분자 수십-수백 개의 아미노산이 연결된 단백질보다는 구조가 단순해 현재 나노구조물의 기본단위로 많이 연구되고 있다근육에는 속근섬유, 중간근섬유, ... ...
PART1 벤처 블루칩으로 등극한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나노전자소자, 나노공정장비다. 프론티어의 3가지 나노사업은 이 중에서 나노
바이오
를 제외한 분야를 담당한다.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은 현 반도체소자보다 집적도와 속도를 수천배 이상 높여 2010년에 테라(${10}^{12}$)급 시제품 소자를 개발할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집적도와 속도는 메가(${10}^{9}$ ... ...
PART5 나노머신 찍어내는 프린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물질을 금속 표면에 옮겨 놓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때문에 차세대 반도체공정에는 물론
바이오
칩과 같은 생명기술 분야에 이를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중이다. 나노잉크 공정에 대한 다양한 응용 연구는 IBM의 프로젝트 중 하나다. 그러나 아직 나노잉크 공정장비가 상업화되지는 않았다.한편 ... ...
PART3 암세포 공격하는 나노 미사일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나노로봇이 인체 내 직접 약물을 전달하고 치료한다. 이것은 나노기술이 생명과학과의 만남을 통해 이루고자 하는 먼 장래의 환상적인 꿈이다. 그렇다면 나노바 ... 10-20년 후에는 체내에서 검사와 치료를 할 수 있는 나노의료머신, 쓰고 버리는 DNA 해석
바이오
칩 등이 실용화될 전망이다 ... ...
1. 비타민A 대량 함유한 황금쌀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작물유전체기능연구사업’을 출범시켰으며 농촌진흥청 또한 ‘
바이오
그린 21 사업’을 시작했다.장차 유전자의 완전 해독과 형질전환기술의 획기적인 발전을 통해 기계의 부속품을 교체하듯 우수 유전자를 유전체에 효율적으로 삽입하고 조립함으로써 성능이 우수한 품종을 대량생산하는 ... ...
장기이식용 돼지 복제 성공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1월 초 골인점을 통과했다고 거의 동시에 발표했다.미국 미주리대와
바이오
벤처인 이머지
바이오
세러퓨틱스 연구진은 인체에 이식할 경우 거부반응을 일으키는 유전자를 제거한 복제돼지 4마리를 복제생산하는데 세계최초로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 연구에는 강원대 수의학과 정의태 교수와 ... ...
2 칩 속으로 들어간 생물학 실험실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전망된다. 이것은 전적으로 MEMS 기술에 의해 만들어진 미소채널 등 마이크로 가공 기술과
바이오
기술의 결합에 의해 만들어진 산물이다.LOC는 1979년에 처음으로 등장했다. 당시 미국 스탠포드대의 연구자들은 하나의 칩 위에 형성된 생물학 분석 디바이스를 발표했다. 그리고 1981년 미국 ... ...
4 세계 수준의 한국형 MEMS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또다른 개가를 살펴보자. 지난해 서울대 전기컴퓨터공학부 장준근 교수와 디지털
바이오
테크놀러지사가 사업단의 지원을 받아 주문형 일회용 플라스틱 마이크로칩을 개발했다.이 마이크로칩은 칩에 올려진 생화학 실험실, 랩온어칩(LOC)의 일종이다. LOC는 현재 BioMEMS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주목을 ... ...
암소에서 뽑은 거미줄 섬유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넥시아의 제프리 터너 사장은“앞으로 이런 방법으로 생산될 거미줄 섬유의 상표를‘
바이오
스틸’로 정했다”면서,“ 이 방법으로 뽑아낸 거미줄 섬유는 자연산 못지 않게 질기다”고 말했다. 섬유가 질기면 반복해서 구부리거나 꼬아도 끊어지지 않기 때문에 넥타이 등에 좋은 소재로 활용할 수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