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험실
사무실
서재
lab
연구소
사무소
영업소
d라이브러리
"
연구실
"(으)로 총 2,011건 검색되었습니다.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연결돼 있는, 지상 망원경을 이용하는 연구자들에게 이 사실을 알렸다.3월 29일
연구실
에 출근한 임명신 교수는 이 뉴스를 보고 즉각 보현산천문대에 알려, 만일 여건이 된다면 이 천체를 관측해보라고 제안했다.“천문대의 망원경은 1년 내내 사용이 예약이 돼 있기 때문에 새로운 현상이 나타났다고 ... ...
꿈을 현실로 만들어 보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소중한 학문이야. 개업의도 좋지만 의학을 연구하는 연구교수가 되는 것도 좋을 거야.
연구실
에서 신기술이나 신약을 개발하는 거야. 다른 학문분야와 융합해서 연구도 하지. 이러한 과정의 결과물이 산업으로 가. 이런 것이 우리나라 GDP도 높여 줄 수 있어. 이런 게 바로 봉사야. 똑똑한 사람들이 ... ...
비닐에서 LCD까지, 미세 가공을 부탁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학회에서 발표했습니다. 의료기기 업체와 기술이전 계약도 마쳤습니다.”미세광학
연구실
은 레이저 가공 기술을 실제 제품으로 연결하는 최전선에 있는 만큼 다양한 레이저 가공 기술을 배울 수 있다. GIST의 학생뿐만 아니라 인근의 관련 학과 학생들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접하기 힘든 고가의 ... ...
지능형자동차의 철새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10월이면 볼 수 있는 철새의 이동. 그 일사불란한 움직임은 경이롭기만 하다. 일정한 대형을 유지한 채 하늘길에 맞춰 좁아졌다 넓어졌다, ... 도전해보자. [스캐니 등 스마트폰 앱을 이용해 서승우 교수의 컴퓨터 네트워크 및 보안
연구실
연구 풍경을 보자. 모형 자동차의 주행을 볼 수 있다. ... ...
깐깐한 헝가리 은행장 '도니 안도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썰렁홈즈가 올 것을 안 업새블라가 아무도 들어가지 못하도록
연구실
을 특수 미로 잠금장치로 잠가 버렸다. 어떻게 하면 문을 열 수 있을까?문제 2미로를 잘 풀어서 잠금장치를 열어 보자. 홀로그램 퍼즐을 풀어라!
연구실
문을 연 홈즈는 다시 한 번 깜짝 놀랐다. 아무도 ... ...
지구 만든 미생물로 환경오염 처리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만든 우라늄 4가 이온은 지름이 2~3nm에 불과한 아주 작은 나노 입자였다. 응용환경미생물
연구실
에서는 우라늄 6가 이온으로 쉬아넬라 균이 호흡하게 만들자 먼저 우라늄 6가 나노선이 나왔다. 시간이 지나자 이 나노선은 우라늄 4가 이온 입자로 변했다.“앞선 연구 결과와 달라 나노선이 나왔다는 ... ...
해양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해양관측장비를 싣고 해양조사를 실시하는 배. 배 위에서 직접 실험이 가능하도록 따로
연구실
이 마련돼 있다. 쇄빙연구선인 아라온호, 심해를 조사하는 잠수조사선 등 목적에 따라 종류가 다양하다.항공기 태풍이 많은 지역과 같이 배로 나가기 어려운 지역은 항공기에 장비를 싣고 해양관측을 ... ...
세 천재가 밝힌 ‘생명의 비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연구에 성공했다는 편지가 지인에게 전해지는 순간이다. 편지를 받은 주인공은 이웃한
연구실
에 있던 피터 폴링. 대서양 너머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화학과 학과장으로 있던 라이너스 폴링의 아들이다. 라이너스 폴링은 일찍이 단백질의 3차원 구조를 밝힌 바 있는 구조 화학의 세계적인 ... ...
스마트 그리드와 함께 멋진 인생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재미있게 하고 있는 이유 역시 전력시스템
연구실
에서 배운 유연한 사고 덕분이다. 우리
연구실
은 지금도 1년에 한번 이상은 지도교수와 연구원들이 모두 가족 동반으로 졸업생 모임을 하고 있다. 학문적 탐구 외에도 멋진 인생을 배우고 싶은 패기 넘치는 젊은 후배들의 동참을 기대해본다 ... ...
감성을 읽는 수학의 눈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눈동자) 영역이 유난히 시커멓게 나타나기 때문이죠.”이의철 박사는 “이런 이유로
연구실
은 ‘먹물랩’ 이라고도 불렸다”며 연구 일화를 소개했다.그런데 이 무서운 ‘먹물영상’ 으로 홍채패턴을 이용한 신원인식, 동공 중심을 쫓아가는 시선추적, 눈깜박임과 동공 조절을 바탕으로 한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