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서민
평민
일반사회
보통인
d라이브러리
"
일반인
"(으)로 총 1,487건 검색되었습니다.
1. 동굴벽화에서 디지털 애니메이션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결합시킨 것이다. 8백마리의 들소를 복제하는 작업을 컴퓨터가 해냈다. 8백마리의 들소는
일반인
들이 보면 하나하나가 다른 모습이지만, 실제로 그 원형은 4,5마리에 불과하다. 계속해서 컴퓨터그래픽 소프트웨어가 개발됐는데, 기존의 셀 애니메이션 제작과정을 유지하면서 컴퓨터로 트레이스(선 ... ...
웹이 가진 10가지 문제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일부 사람들은 필요한 경로를 점검해가며 그리 어렵지 않게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겠지만
일반인
들에게는 대단히 어려운 문제임에 틀림없다. 더군다나 이처럼 정리되지 않은 막연한 주제에 대해 웹에서 딱 떨어지는 해답을 구해낸다는 것은 더더욱 쉽지 않은 일이다.이는 어쩌면 인터넷이 누구의 ... ...
1. 인간을 이긴 컴퓨터가 전하는 메시지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1백10만 달러로 상금을 대폭 올린 것도 전혀 아깝지 않을 지경이다.이번 게임에 대한
일반인
의 높은 관심에는 다분히 이유가 있어 보인다. 많은 사람들은 올 봄 영국에서 있었던 ‘돌리’라는 양 유전자 복제 충격이 채 가시지 않은 상태에서 전해진 딥 블루의 승리로 SF영화의 한 장면을 떠올렸음직 ... ...
종이위에 펼쳐지는 가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때 그 진위를 판단하는 것이 형사사진실의 몫이다.사진을 ‘간단하게’ 조작하는 일은
일반인
에게도 간간이 나타난다. 몇년 전 건축물 사진을 조작해 구청에 제출했다가 나중에 들통난 사건을 살펴보자. 새로 건물을 지은 건축주는 2층 발코니를 규정보다 넓게 설치했다. 구청의 시정명령을 받은 ... ...
화석수집열풍 지구비밀이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이것이 학자들의 전유물이 될 수는 없지 않은가. 화석수집 열풍이 고생물학에 대한
일반인
의 이해를 돕는 측면을 무시해서는 안된다.”학자들과 아마추어간의 입장 차이는 과연 좁힐 수 없는 것일까. 도저히 양립할 수 없을 것 같지만, 문제의 해결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양자 모두 화석이 미적 ... ...
NASA를 끌어가는 핵심조직들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이곳에는 우주비행사가 받는 훈련을 압축해 놓은 어린이 대상 우주캠프와 고등학생 이상
일반인
들을 교육하는 우주아카데미가 있다.스테니스우주센터(SSC)미시시피 핸콕에 있음. "달에 가려면 핸콕에 가야한다"라는 말이 있듯이 1960년대에는 우주 개발의 중심지였다. 현재는 커다란 ... ...
동성애 운명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평가된다. 하나의 전설이 된 이 사건을 계기로 동성애자의 존재는 언론은 물론이고
일반인
들의 관심사로 자리 잡았으며 동성애자들은 인권 회복운동을 조직적으로 전개하기 시작했다. 마침내 1974년12월 미국 정신병학회는 공식적으로 동성애를 정신질환의 목록에서 삭제했다. 가톨릭 이후 ... ...
신경정신과 전문의 김주한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있어 소개하기가 부담스럽다. 하지만 미국정신의학회에서 발행되는 정신의학 뉴스 라면
일반인
들도 읽어볼 만할 것이다. (http://www.appi.org/pnews/)최근에는 생체 촬영기술이 놀랍도록 발전해서 인체의 내부를 해부하듯 샅샅이 들여다 볼 수 있게 됐다. 필자는 뇌영상술과 영상분석에 대한 연구를 ... ...
Ⅰ. 속임수?이해가능한 과학적 연기!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외국에서 들어온 것인데다가, 마술의 저변 확대가 되어있지 않은 국내 현실에서는
일반인
들에게 그저 재미있는 공연물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는 실정이다.하지만 이같은 사전식 풀이와 인식은 마술가의 입장에서 흔쾌히 수긍할 수 없는 구석이 있다. 마술은 단순한 잔꾀나 술수 이상의 것이기 ... ...
수학계의 노벨상 필즈메달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은 흔히 '수학계의 노벨상'이라고 부른다. 그러나 노벨상 못지 않은 영예에도 불구하고
일반인
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았다. 현대 수학의 발전에 이정표를 마련한 필즈상은 1936년 이후 지금까지 38명의 수상자를 냈다.많은 사람들은 노벨상에 왜 수학이 포함되지 않았다는 점에 대해 매우 의아해한다.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