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공간
곳
현장
자리
스페이스
지면
d라이브러리
"
장소
"(으)로 총 2,635건 검색되었습니다.
상어를 지켜줘!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다른 무리를 위협하는 것이다. 지금까지도 메가마우스상어는 새끼를 낳는 방법과
장소
를 비롯해 많은 부분이 가려져 있는 신비로운 존재로 남아있다.귀상어최고 인기 누리는 바다의 개성파‘상어 중에서 가장 머리 모양이 독특한 게 누구지’ 라고 물으면 누구나 퍼뜩 떠오를 상어가 있다. 망치를 ... ...
PART 4. 신의 입자는 아직도 많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4000번씩 충돌한다. 앞으로 10년 안에 완공하는 게 목표지만 예산 등의 문제로 진척이 더뎌
장소
도 미정이다.Epilogue마지막으로, 모두의 궁금증을 해결하고 끝맺자. “힉스 입자를 발견하면 내 생활의 어떤 점이 달라지는가?” 답은 “일상생활은 아무 것도 달라지지 않는다”다. 없던 입자를 발견하는 ... ...
우리 동네 매미 내가 연구합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따라서 매미탐사대원으로 자료를 보낼 때 몇 마리가 노래하는지보다 녹음하려는
장소
에서 매미소리가 들리는지, 들린다면 어떤 종인지를 파악해서 보내면 된다고 강조했다.매미 생태 함께 연구해요“그럼 이제 채집을 해 볼까요?” 장 교수의 말에 장은재씨가 길다란 채를 들고 오더니 나무에 발을 ... ...
아인슈타인이 사랑한 냉장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길이까지 다 연구한 끝에 내놓았기 때문이다.구부러지는 빨대가 떠오르는 또 하나의
장소
는 영화관이다. 콜라 한 잔과 팝콘을 사들고 앉으면 이 빨대에게 고마워하지 않을 수 없다. 그런데 함께 산 팝콘 역시 놀라운 발명품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적다. 원래 팝콘은 옥수수를 튀긴 식품으로, ... ...
수원청개구리와 술래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8호
경기와 충청남도 북부 지역에서만 사는 우리나라 고유종이야. 청개구리와 사는
장소
와 번식시기가 비슷하지만 우린 서로 다른 종이라고! 내가 더 작고 귀엽지?아래 그래프로 알수 있는 것처럼 수원청개구리는 청개구리보다 몸집이 작아. 그리고 머리는 청개구리보다 좀 더 길고 뾰족하게 생겼지. ... ...
8화 캄캄한 동굴 속에서 함정에 빠지다
수학동아
l
2012년 08호
접근을 꺼리지. 러일로가 누군가를 피하려는 마음을 먹었다면, 토포로지 산맥만 한
장소
도 또 없을 거야.”그때였다. 위쪽에서 작은 돌 하나가 굴러떨어져 폴b의 머리를 맞췄다.“아얏!”폴b는 돌 맞은 곳을 문지르며 위를 올려다봤다. 그리고는 순간 눈이 휘둥그레졌다. 방금 폴b가 맞은 돌과는 ... ...
PART 1. 큐리오시티의 화성 탐험기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흔적을 발견할 가능성이 가장 큰 지역인 동시에 생명체 존재의 단서를 발견할 최적의
장소
.주요 임무 화성 생명체 존재 여부 파악. 기온과 습도, 바람 등 기후관측 장비로 화성 대기 분석. 화성 암석 및 토양 채취 분석.흥분, 두려움, 무의식 몇 시간이 흘렀을까. 3시간? 4시간? 아니 며칠이 지났을지도 ... ...
스파이더맨과 애니멀 어벤져스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가졌다는 거야. 지난번에 영화 ‘어벤져스’에서 봤지? 다른 영웅들에게 각자 맡을
장소
와 전략을 지시하는 거.그래서 맞대응할 멤버로 힘도 세면서 전투전략을 잘 짜는 녀석들로 생각해 봤어. 바로 기린과 코끼리 부대야. 기린은 7km까지도 내다볼 수 있을 만큼 시력이 좋아. 하지만 무엇보다 ... ...
2012 바이오 희망나눔 프로그램 “난치병 정복하는 과학자 되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월 30일 서울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렸다. 이 행사는 생화학분자생물학회가 매년 같은
장소
에서 열고 있으며 국내외 유명 석학들이 찾아와 학생들에게 생명과학에 대한 꿈과 비전을 심어주고 있다.올해의 초청자는 예쁜꼬마선충을 이용한 연구로 2006년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앤드류 파이어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무게, 운용 범위 등에서 한계도 많았다. 아무리 성능이 뛰어나도 움직일 수 있는 시간과
장소
에 제약이 많았던 것이다.“조종 가능한 동물은 로봇보다 효율적”과학자들은 이런 한계를 뛰어넘기 위해 발상 자체를 뒤집었다. 동물을 본떠 로봇을 만들기보다 동물 자체를 조종하자는 것. 허무맹랑해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