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점성가
d라이브러리
"
천문학자
"(으)로 총 1,427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도 여성 차별하나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될지 모르지만 마땅히 사용할 남자 누드가 없어서”라고 말했다● 한 프랑스 남자
천문학자
는 속이 훤히 비치는 스커트를 입은 여자 댄서의 그림을 보여주면서 발표를 시작했다.캘리포니아주 소노마 주립대학 교수인 린 코민스키는 채용기준을 너무나 협소하게 정해 의도적으로 여성을 배제한다고 ... ...
달의 바다가 어둡게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산맥에는 지구상의 유명한 지명이나 과학자, 철학자들의 이름이 붙어있다. 예수회
천문학자
조반니 리치올리(1598-1671)가 자신이 작성한 달 지도 속에 이름을 붙이기 시작한 것이 시초였다.달의 관측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지구 대기가 얼마나 안정돼 있는냐 하는 것이다. 하늘이 맑아도 별이 자주 ... ...
지구는 얼마나 클까?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셈인지 그 후의 사람들로부터 무시되고 잊혀지고 말았다. 기원전 100년 경 그리스의
천문학자
포시도니우스는 비슷한 방법으로 지구의 둘레가 2만8천8백km라는 결론을 얻었고, 실제보다 훨씬 작은 이 값을 오랫동안 사람들이 믿었다. 이로 인해 1600년이 지난 후 콜럼버스는 지구를 돌아 인도에 가기가 ... ...
솥 모양 해시계 앙부일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정확도를 높이는데 필수적인 것은 정북극의 방향을 정하는 것이다. 세종 당시의 유수한
천문학자
들이 서울을 기준으로 하는 정북극의 위치를 정확히 알아냈고 이를 기준으로 앙부일구 내부의 눈금선이 정확히 매겨질 수 있었다. 결국 앙부일구 내부에서는 영침의 그림자 길이가 하루종일 달라지지 ... ...
완벽한 대칭미 갖춘 '최후의 만찬'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우주 한 가운데 서있는 새로운 인간에 대한 개념을 제시했다. 즉 원근법은 고대 그리스
천문학자
프톨레마이오스가 주장했던 천동설의 연장이자 주체적 시각에서 세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인본주의의 승리를 표현한 것이었다. 그러나 이탈리아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예술가이자 과학자를 꼽는다면 ... ...
우리은하도 충돌했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궁수자리 왜소은하와 함께 우리은하의 진화연구에 획기적인 공헌을 할 것으로 보인다.
천문학자
들이 흥분하는 것도 바로 이 대목이다. 현재 궁수자리 왜소은하는 우리은하와 충돌을 시작하고 있는 단계로 알려지고 있다. 그리고 오메가 성단은 1백억년 전 우리은하와 충돌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 ...
움직이는 지구 변하는 우주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백조자리 61번별은 처음으로 연주시차를 이용해 거리를 잰 별로 유명하다. 1838년 독일의
천문학자
베셀은 40m 앞에 있는 한 올의 머리카락 두께를 구분할 수 있을 만큼 정밀하게 이 별의 시차를 재 거리를 알아내는데 성공했다.실험 2 - 세차운동■준비물길이가 긴 이쑤시개, 찰흙 또는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남쪽에 낮게 떠 있다. 화로자리는 1751년에서 1753년까지 남아프리카의 희망봉에서 프랑스
천문학자
니콜라스 루이스 데 라카유가 남반구 하늘을 관측하면서 만든 별자리이다. 화학실험용 화로를 발명한 화학자 라브와지에의 업적을 기념해 만들었다. 처음 이름은 화학실험로자리(Fornax Chemica)였다.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발견되지 않은 어떤 행성이 있을 것으로 믿고 새로운 행성을 찾는데 힘을 쏟았다. 독일의
천문학자
폰 자흐는 체계적인 관찰을 하기 위해 '천체 경찰'이란 조직까지 만들었다고 한다.새로운 천체를 찾아내 이름을 날리려던 여러 사람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발견의 영예는 이탈리아의 한 신부에게 ... ...
홍수 막는 물고기 입 포말하우트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도마뱀자리 지역을 합쳐 루이 16세를 기리는 별자리로 그렸다. 또 약 1세기 뒤 독일의
천문학자
보데는 ‘프레데릭 대왕의 영광’이라고 별자리 이름을 붙였으나 얼마 사용되지 못하고 사라졌다.이 별자리에서 육안으로 볼 수 있는 별은 약 20개이고, 4등성 이하의 별로 구성돼 있어 눈에 띄지 않는다.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